'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카테고리의 글 목록
Barry berry 작업실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흡습성 높은 약 종류
2025.05.14
흡습성(습기를 잘 흡수하는 성질)이 높은 약물은 공기 중 수분과 반응하여 물리적·화학적 변질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약물들이 흡습성이 높습니다:💊 흡습성 높은 주요 약물 목록약물명성분 또는 제형특징 및 주의사항암로디핀정Amlodipine고혈압 치료제, 습기에 매우 민감함에스시탈로프람정Escitalopram항우울제, 습기 노출 시 갈변·분해 가능텔미사르탄정Telmisartan습기에 의해 분해되어 효력 저하 가능발사르탄정Valsartan습기 노출 시 안정성 저하에스오메프라졸 장용정Esomeprazole장용코팅 손상 시 위에서 분해됨리세드론산 제제Risedronate골다공증 치료제, 습기와 반응하여 분해트라마돌 제제Tramadol습기에 민감, 병..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Urea 크림이 보습제이자 각질용해제로 쓰일 수 있는 이유?
2025.04.26
💧 Urea 크림 작용기전✅ 1. 보습 작용 (Humectant, 저농도: 5~10%)urea는 **천연 보습 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의 일종피부의 각질층(corneocytes)에 수분을 끌어당겨 수분 유지→ 피부 수분 장벽 회복→ 건조증, 아토피, 노인 피부에 유용✅ 2. 각질용해 작용 (Keratolytic, 고농도: 20% 이상)고농도 urea는 단백질 구조를 분해하거나 변성시켜→ 각질세포(keratin)의 결합력 약화 → 각질이 떨어져 나가게 함→ 건선, 어루러기, 손발바닥의 두꺼운 각질에 사용✅ 3. 피부 침투 촉진 (Penetration enhancer)urea는 각질층을 유연하게 만들어 다른 약물의 피부 침투도 높임→ 복합제형에 사용 시 활성성분..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약물치료학 질환별 정리
2025.04.26
🫀 심혈관계고혈압: ACEi, ARB, Thiazide, CCB, BB심부전: ARNI, BB, MRA, Loop 이뇨제, SGLT2i협심증/심근경색: Aspirin, Clopidogrel, BB, Statin, NTG부정맥: Class I–IV 항부정맥제, NOAC, Warfarin🫁 호흡기천식: ICS, LABA, SABA, LTRACOPD: LAMA, LABA, ICS폐렴: Amoxicillin, Macrolide, Cephalosporin, Respiratory FQ🧬 내분비당뇨병: Metformin, SGLT2i, GLP-1 RA, SU, Insulin갑상선: Methimazole, PTU, Levothyroxine부신: Hydrocortisone, Fludrocortisone, Ketoc..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호르몬제제
2025.04.26
🧩 내분비 약물의 기본 원리체내 호르몬 부족 또는 과다 상태를 조절 또는 보충하는 목적인슐린, 갑상선 호르몬,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성호르몬 등이 주요 타깃💉 인슐린 및 경구혈당강하제✅ 인슐린분류 약물 작용시점 / 특징초속효Lispro, Aspart식전 투여 / 급속 작용속효Regular insulinIV 가능 / 급성 케톤산증중간형NPH지속 방출 / Basal 용지속형Glargine, Detemir하루 1회 / 기저인슐린 역할✅ 경구혈당강하제계열 약물 기전 / 주의SU제Glipizide, Glyburide인슐린 분비 ↑ / 저혈당 위험MeglitinideRepaglinide식후 혈당 조절 / 짧은 작용BiguanideMetformin간 포도당 생성 ↓ / 1차 약제 / 젖산산증 ⚠️TZDPiogli..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혈액제제
2025.04.26
