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Notes/notes : Economics
당기순손실, 기타포괄손익, 총포괄손실
2025.05.14
1. 당기순손실 (Net Loss)정의: 한 회계기간 동안 기업의 수익보다 비용이 더 많을 때 발생하는 손실입니다.계산식:당기순이익(손실) = 수익 - 비용 - 법인세예시:매출 100억, 비용 120억이면 당기순손실 20억 발생2. 기타포괄손익 (Other Comprehensive Income, OCI)정의: 당기순이익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자본에 직접 영향을 주는 손익 항목입니다.주로 실현되지 않은 평가손익이나 장기적 영향을 주는 항목들이 여기에 포함됩니다.대표적인 항목들:외화환산손익매도가능금융자산 평가손익 (현재는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표현됨)파생상품 관련 헤지손익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 등3. 총포괄손실 (Total Comprehensive Loss)정의: 기업의 전체적인 손익을 종합한 개념으로..
Field Notes/notes : Economics
청산시 우선주 투자원금 우선 배분(Liquidation Preference)
2025.05.14
"청산시 우선주 투자원금 우선 배분(Liquidation Preference)"은 벤처 투자와 스타트업의 자금 조달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으로, 스타트업이 청산될 때(예: 인수, 파산, 해산 등) 우선주 투자자가 보통주보다 먼저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기본 개념 요약Liquidation Preference(청산 우선권)스타트업이 청산될 때 자산이 분배되는 순서를 정하는 조항우선주 투자자가 먼저 자금을 회수하고, 남은 금액이 있다면 보통주(창업자 포함)로 분배"투자원금"만 회수할 수도 있고, 배수(multiplier)나 이자율이 붙을 수도 있음📌 예시로 이해하기조건:투자자 A: 10억 원 투자, Liquidation Preference 1x창업자 B: 보통주 보유회사 매각금액: ..
Field Notes/notes : Economics
ROI (Return on Investment, 투자수익률)와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2025.05.14
💸 1. ROI (Return on Investment, 투자수익률)“내가 이 투자에 대해 얼마나 벌었나?” 보는 지표야.투자 전체 대비 수익을 보는 거지.✅ 공식ROI = (이익 / 투자금액) × 100📦 예시어떤 사업에 1억 투자해서 1년 뒤에 1.2억이 됐다면:→ 이익은 2,000만원→ ROI = (2,000 / 10,000) × 100 = 20%🌱 특징투자 규모 전체 기준 (자기돈+빌린돈 상관없음)마케팅, 광고, 공장 증설 등 특정 프로젝트에도 자주 씀🏦 2.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내 돈(자기자본)으로 얼마 벌었나?”**를 보는 지표야.기업 전체가 주주 입장에서 얼마나 수익을 냈는가 보는 거지.✅ 공식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Field Notes/notes : Economics
운전자본과 잉여현금흐름, 설비투자 CAPEX
2025.05.14
🧩 운전자본(Working Capital), Capex, 잉여현금흐름(FCF) 관계이 세 가지는 기업이 돈을 실제로 얼마나 벌고, 얼마나 써서, 얼마가 남는지를 보는 핵심 구조야.🚗 운전자본은 말 그대로 ‘사업 돌리는 데 필요한 자금’이야.단기적으로 쓰는 돈이지.운전자본 = 유동자산 - 유동부채그 중에서도 FCF 계산에선 주로 운전자본의 변화분을 봐.📦 대표적인 세부 계정들:유동자산 쪽매출채권 (외상 매출, 아직 돈 못 받은 거)재고자산 (창고에 쌓여 있는 물건들)선급금 (미리 낸 돈)유동부채 쪽매입채무 (외상 매입, 아직 돈 안 준 거)미지급비용 (예: 아직 안 준 월급, 세금 등)선수금 (고객이 미리 준 돈)어떻게 현금에 영향 주냐면:운전자본이 늘면 → 돈이 사업에 묶임 → 현금 빠져나감(예: ..
