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 감자/증자할 때 BS/PL 변화
(1) 감자(자본줄이기)
✅ 두 가지 방식 있음:
- 무상감자: 그냥 자본을 줄여서 결손 보전 (현금 변화 없음)
- 유상감자: 주주한테 돈 주고 주식 소각 (현금도 나감)
무상감자:
- 자본금 ↓
- 이익잉여금 보전 (적자 메꾸는 데 씀)
- 현금 영향 없음
유상감자:
- 자본금 ↓
- 현금 ↓
(2) 증자(자본늘리기)
✅ 대표적으로
- 유상증자: 돈 받고 주식 발행 (현금 들어옴)
- 무상증자: 적립금(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으로 주식 발행 (현금 변화 없음)
유상증자:
- 현금 ↑
- 자본금 ↑ (액면가 만큼)
- 자본잉여금 ↑ (초과금액 만큼)
무상증자:
- 자본 내부 이동 (적립금→자본금 이동)
- 현금 변화 없음
✨ 완전 압축 정리
항목현금 변화자본금 변화자본잉여금 변화PL 변화
자사주 매입 | 감소 | 없음 | 자본조정(마이너스) 증가 | 없음 |
무상감자 | 없음 | 감소 | 결손금 보전 | 없음 |
유상감자 | 감소 | 감소 | 없음 | 없음 |
유상증자 | 증가 | 증가(액면가) | 증가(초과금) | 없음 |
무상증자 | 없음 | 증가 | 감소 | 없음 |
반응형
'Field Notes > notes :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상감자할 때 결손금을 어떻게 메꾸는지? (1) | 2025.04.29 |
---|---|
무상감자시 BS/PL 변화 (1) | 2025.04.29 |
자사주 매입시 BS/PL 영향 정리 (1) | 2025.04.29 |
영업손실의 BS 반영 ▶️▶️확인 (1) | 2025.04.29 |
무형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는 조건 (1)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