🧩 혈액응고 조절 개요항응고제: 혈전 형성 예방 (정맥혈전, 심방세동 등)항혈소판제: 동맥 혈전 억제 (심근경색, 뇌졸중 예방 등)지혈제 / 응고인자: 출혈 시 사용빈혈치료제: 조혈 촉진⚠️ 항응고제 (Anticoagulants)약물 기전 특징 / 적응증Heparin (UFH)ATIII 활성화 → thrombin, Xa 억제IV / 모니터링: aPTT / 해독제: ProtamineLMWH (Enoxaparin)Xa 선택적 억제SC 투여 / aPTT 모니터 불필요WarfarinVit K 의존 인자 합성 억제 (II, VII, IX, X)경구 / INR 모니터링 / 해독: Vit KDOAC (직접경구항응고제)Rivaroxaban (Xa), Dabigatran (IIa)고정용량 / 모니터 불필요 / 빠른효과..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호흡기계
2025.04.26
🧩 기본 원리 및 병태생리천식: 만성 알레르기성 염증 → 기도 과민반응 + 기관지 수축목표: 염증 완화 + 기관지 확장비염: 알레르기 항원 노출 → 히스타민 등 염증 매개물질 분비목표: 비충혈 완화, 히스타민 억제🌪️ 천식 치료제 분류✅ 기관지 확장제계열 약물 특징SABA (단기작용 β2 효능제)Albuterol, Terbutaline기도 급속 확장 / 급성 발작 1차약LABA (장기작용 β2 효능제)Salmeterol, Formoterol유지치료 / 스테로이드 병용 필수항콜린제 (흡입형)Ipratropium (SAMA), Tiotropium (LAMA)COPD 중심 / 천식 병용 가능TheophyllinePDE 억제 → cAMP ↑ → 기관지 확장협소한 치료역 / 심장 독성 주의✅ 항염증제계열 약물..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소화기계
2025.04.26
🧩 기본 원리 및 작용 기전위산 과다, 역류성 식도염, 궤양 등은 산분비 조절 및 점막보호 약물로 치료구토/변비/설사는 위장관 운동 조절 또는 수용체 억제로 조절🧪 위산분비 억제제약물군 약물 기전 특징PPIOmeprazole, EsomeprazoleH⁺/K⁺-ATPase 비가역 억제궤양 1차 치료 / 효과 강력 / 장용정 필요H2 차단제Ranitidine, FamotidineH2 수용체 차단 → 산 분비 ↓야간 위산분비 억제 / 내성 발생 가능💊 제산제 (Antacids)약물 기전 주의사항Mg(OH)₂위산 중화설사 유발 가능Al(OH)₃위산 중화변비 유발 가능CaCO₃중화작용위반동성 산분비 ↑ (반동성 고산증)🛡️ 점막 보호제약물 기전 특징Sucralfate궤양부위 코팅산성환경 필요 / 약물 흡수..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순환기계
2025.04.26
🧩 기본 개념 및 원리심혈관계 약물은 혈압 조절, 심장기능 강화, 리듬 조절을 목표로 함주요 타깃: RAAS 시스템, 교감신경, 칼슘채널, 이뇨작용 등질환별 약물 분류는 아래와 같음:고혈압 → 혈압을 낮추는 약물협심증 → 산소 수요/공급 균형 조절심부전 → 심기능 보조 및 리모델링 억제부정맥 → 심장 전기 리듬 조절🩸 고혈압 치료제 분류계열 약물 기전 / 특징이뇨제Hydrochlorothiazide, Furosemide혈장량 ↓ → 혈압↓ / Thiazide는 초기 1차약ACEiEnalapril, LisinoprilAngiotensin II ↓ / K⁺↑, 기침, 부종 ⚠️ARBLosartan, Valsartan기침 부작용 없음 / 임부 금기CCBAmlodipine (혈관 선택), Verapamil ..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소염진통제
2025.04.26
🧩 기본 원리 및 작용 기전Autacoids는 조직 내에서 생성되어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생리활성물질대표: Histamine, Serotonin, Kinins, Prostaglandin, LeukotrieneNSAIDs는 COX 억제를 통해 Prostaglandin(PG) 합성 차단 → 염증, 통증, 발열 ↓🧪 Histamine (히스타민)수용체 작용 관련 약물H1혈관확장, 평활근 수축, 가려움항히스타민제 (Diphenhydramine, Loratadine)H2위산 분비 증가H2 차단제 (Ranitidine, Famotidine)🌡️ NSAIDs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약물 특징 적응증 / 주의Aspirin비가역적 COX 억제 / 항혈소판 효과고용량: 해열·진통 / 저용량: 심혈관 예방 / 소아: R..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국소마취제