Field Notes/notes : Economics
운전자본, Working Capital 개념
2025.05.14
📌 용어 정리1. 운전자본 (Working Capital)운영에 필요한 단기 자금.운전자본 = 유동자산 - 유동부채특히 운전자본의 변동(증가/감소)이 현금흐름에 영향을 줌.운전자본 증가 → 재고 증가, 매출채권 증가 → 현금 유출운전자본 감소 → 재고 감소, 매출채권 회수 → 현금 유입2. 자본적 지출 (Capex: Capital Expenditures)설비, 기계, 건물 등의 장기 자산을 구입하는 지출.→ 회계상 비용 아님, 자산으로 인식 후 감가상각.Capex 지출 → 현금 감소미래 성장 위한 투자3. 잉여현금흐름 (Free Cash Flow)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현금 중,유지·성장을 위한 필수 투자 후에 남는 현금.FCF = 영업활동현금흐름 - Capex - 운전자본 증가분🔁 상호 관계 요약요소..
Field Notes/notes : Economics
무상감자시 주당단가의 변화
2025.05.14
✅ 전제 조건 (공통 가정)총 자산, 기업가치 변동 없음시장에서 감자 후의 가치도 효율적으로 반영된다고 가정총 시가총액: 100억 원총 주식 수: 100만 주감자 목적: 결손금 보전 (무상감자)➡️ 감자 전 주당 가격 = 100억 ÷ 100만 주 = 1만 원① 액면가 감액형 무상감자🔧 주식 수 변동 없음, 액면가만 낮아짐구조 변화액면가 1,000원 → 200원주식 수: 100만 주 유지시가총액: 변동 없음 (100억)주당 단가 변화감자 전후 주당 시세 변화 없음 → 여전히 1만 원주주의 체감외형상 변화 없음재무제표상 자본금만 줄어들고 결손금 없어짐주주 입장에서는 "나한테 미친 영향 없음" 느낌② 주식 수 병합형 무상감자🔧 주식 수 줄이고, 액면가는 그대로구조 변화5주 → 1주 병합주식 수: 100만 ..
Field Notes/notes : Economics
무상감자의 2가지 방식
2025.05.14
✅ 무상감자의 2가지 방식 요약구분액면가 감액형주식 수 병합형방식주식 수는 그대로, 주당 액면가 감소여러 주식을 합쳐 1주로 (예: 10주 → 1주)효과자본금 감소 + 자본잉여금 증가 or 결손금 보전자본금 감소 + 자본잉여금 증가 or 결손금 보전회계처리 방식자본금 감소 + 다른 자본 항목 이동자본금 감소 + 다른 자본 항목 이동외형적 차이주식 수는 그대로주식 수는 줄어듦 ✅ 예제 상황 공통 가정기존 발행 주식 수: 1,000,000주기존 액면가: 1,000원자본금: 10억 원결손금: 8억 원무상감자 목적: 결손금 보전① 액면가 감액형 무상감자🎯 방식액면가 1,000원 → 200원으로 줄임 (주식 수 그대로)자본금: 10억 → 2억 (8억 감소)📒 회계처리text복사편집[차변] 자본금 8억 [대변]..
Field Notes/notes : Economics
무상감자의 목적
2025.05.14
✅ 무상감자의 개념주주에게 아무런 대가를 지급하지 않고,자본금을 줄이는 행위입니다.즉, "회사 장부상 자본을 줄이되, 현금 유출은 없는" 감자예요.주식 수를 줄이거나 액면가를 줄이거나 해서 장부상 자본금만 줄입니다.✅ 무상감자의 목적목적설명1. 자본잠식 해소누적된 적자로 인해 자본총계가 마이너스(자본잠식) 상태인 경우, 자본금을 줄여 회복하는 용도2. 재무제표 개선감자를 통해 결손금 보전을 하면, 재무제표가 더 깔끔해지고 신뢰도 개선 가능3. 상장유지 요건 충족코스닥 등에서는 자본잠식률이 일정 기준 이상이면 상장폐지 위험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4. 후속 투자 유치 준비재무구조가 나쁘면 투자 유치가 어려우므로, 이를 정리하기 위해 감자를 시행함 ✅ 무상감자 방식방식설명① 액면가 감액형주식 수는 그대로..
