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ry berry 작업실

반응형

무상감자 흐름 개념부터

무상감자 =
"회사가 현금 안 쓰고, 그냥 장부상으로 '자본금' 줄여서 '결손금' 메꾸는 것."

  • 현금 변화 ❌ 없음
  • 자본금 ↓
  • 이익잉여금(결손금) ↑ (적자 줄이는 용도로)

실제 흐름 예제

가상의 회사 상황:

항목금액
자본금 100억
자본잉여금 50억
이익잉여금 (결손금) -30억
총자본 120억

(결손금이 -30억이라 회사 재무가 안 좋음)


이 회사가 무상감자해서
자본금 30억을 깎아 결손금 30억 메꾼다고 하면,

감자 전 BS (대차대조표)

자산부채 및 자본
자산총계 120억
부채총계 0억
자본금 100억
자본잉여금 50억
이익잉여금 -30억

무상감자 실행 후

  • 자본금: 100억 → 70억 (30억 줄임)
  • 이익잉여금: -30억 → 0억 (결손금 메꿈)

(현금 변화 없음)


감자 후 BS

자산부채 및 자본
자산총계 120억
부채총계 0억
자본금 70억
자본잉여금 50억
이익잉여금 0억

포인트 정리

  • 자산 변동 없음
  • 부채 변동 없음
  • 자본 구조만 재조정
  • 자본금 ↓, 이익잉여금 ↑
  • 총자본 합계는 변동 없음

추가로 PL은?

  • 무상감자 실행한다고 해서
    PL(손익계산서)에는 변화 없다.

왜냐면:
PL은 '해당 기간 영업성과' 보는 거라서,
과거 결손 메꿨다고 당기순이익이 생기진 않음!

(PL 변화 ❌)


✨ 초요약

"무상감자는 자본금 줄여서 결손 메우는 것.
현금도, PL도 변동 없고 BS 안에서 자본구조만 바뀐다.
"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