2025.04.26
🧩 기본 원리 및 작용 기전국소마취제는 Na⁺ 통로 차단을 통해 신경 전도를 억제하여 감각 전달을 차단합니다.특히 작은 직경의 비수초 섬유 (통각, 온도 감각)를 먼저 억제합니다.작용 순서: 통각 → 온각 → 촉각 → 압각pH 민감도: 염기성 약물이라 염증 부위에서는 효과 ↓🔹 약물 분류계열 약물 대사 경로 특징Ester계Procaine, Tetracaine, Benzocaine혈장 cholinesterase에 의해 대사알러지 반응 ↑ (PABA 유도체)Amide계Lidocaine, Bupivacaine, Mepivacaine, Ropivacaine간 대사알러지 드묾, 더 널리 사용됨🔹 주요 약물 요약약물 특징 용도Lidocaine가장 흔하게 사용, 신속한 작용, 짧은 지속시간국소 마취, 항부정맥제..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중추신경계
2025.04.26
🧩 기본 원리 및 작용 기전중추신경계 약물은 **뇌와 척수(CNS)**에 작용하여 신경전달물질의 양 또는 수용체 작용을 조절합니다.주요 타깃: GABA, Dopamine, Serotonin, Glutamate, NE 등기전별로 항정신병, 항우울, 항불안, 항경련, 수면제 등으로 나뉨🧠 항정신병약물 (Antipsychotics)💊 작용 기전1세대 (Typicals): D2 수용체 강한 길항 → EPS ↑2세대 (Atypicals): D2 + 5-HT2A 길항 → EPS ↓🧾 약물 비교분류 약물 특징 / 부작용1세대Haloperidol, ChlorpromazineEPS, 고프로락틴혈증, NMS2세대Clozapine무과립구증, 체중 증가, 침분비↑ Olanzapine대사증후군, 체중 증가 Risperi..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부교감신경계
2025.04.26
🧩 기본 원리 및 작용 기전부교감신경계는 "Rest and Digest" 기능을 담당하며, 아세틸콜린(ACh)이 주요 전달물질입니다.ACh는 Muscarinic 수용체(M1, M2, M3) 및 Nicotinic 수용체에 작용합니다.Muscarinic 수용체는 **GPCR(G-protein coupled receptor)**로 다양한 생리 반응을 매개합니다.M1 (Gq): 위장관 자극M2 (Gi): 심장 억제M3 (Gq): 분비 촉진, 축동 등🔹 Muscarinic 수용체 정리수용체 기전 작용 부위 기능M1Gq위장관위산 분비 증가, 위장관 운동↑M2Gi심장심박수 ↓, 전도 ↓M3Gq평활근, 분비선축동, 분비 촉진, 방광 수축 등🔹 직접 콜린성 효능약 (Muscarinic Agonist)약물 작용 적응..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교감신경계
2025.04.26
🧩 기본 원리 및 작용 기전교감신경계는 "Fight or Flight" 반응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의 한 축입니다.신경전달물질: 노르에피네프린(NE), 에피네프린수용체 종류: α1, α2, β1, β2 → 각각 다른 위치와 작용작용 경로:NE는 신경 말단에서 분비되어 표적기관의 α, β 수용체와 결합수용체 활성화 → 세포 내 G-protein 연계 기전을 통해 생리적 반응 유도예시:α1 자극 → 혈관 수축 → 혈압 상승β2 자극 → 기관지 평활근 이완 → 천식 개선간접효능약은 NE 분비를 촉진하거나 재흡수를 억제하여 작용을 강화🔹 수용체 정리수용체 기전 주요 작용α1Gq혈관 수축, 동공 산동, 방광 괄약근 수축α2GiNE 분비 억제, 인슐린 분비 억제β1Gs심박수 및 수축력 증가, 레닌 분비 증가β2G..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ENT