Field Notes/notes : Economics
유상감자를 하는 전략적 이유
2025.05.14
✅ 유상감자의 핵심 개념주주가 보유한 주식을 회사가 돈을 주고 사서 소각하는 것회사 입장에서 보면 자기자본이 줄어드는 행위✅ 유상감자를 하는 대표적인 이유구분설명1. 자본 효율성 제고너무 많은 자본금이 있지만, 투자처가 없어 **자본수익률(ROE)**이 낮다면, 감자를 통해 자본을 줄여 수익률을 높일 수 있어요.2. 잉여 현금 활용회사에 현금은 많고 투자 계획은 없을 때, 이걸 주주에게 돌려주기 위해 유상감자를 할 수 있어요. 일종의 고급 배당이죠.3. 주가 부양 효과유통 주식 수가 줄면 주당 순이익(EPS) 상승 →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가능4. 지배구조 개선감자를 통해 특정 주주 지분율 조정 등 지배구조를 재편하려는 목적도 있음5. 자본잠식 회피 (드물지만 있음)계속된 적자로 자본금이 너무 많으면,..
Field Notes/notes : Economics
상장시 공모를 통해 신주발행할 때 자본 회계처리
2025.05.14
✅ 1. 신주의 회계 처리 구조신주 발행으로 자본이 늘어나지만, 자본금 전체가 되는 건 아니고, 다음처럼 나뉘어요:자본금: 액면가 × 발행 주식 수주식발행초과금 (자본잉여금의 한 항목): (공모가 – 액면가) × 발행 주식 수즉, 공모가 전체가 자본금으로 박히는 게 아니고,액면가까지만 자본금에 들어가고,**나머지는 ‘자본잉여금(주식발행초과금)’**으로 들어가요.✅ 2. 예시로 보면액면가 500원짜리 주식을 1,000만 주 공모했고,공모가가 20,000원이었다면:자본금 = 500원 × 1,000만 주 = 5억 원주식발행초과금 = (20,000 – 500) × 1,000만 주 = 1,950억 원총 유입 자본 = 5억 + 1,950억 = 1,955억 원여기서 중요한 건:“회사의 자본금에는 액면가만 반영된다”는..
Field Notes/notes : Economics
Fully Diluted 주식수의 개념, 기업가치 및 지분가치 계산
2025.04.29
1. Fully Diluted 뜻✅ Fully Diluted ="향후 전환될 수 있는 모든 주식(CB, RCPS, 스톡옵션 등) 다 주식으로 변했다 치고 계산하는 것"→ 최악의 희석 시나리오 가정해서→ 진짜 안전한 주당가치 보는 것.2. 기본 계산 플로우흐름적정기업가치 (Enterprise Value)➔ 지분가치 (Equity Value)➔ Fully Diluted 주식수로 나누기➔ 적정 Fully Diluted 주당가치 도출3. 디테일 단계별Step 1: 기업가치 산출 (EV)보통 EV/EBITDA, EV/Sales, DCF로 EV 구함.또는 비상장사면 피어 비교해서 EV 추정함.Step 2: 지분가치(EqV) 계산EV에서순차입금(Net Debt) 빼고전환가능부채(add back) 정리해줘야 함. (→..
