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상감자란?
무상감자는 회사가 주주에게 아무런 보상 없이 자본금을 줄이는 것을 말해. 주로 자본잠식 상태에서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됨.
🔄 무상감자의 방법
무상감자는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음.
- 주식 병합 방식: 여러 주식을 하나로 합쳐서 주식 수를 줄이는 방법. 예를 들어, 10:1 병합이라면 10주를 1주로 합치는 것. 이 경우, 액면가는 그대로지만 주식 수가 줄어들어 자본금이 감소함.
- 액면가 조정 방식: 주식 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액면가를 낮추는 방법. 예를 들어, 액면가를 5,000원에서 1,000원으로 낮추면 자본금이 감소함.
📊 무상감자 전후의 변화
항목무상감자 전무상감자 후
자본금 |
감소 |
감소 |
자본잉여금 |
증가 |
증가 |
주식 수 |
감소 또는 유지 |
감소 또는 유지 |
액면가 |
유지 또는 감소 |
유지 또는 감소 |
총자본 |
변동 없음 |
변동 없음 |
- 자본금: 무상감자를 통해 감소
- 자본잉여금: 자본금이 줄어든 만큼 증가
- 주식 수: 주식 병합 방식이면 감소하고, 액면가 조정 방식이면 유지
- 액면가: 액면가 조정 방식이면 감소하고, 주식 병합 방식이면 유지
- 총자본: 자본금이 줄고 자본잉여금이 늘어나므로 총자본은 변동 없음.
💡 예시
- 주식 병합 방식: 10:1 병합을 하면, 기존에 1,000주를 가지고 있던 주주는 100주를 갖게 됨. 액면가는 그대로지만 주식 수가 줄어들어 자본금이 감소함.
- 액면가 조정 방식: 액면가를 5,000원에서 1,000원으로 낮추면, 주식 수는 그대로지만 자본금이 감소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