2025.04.26
ENTAcute Otitis Media급성 중이염 (Acute Otitis Media)정의: 중이강 내 감염 (소아에서 흔함)원인균: S. pneumoniae, H. influenzae, M. catarrhalis💊 치료 요약1차 치료 Amoxicillin 80–90 mg/kg/day (분할투여)실패/반복Amoxicillin-Clavulanate, Ceftriaxone IM통증 조절Acetaminophen, Ibuprofen항생제 지연투여6–23개월 고열 or 양측 / 2세 이상 선택적 관찰 가능💡 페니실린 알레르기 시: Cefdinir, Azithromycin🧠 질병 요약Acute Bacterial Rhinosinusitis급성 부비동염 (Acute Bacterial Rhinosinusitis)정..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Dermatology
2025.04.26
DermatologyAtopic Dematitis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정의: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 심한 가려움 동반악화요인: 피부장벽 이상, 알레르기, 환경적 자극💊 치료 요약단계 치료기본보습제, 자극 회피, 순한 클렌저경증~중등도Topical corticosteroids (1차)Calcineurin 억제제 (Tacrolimus, Pimecrolimus) 중증 / 광범위Dupilumab (IL-4R Ab) / Cyclosporine (단기간)광선치료도 병용 가능 💡 국소 스테로이드 → 부위·강도 따라 선택 (얼굴: 저강도)🧠 질병 요약Psoriasis건선 (Psoriasis)정의: T세포 매개 자가면역질환 → 피부 과각화증상: 은백색 인설 동반된 판상홍반💊 치료 요약단..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Hematology
2025.04.26
HematologyIron Deficiency Anemia철결핍성 빈혈 (IDA: Iron Deficiency Anemia)정의: 철분 부족으로 인한 혈색소 합성 저하진단: Hb↓, MCV↓ (소구성), 혈청 Ferritin↓, TIBC↑원인: 출혈(위장관), 월경과다, 흡수 장애💊 치료 요약경로 약물 비고경구Ferrous sulfate, Ferrous fumarate1일 1~2회, 공복 권장, 변비/구토 가능주사Iron sucrose, Ferric carboxymaltose경구 불내성/중증 빈혈 시 사용💡 목표 Hb: 여성 >12 / 남성 >13💡 치료 후 3~6개월 유지 필요🧠 질병 요약Megaloblastic Anemia거대적아구성 빈혈 (Megaloblastic Anemia)원인: Vit ..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Opthalmology
2025.04.26
OpthalmologyGlaucoma녹내장 (Glaucoma)정의: 안압(IOP) 상승으로 시신경 손상 및 시야 결손 유발분류개방각 녹내장 (POAG): 서서히 진행, 흔함폐쇄각 녹내장 (ACG): 급성, 안과 응급병태생리: 방수의 생성-배출 불균형 → 안압 상승 → 시신경 손상💊 약물치료 요약 (안압 낮추기 목적)약물군 약물명 기전 특징 / 부작용Prostaglandin 유사체Latanoprost, Bimatoprost유출 증가1일 1회, 색소침착, 속눈썹 증가β차단제Timolol생성 감소전신 부작용: 서맥, 천식 환자 금기α2-작용제Brimonidine생성 ↓ + 유출 ↑졸림, 구강 건조Carbonic anhydrase 억제제Dorzolamide (점안), Acetazolamide (경구)생성 감소..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OBGY
2025.04.26
