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계
2025. 4. 26. 00:41
반응형

🧩 기본 개념 및 원리

  • 심혈관계 약물은 혈압 조절, 심장기능 강화, 리듬 조절을 목표로 함
  • 주요 타깃: RAAS 시스템, 교감신경, 칼슘채널, 이뇨작용 등
  • 질환별 약물 분류는 아래와 같음:
    • 고혈압 → 혈압을 낮추는 약물
    • 협심증 → 산소 수요/공급 균형 조절
    • 심부전 → 심기능 보조 및 리모델링 억제
    • 부정맥 → 심장 전기 리듬 조절

🩸 고혈압 치료제 분류

계열 약물 기전 / 특징

이뇨제 Hydrochlorothiazide, Furosemide 혈장량 ↓ → 혈압↓ / Thiazide는 초기 1차약
ACEi Enalapril, Lisinopril Angiotensin II ↓ / K⁺↑, 기침, 부종 ⚠️
ARB Losartan, Valsartan 기침 부작용 없음 / 임부 금기
CCB Amlodipine (혈관 선택), Verapamil (심장 선택) 혈관 이완 / 변비 유발 가능
β차단제 Metoprolol, Atenolol 심박수↓, 심수축↓ / 천식 환자 주의
α차단제 Prazosin BPH 동반 고혈압 / 기립성 저혈압⚠️
중추작용제 Clonidine, Methyldopa 중추성 교감 억제 / 진정, 구강건조

❤️ 협심증 치료제

계열 약물 작용 / 특징

Nitrate Nitroglycerin, Isosorbide dinitrate 정맥 확장 → 전부하↓ / 휴지기 필요
BB Propranolol, Atenolol 심장 산소소모 ↓ / 이형협심증엔 금기
CCB Verapamil, Diltiazem, Amlodipine 관상동맥 확장 / 서맥 주의
Ivabradine If 통로 차단 / 심박수↓ 서맥 유도 (심박 조절용)

💥 심부전 치료제

계열 약물 작용 / 생존율 영향

ACEi / ARB / ARNI Enalapril, Sacubitril-Valsartan 전부하/후부하↓ / 생존율↑
BB Carvedilol, Metoprolol succinate 심근 리모델링 억제 / 생존율↑
MRA Spironolactone, Eplerenone K⁺ 보존 / 섬유화 억제 / 생존율↑
이뇨제 Furosemide 증상 개선 (부종 완화) / 생존율 영향 X
SGLT2 억제제 Dapagliflozin, Empagliflozin 생존율↑ / 심혈관 보호
Digitalis Digoxin 심수축↑, 심박수↓ / 독성 위험 높음

⚡ 항부정맥제 분류 (Vaughan Williams 분류)

Class 약물 기전

I Quinidine (IA), Lidocaine (IB), Flecainide (IC) Na⁺ 채널 차단
II Propranolol β차단
III Amiodarone, Sotalol K⁺ 채널 차단 / 재분극 지연
IV Verapamil, Diltiazem Ca²⁺ 채널 차단 / SA, AV node 억제

🧨 응급 / 기타 심혈관 약물

약물 용도

Adenosine PSVT 치료 / 반감기 짧음
Atropine 서맥 치료
Epinephrine 심정지, 아나필락시스
Dopamine, Dobutamine 쇼크, 심부전에서 심기능 강화
반응형

'Field Notes > Support : Phar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흡기계  (1) 2025.04.26
소화기계  (1) 2025.04.26
소염진통제  (1) 2025.04.26
국소마취제  (1) 2025.04.26
중추신경계  (1)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