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ry berry 작업실

반응형

🧩 기본 원리 및 병태생리

  • 천식: 만성 알레르기성 염증 → 기도 과민반응 + 기관지 수축
    • 목표: 염증 완화 + 기관지 확장
  • 비염: 알레르기 항원 노출 → 히스타민 등 염증 매개물질 분비
    • 목표: 비충혈 완화, 히스타민 억제

🌪️ 천식 치료제 분류

✅ 기관지 확장제

계열 약물 특징

SABA (단기작용 β2 효능제) Albuterol, Terbutaline 기도 급속 확장 / 급성 발작 1차약
LABA (장기작용 β2 효능제) Salmeterol, Formoterol 유지치료 / 스테로이드 병용 필수
항콜린제 (흡입형) Ipratropium (SAMA), Tiotropium (LAMA) COPD 중심 / 천식 병용 가능
Theophylline PDE 억제 → cAMP ↑ → 기관지 확장 협소한 치료역 / 심장 독성 주의

✅ 항염증제

계열 약물 특징

ICS (흡입 스테로이드) Fluticasone, Budesonide 가장 효과적인 유지 치료 / 구강 칸디다증 주의
전신 스테로이드 Prednisone 등 급성악화 시 단기 사용
LT 수용체 길항제 Montelukast 알레르기성 천식, 운동유발성 천식 / 경구 투여
Mast cell 안정제 Cromolyn 예방용 / 효과 약함
Anti-IgE 항체 Omalizumab 중증 알레르기성 천식 / SC 주사제

🤧 비염 치료제

계열 약물 특징

항히스타민제 (H1) Loratadine, Cetirizine, Diphenhydramine 1세대: 졸림 유발 / 2세대: 비졸림
비충혈 제거제 Pseudoephedrine, Phenylephrine α1 작용 → 혈관수축 / rebound 현상 주의
비강용 스테로이드 Fluticasone, Mometasone 1차 선택 / 장기 사용 시 안전성↑
항류코트리엔제 Montelukast 경구 가능 / 코막힘, 천식 동반 시 효과적

💡 흡입제 사용 팁

  • ICS 사용 후 구강 세척 필수 (구강칸디다증 예방)
  • LABA는 단독 사용 금지 → 반드시 ICS와 병용
  • Theophylline은 혈중 농도 모니터링 필수 (독성 위험 ↑)
반응형

'Field Notes > Support : Phar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르몬제제  (0) 2025.04.26
혈액제제  (0) 2025.04.26
소화기계  (1) 2025.04.26
순환기계  (1) 2025.04.26
소염진통제  (1) 2025.04.26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