OBGYContraception피임 (Contraception)정의: 임신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분류호르몬 피임: 경구피임약, 패치, 주사제, 자궁 내 시스템(IUS)장벽 피임: 콘돔, 다이아프램영구 피임: 난관 결찰, 정관 절제긴급 피임: 성관계 후 단기간 내 피임💊 호르몬 피임 요법성분: 에스트로겐(주로 Ethinyl estradiol) + 프로게스틴복용법: 21일 복용 + 7일 휴약 / 28정 연속 복용형효과: 배란 억제, 자궁경부 점액 변화추가 장점: 생리통, 여드름 개선, 자궁내막암·난소암 예방⚠️ 금기혈전증 병력, 고혈압, 흡연(35세 이상), 간질환, 유방암✅ 프로게스틴 단독제PO (미니필): 수유부, 에스트로겐 금기 시DMPA 주사제 (Depo-Provera): 3개월마다 근육주사I..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CNS
2025.04.26
CNSMDD우울증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정의: 지속적인 우울감 또는 흥미·쾌락 상실 + 기타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는 상태증상 (DSM-5 기준): 9가지 중 5개 이상, 그 중 하나는 반드시 ① 또는 ② 포함우울한 기분흥미·쾌락 상실체중/식욕 변화수면 변화정신운동성 변화피로감무가치감/죄책감집중력 저하자살 사고진단: 임상 평가 (우울척도, 신체질환 감별 포함)💊 약물 요법 요약약물 용량 특징Fluoxetine20–60mg/day반감기 김 → 금단증상 적음Sertraline50–200mg/day위장장애 흔함Escitalopram10–20mg/day비교적 부작용 적음부작용: 소화불량, 성기능장애, 불안, 수면장애 등작용시작: 2–4주, 최대 효과까지 6–8주✅ 기타 항..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Musculoskeletal
2025.04.26
MusculoskeletalGout통풍 (Gout)정의: 요산(uric acid)이 관절에 침착 → 급성 염증 유발원인요산 생성 증가: 퓨린 과다섭취, 세포파괴(항암 등)요산 배설 감소: 신부전, 이뇨제증상급성: 한쪽 관절(주로 엄지발가락, 1st MTP)에 극심한 통증, 발적, 부종만성: 관절 파괴, 토푸스(tophi) 형성진단관절천자 → 음성 이중굴절성 요산 결정혈중 요산↑ (단, 발작 시 정상이기도 함)💊 치료 요약NSAIDs (1차): Naproxen, Indomethacin 등Colchicine: 1.2mg → 0.6mg 1시간 후 (하루 최대 1.8mg)부작용: 위장장애, 설사스테로이드: Prednisolone PO or intra-articular injectionNSAIDs/Colchic..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GI
2025.04.26
GIGERD위식도역류질환 (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정의: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 점막 손상 또는 증상 유발증상전형적: 속쓰림(heartburn), 산 역류(regurgitation)비전형적: 기침, 인후통, 천식 악화, 흉통진단전형적 증상 → 진단적 PPI 시도내시경: 식도염 여부 확인24시간 pH 모니터링: 확진에 사용💊 치료 요약약물: Omeprazole, Esomeprazole, Lansoprazole 등용량 예시: Omeprazole 20mg qd, Esomeprazole 40mg qd복용법: 공복 아침 30분 전기간: 4–8주 (erosive GERD는 8주 이상)부작용: 두통, 설사, 저마그네슘혈증, Vit B12 결핍, 감염 위험 (C...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Endocrine
2025.04.26