Field Notes/notes : Economics
CB, RCPS 전환시 총발행주식수의 변화
2025.04.29
(1) CB 전환 시→ CB는 애초에 "채권"이야.→ 이게 "주식으로 바뀌면서"새 보통주를 추가 발행함.✅ 그래서부채 ↓자본 ↑ (자본금 + 자본잉여금)총발행주식수 ↑ (신규 주식 발행되니까)(2) RCPS 전환 시→ RCPS는 "우선주"였음.(즉, 이미 주식은 맞지만 부채처럼 회계상 잡았던 것, 실제로는 주식)그런데!RCPS ➔ 보통주로 전환하면✅ 구조는 아래와 같이 바뀜:RCPS 소멸 → 보통주 등장(즉, 우선주가 보통주로 '형태'만 바뀌는 거야.)→ 이 과정에서도 총발행주식수는 바뀐다! 왜냐하면대부분 회사들은 우선주를 소멸시키고새로운 보통주를 추가 발행하는 식으로 처리하거나,아니면 형태 변경으로 넘기는데=> 어쨌든 보통주 기준 총발행주식수는 늘어난다.(요약: "보통주 숫자" 기준으로 보면 무조건 늘..
Field Notes/notes : Economics
결손금과 자본잉여금의 차이?
2025.04.29
📘 결손금과 자본잉여금의 차이결손금: 기업이 누적된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재무상태표의 이익잉여금 항목에서 음수로 나타남.​자본잉여금: 주식 발행 초과금, 감자차익 등 자본 거래에서 발생한 잉여금으로, 결손금과는 별개의 항목임.​🔄 결손금 보전 방법결손금을 보전하기 위해 기업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자본잉여금 전입: 자본잉여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하여 결손금을 보전할 수 있음.​감자: 자본금을 줄여 결손금을 보전하는 방법으로, 무상감자나 유상감자가 있음.​이익 창출: 향후 이익을 통해 결손금을 상쇄할 수 있음.​✅ 요약결손금은 이익잉여금 항목에서 음수로 표시되며, 자본잉여금에 쌓이지 않음.​결손금을 보전하기 위해 자본잉여금을 전입하거나 감자를 실시할 수 있음.
Field Notes/notes : Economics
유상감자시 BS 영향(감자차익, 감자차손)
2025.04.29
✅ 유상감자란?유상감자는 회사가 주주로부터 주식을 매입하여 소각하면서 자본금을 줄이는 방식임. 이 과정에서 주주에게 보상을 지급하므로, 회사의 자산과 자본이 모두 감소함. 이러한 이유로 유상감자는 실질적 감자라고 부름.📊 유상감자 전후 변화 요약 항목유상감자 전유상감자 후 변화내용자본금감소 전감소 후주식 소각으로 감소자본잉여금변동 없음 또는 감소변동 없음 또는 감소감자차손 발생 시 감소 가능이익잉여금변동 없음 또는 감소변동 없음 또는 감소감자차손 발생 시 감소 가능주식 수N주N - 감자주식 수주식 소각으로 감소액면가동일동일변동 없음총자본감소 전감소 후주주 보상으로 감소자산감소 전감소 후현금 유출로 감소🔍 감자차익 vs 감자차손감자차익: 주당 보상금이 액면가보다 낮을 때 발생하며, 자본잉여금으로 처리감..
Field Notes/notes : Economics
무상감자 흐름 최종 정리
2025.04.29
무상증자 흐름 정리무상증자 =회사가 자기 돈(자본잉여금이나 이익잉여금)으로주주한테 "공짜로" 주식을 나눠주는 것. ✅ 그래서현금 변화 없음자본잉여금 or 이익잉여금 감소자본금 증가 (발행주식수 증가)총자본 변동 없음1. 자본잉여금 줄고, 자본금 늘어남.무상증자하면 보통자본잉여금(또는 이익잉여금) 깎아서자본금을 늘림.(=> BS 안에서 이동하는 것. 외부 돈 없이.)2. 액면가 줄어드는 건 아니다 (보통)무상증자할 때는 액면가는 유지하고주식 수만 늘린다.✅ 보통 구조: 액면가 500원 그대로 → 주식 수 2배 (ex: 1주당 1주 추가) (액면가 자체를 바꾸는 건 액면분할로 다른 개념)3. 주식 수 늘어나무상증자하면 총발행주식 수가 늘어남기존 주주가 가진 비율은 똑같고, 주식 수만 많아져서 주식 가격은 ..
