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상증자 흐름 정리
무상증자 =
회사가 자기 돈(자본잉여금이나 이익잉여금)으로
주주한테 "공짜로" 주식을 나눠주는 것.
✅ 그래서
- 현금 변화 없음
- 자본잉여금 or 이익잉여금 감소
- 자본금 증가 (발행주식수 증가)
- 총자본 변동 없음
1. 자본잉여금 줄고, 자본금 늘어남.
- 무상증자하면 보통
자본잉여금(또는 이익잉여금) 깎아서
자본금을 늘림.
(=> BS 안에서 이동하는 것. 외부 돈 없이.)
2. 액면가 줄어드는 건 아니다 (보통)
- 무상증자할 때는 액면가는 유지하고
- 주식 수만 늘린다.
✅ 보통 구조:
액면가 500원 그대로 → 주식 수 2배 (ex: 1주당 1주 추가)
(액면가 자체를 바꾸는 건 액면분할로 다른 개념)
3. 주식 수 늘어나
- 무상증자하면 총발행주식 수가 늘어남
- 기존 주주가 가진 비율은 똑같고, 주식 수만 많아져서 주식 가격은 싸진다 (시장가치 유지)
✨ 요약 딱 압축
항목변화
자본금 | 증가 |
자본잉여금 | 감소 |
총자본 | 그대로 |
주식 수 | 증가 |
액면가 | 그대로 (보통) |
"무상증자는 '돈 안 받고' 주식만 늘리는 것.
자본금은 늘고, 주식 수는 늘고, 총자본은 그대로.
액면가 줄이는 건 액면분할일 때!"
반응형
'Field Notes > notes :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손금과 자본잉여금의 차이? (1) | 2025.04.29 |
---|---|
유상감자시 BS 영향(감자차익, 감자차손) (1) | 2025.04.29 |
무상감자 2가지 방식(주식 병합, 액면가 조정) (1) | 2025.04.29 |
무상감자할 때 결손금을 어떻게 메꾸는지? (1) | 2025.04.29 |
무상감자시 BS/PL 변화 (1)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