EndocrineDiabetes당뇨병 (Diabetes Mellitus)정의: 인슐린 분비 또는 작용 이상으로 고혈당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대사질환분류1형 DM: 자가면역성, 인슐린 절대 결핍 (젊은 나이 발병, 케톤산증 위험↑)2형 DM: 인슐린 저항성 + 분비 부족 (중장년, 비만 관련)진단 기준 (1개 이상 해당 시)공복 혈당 ≥ 126 mg/dL75g OGTT 2시간 후 ≥ 200 mg/dL당화혈색소(HbA1c) ≥ 6.5%증상 + 무작위 혈당 ≥ 200 mg/dL목표치 (일반 환자 기준)HbA1c 공복혈당 80–130 mg/dL식후 2시간 혈당 💊 경구혈당강하제 요약Metformin1차 약제 (체중중립, 저혈당 없음)용량: 500–2000mg/day (분할 복용)부작용: 위장장애, 젖산산증 (..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Infectious
2025.04.26
InfectiousSummary감염 예방 & 항생제 선택 요령1. 가능한 병원체 추정 (감염 부위, 환자 상태, 유병균 감안)2. 항균제 스펙트럼 적정화 (좁고 정확하게)3. 약물 동태 고려 (흡수, 분포, 대사, 배설)4. 환자 특성 반영 (신기능, 간기능, 알레르기, 임신 등)5. 가능한 병원균 동정 및 감수성 결과 반영 → De-escalation✅ 항생제 적절 사용 수칙경구 가능 시 빠른 전환 (IV → PO)광범위 항생제 사용 최소화항생제 중단 시점 설정 (duration-based vs symptom-based)수술 전 예방적 항생제: 1회 투여 원칙 (수술 전 1시간 이내)💊 항생제 투여 기간 요약 (대표 질환)질환 권장 기간폐렴 (CAP)5–7일요로감염 (Cystitis)3–5일신우신염7..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Renal
2025.04.26
RenalAKI급성신부전 (Acute Kidney Injury, AKI)정의: 수일 내 급격한 GFR 감소로 인해 BUN, Creatinine 상승 및 소변량 감소진단 기준 (KDIGO)Scr 0.3 mg/dL 이상 증가 (48시간 이내)또는 Scr 1.5배 이상 증가 (7일 이내)또는 소변량 분류전신성(Azotemia): 혈류저하 (탈수, 출혈, 심부전)신성: 신장 자체 손상 (약물, 사구체염, 허혈)후신성: 요로폐색 (결석, 전립선비대 등)증상: 부종, 고칼륨혈증, 요량 감소, 오심, 피로💊 치료 요약저혈압 교정 (수액, 혈압약 중단)신독성 약물 중단 (NSAIDs, ACEi/ARB, Aminoglycoside 등)감염 시 항생제 조절✅ 수액요법전신성 AKI: 수액 공급 (Isotonic salin..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Respiratory
2025.04.26
RespiratoryAsthma천식 (Asthma)정의: 기도 과민성과 염증에 의한 가역적 기도폐쇄성 호흡기 질환특징간헐적 기침, 천명(wheezing), 흉부 압박감, 호흡곤란야간·새벽 증상 악화, 운동 또는 알레르기 유발 요인 있음유발 요인알레르겐(집먼지진드기, 꽃가루), 감염, 찬 공기, 운동, 스트레스, 아스피린, β차단제진단폐기능 검사(FEV1, PEF), β2 작용제 반응성(≥12% FEV1 증가)중증도 분류간헐형, 경증 지속형, 중등도 지속형, 중증 지속형💊 약물 요법 요약약물: Budesonide, Fluticasone, Beclomethasone 등용량:저용량: Budesonide 200–400 mcg/day중등량: 400–800 mcg/day고용량: >800 mcg/day부작용: 구강..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Cardiovascular
2025.04.26
CardiovascularSummary질환 1차 약물 추가/특수 약물 비고고혈압ACEi, ARB, CCB, ThiazideBB (특수상황), MRA병용 요법 시 조합 유의심부전ACEi/ARB, BB, MRAARNI, Ivabradine, DigoxinHFrEF 위주, 급성시 Inotrope허혈성 심질환BB, CCB, NitrateRanolazine, Statin증상완화 + 예후개선 병행ACSDAPT, Heparin, StatinBB, ACEi, FibrinolyticSTEMI 시 PCI or tPA부정맥Class I–IV 항부정맥제Adenosine, Digoxin심방세동/심실빈맥 구분이상지질혈증StatinEzetimibe, PCSK9, Fibrate고위험군은 고강도 Statin뇌졸중Aspirin, Sta..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Oncology