Field Notes/notes : Economics
무상감자 2가지 방식(주식 병합, 액면가 조정)
2025.04.29
🧾 무상감자란?무상감자는 회사가 주주에게 아무런 보상 없이 자본금을 줄이는 것을 말해. 주로 자본잠식 상태에서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됨.🔄 무상감자의 방법무상감자는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음.주식 병합 방식: 여러 주식을 하나로 합쳐서 주식 수를 줄이는 방법. 예를 들어, 10:1 병합이라면 10주를 1주로 합치는 것. 이 경우, 액면가는 그대로지만 주식 수가 줄어들어 자본금이 감소함.액면가 조정 방식: 주식 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액면가를 낮추는 방법. 예를 들어, 액면가를 5,000원에서 1,000원으로 낮추면 자본금이 감소함.📊 무상감자 전후의 변화항목무상감자 전무상감자 후자본금감소감소자본잉여금증가증가주식 수감소 또는 유지감소 또는 유지액면가유지 또는 감소유지 또는 감소총자본변동..
Field Notes/notes : Economics
무상감자할 때 결손금을 어떻게 메꾸는지?
2025.04.29
정답부터 말하면:자본잉여금 → 이익잉여금으로 직접 이동하지 않음.정확한 구조자본잉여금은 주식 발행할 때 초과해서 받은 돈(프리미엄)이익잉여금은 영업해서 벌거나 손해 본 결과(순이익/순손실 누적)→ 이 둘은 본질적으로 다른 돈임.(성격 자체가 달라서 직접 휙 바꿀 수 없음.)그럼 결손금(마이너스 이익잉여금)을 어떻게 메꾸냐?"자본금"을 줄여서(감자해서) 이익잉여금을 보전하는 방식임.즉!감자하면 자본금 ↓감자하면서 '줄인 자본금'을 이익잉여금 결손 메우는 데 씀자본잉여금은 가만히 있음 (움직이지 않음)다시, 플로우 정확히감자 (자본금 감소)감소한 자본금을 결손금 보전(= 이익잉여금 증가)자본잉여금은 건드리지 않음실전 예로 다시감자 전금액자본금100억자본잉여금50억이익잉여금(결손금)-30억여기서 감자 30억 ..
Field Notes/notes : Economics
무상감자시 BS/PL 변화
2025.04.29
무상감자 흐름 개념부터무상감자 ="회사가 현금 안 쓰고, 그냥 장부상으로 '자본금' 줄여서 '결손금' 메꾸는 것."현금 변화 ❌ 없음자본금 ↓이익잉여금(결손금) ↑ (적자 줄이는 용도로)실제 흐름 예제가상의 회사 상황:항목금액자본금100억자본잉여금50억이익잉여금 (결손금)-30억총자본120억(결손금이 -30억이라 회사 재무가 안 좋음)이 회사가 무상감자해서자본금 30억을 깎아 결손금 30억 메꾼다고 하면,감자 전 BS (대차대조표)자산부채 및 자본자산총계120억부채총계0억자본금100억자본잉여금50억이익잉여금-30억무상감자 실행 후자본금: 100억 → 70억 (30억 줄임)이익잉여금: -30억 → 0억 (결손금 메꿈)(현금 변화 없음)감자 후 BS자산부채 및 자본자산총계120억부채총계0억자본금70억자본잉여..