2025.04.26
OncologyBreast CancerBreast Cancer (유방암)유방암은 유선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여성에게 가장 흔한 암 중 하나다.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수용체(HR) 및 HER2 발현 여부에 따라 아형이 나뉘며, 이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진다.🔍 진단 요약영상 검사: Mammography, Breast ultrasound, MRI조직검사: Core needle biopsy분자표지자: ER/PR, HER2, Ki-67병기: TNM classification💊 치료 요약초기 유방암은 수술이 주 치료이며, 이후 필요 시 보조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호르몬 요법, 표적 치료가 병행된다.HR+ 유방암:폐경 전: Tamoxifen 단독 또는 ovarian suppression ..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병태생리학
2025.04.26
📘 병태생리학 요약 정리📂 1. 병태생리학이란?정의: 정상 생리에서 벗어난 **질병의 기전(병의 원인 및 발생과정)**을 설명하는 의과학의 핵심 영역.병태생리학은 의학, 약학, 간호학, 재활 등 모든 헬스케어 직군의 기초를 이룸.Patho(병리) + Physiology(생리) = 질병 상태에서 인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설명질환의 원인, 발병 메커니즘, 임상 증상, 진단 기준까지 포함📂 2. 병태생리학 학습 흐름도정상 생리학 → 손상 요인 발생 → 항상성 붕괴 → 보상 작용 → 질병으로 진행질병 발생의 핵심 요소:세포 손상 (산화 스트레스, 염증, 유전자 돌연변이 등)면역 반응 (과잉반응 vs 억제)대사 장애 (호르몬, 에너지 불균형)감염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3. 주요 계통별 병태생리 요..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증상별 OTC 진통제 추천표
2025.04.25
💡 증상별 OTC 진통제 추천표증상 1차 선택 약물 대체/보조 약물 주의사항두통AcetaminophenIbuprofen, Naproxen편두통에는 카페인 복합제(Excedrin)도 효과 있음 과용 시 '약물과용두통(MOH)' 유의생리통Ibuprofen, NaproxenAcetaminophen (위장장애 시)NSAIDs가 자궁내 PGE2 억제로 효과적 생리 시작 전부터 복용 시 더 좋음근육통 / 염좌Ibuprofen, NaproxenDiclofenac 겔 (국소)국소제는 위장 부작용 ↓, 병용 가능 휴식과 냉찜질 병행 권장치통IbuprofenAcetaminophenNSAIDs가 염증 완화 효과 더 큼 치과 진료가 궁극적 해결책감기/독감 통증·발열AcetaminophenIbuprofen (고열 시)탈수 위..
Field Notes/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진통제 성분별 비교표
2025.04.25
💊 진통제 성분별 비교표성분명 (영문) 작용기전 적응증 특징/주의사항 병용금기 및 상호작용Acetaminophen (Paracetamol)중추 COX 억제 → PGE2↓ 해열 및 진통 중심경증~중등도 통증 (두통, 근육통, 발열 등)위장관 안전성 우수 간독성 위험 (용량 의존적)알코올, 간독성 약물 (예: isoniazid) 병용 주의Ibuprofen비선택적 COX-1,2 억제 → PGE2↓염증성 통증 (근육통, 치통, 생리통)위장관 부작용 (위궤양 위험) 심혈관계 부작용 주의Aspirin 병용 시 심장보호 효과 감소Naproxen비선택적 COX 억제 (반감기 ↑)중등도 근골격계 통증 생리통, 관절염지속시간 길어 1~2회/일 복용 가능NSAIDs, 항응고제와 병용 시 출혈 위험 ↑Aspirin (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