Field Notes/notes : Economics
감자/증자시 BS/PL에 영향
2025.04.29
2. 감자/증자할 때 BS/PL 변화(1) 감자(자본줄이기)✅ 두 가지 방식 있음:무상감자: 그냥 자본을 줄여서 결손 보전 (현금 변화 없음)유상감자: 주주한테 돈 주고 주식 소각 (현금도 나감)무상감자:자본금 ↓이익잉여금 보전 (적자 메꾸는 데 씀)현금 영향 없음유상감자:자본금 ↓현금 ↓(2) 증자(자본늘리기)✅ 대표적으로유상증자: 돈 받고 주식 발행 (현금 들어옴)무상증자: 적립금(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으로 주식 발행 (현금 변화 없음)유상증자:현금 ↑자본금 ↑ (액면가 만큼)자본잉여금 ↑ (초과금액 만큼)무상증자:자본 내부 이동 (적립금→자본금 이동)현금 변화 없음✨ 완전 압축 정리항목현금 변화자본금 변화자본잉여금 변화PL 변화자사주 매입감소없음자본조정(마이너스) 증가없음무상감자없음감소결손금 보전..
Field Notes/notes : Economics
자사주 매입시 BS/PL 영향 정리
2025.04.29
1. 자사주 매입할 때 BS/PL 변화자사주 매입하면 흐름은 이렇게 됨:✅ BS 변동현금 ↓ (자사주 매입에 돈 쓰니까)자본 항목 중 자본조정 ↓ (자사주를 자본 차감으로 기록함)✅ PL 변동없음!!(자사주 매입 자체는 손익에 영향 안 줘. PL은 깨끗.)디테일 흐름계정변화현금및현금성자산감소자본조정 (자기주식)증가(마이너스 효과, 자본 감소)자본총계감소PL(손익)변화 없음※자사주 매입은 "자본을 줄이는 행동"이지 "손익을 건드리는 게 아님"(회사는 작아지는 것이고 주주가치 강화 목적으로 함)
Field Notes/notes : Economics
영업손실의 BS 반영 ▶️▶️확인
2025.04.29
1. 영업손실 → 결손금 생김 → PL 이익잉여금 줄어듦 → BS에도 반영✅ 영업손실 →PL에 당기순손실로 찍힘 →BS에 이익잉여금(적립금)이 줄어듦 →(※단, 이건 '회사의 가치'가 줄어드는 거지, 바로 현금 빠진다는 뜻은 아님)→ 현금 줄어드는 건 손실로 인한 현금유출이 따로 있으면 그 때 줄어듦.
Field Notes/notes : Economics
무형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는 조건
2025.04.29
IFRS 국제회계기준 (K-IFRS 기준)딱 6개 조건이 있다:기술적 실현 가능성 (제품 만들 수 있음이 확실해야 함)의도 (진짜 판매하거나 사용할 의도가 있어야 함)방법 (기술, 생산 설비, 시장이 확보돼야 함)경제적 효익 (이거 팔면 돈 벌 수 있을 게 보여야 함)충분한 자원 (돈, 인력 확보돼 있어야 함)개발비 측정 가능성 (개발하는 데 돈 얼마 들었는지 추적 가능해야 함)요약하면"상용화 가능성 + 돈 벌 확신 + 추적 가능성"이 세 가지가 핵심이다.
Field Notes/notes : Economics
재무제표 분석기초
2025.04.27
📘 재무제표 분석 기초 (개정판)🟦 1. 재무제표 분석의 필요성기업의 의사결정, 투자 판단, 신용 분석 등에 필수.단순 숫자 해석이 아닌 기업의 구조와 흐름을 읽는 능력이 중요.회계의 목적은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 제공'이며, 기업의 의도와 재무 숫자 간의 연결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 2. 재무제표 구성 요소와 특징✅ 재무제표 구성재무상태표(B/S): 특정 시점의 자산·부채·자본손익계산서(I/S): 일정 기간 동안의 수익·비용 및 순이익현금흐름표(C/F): 실제 현금의 유입과 유출자본변동표(S/C): 자본금, 이익잉여금, 자본잉여금 등의 변화주석: 수치에 대한 상세 설명 및 회계정책 공개✅ B/S 구조 이해자산 = 부채 + 자본 (재무제표의 핵심 공식)유동자산/비유동자산, 유동부채/비유동부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