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무상감자의 개념
- 주주에게 아무런 대가를 지급하지 않고,
자본금을 줄이는 행위입니다. - 즉, "회사 장부상 자본을 줄이되, 현금 유출은 없는" 감자예요.
- 주식 수를 줄이거나 액면가를 줄이거나 해서 장부상 자본금만 줄입니다.
✅ 무상감자의 목적
목적설명
1. 자본잠식 해소 | 누적된 적자로 인해 자본총계가 마이너스(자본잠식) 상태인 경우, 자본금을 줄여 회복하는 용도 |
2. 재무제표 개선 | 감자를 통해 결손금 보전을 하면, 재무제표가 더 깔끔해지고 신뢰도 개선 가능 |
3. 상장유지 요건 충족 | 코스닥 등에서는 자본잠식률이 일정 기준 이상이면 상장폐지 위험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 |
4. 후속 투자 유치 준비 | 재무구조가 나쁘면 투자 유치가 어려우므로, 이를 정리하기 위해 감자를 시행함 |
✅ 무상감자 방식
방식설명
① 액면가 감액형 | 주식 수는 그대로 두고, 주당 액면가를 줄이는 방식 → 자본금 줄고, 자본잉여금이나 결손금 보전 |
② 주식 수 감소형 | 주식 수 자체를 줄이는 방식 → 예: 10주를 1주로 병합 → 주주 입장에서는 주식 수 줄지만, 가치 변동 없음 (이론상) |
✅ 무상감자 후 주주에겐 어떤 영향이?
- 주식 수가 줄거나 액면가가 줄지만,
기업 가치 전체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주당 가치가 보정되므로 주주 입장에서 손해는 없음 (이론상) - 하지만 실제로는 감자 = 회사가 힘들다는 시그널로 해석될 수 있어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줄 때도 있어요.
✅ 유상감자 vs 무상감자 요약표
항목유상감자무상감자
현금 유출 | 있음 (주주에게 돈 줌) | 없음 |
주주 수익 | 있음 (현금 수령) | 없음 |
자본금 감소 | O | O |
결손금 보전 | 간접적 (일부 경우) | 주목적 |
자본잠식 해소 | 간접 | 주로 사용 |
주가 영향 | 단기 호재인 경우 있음 | 부정적 시그널 가능 |
반응형
'Field Notes > Support :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상감자시 주당단가의 변화 (1) | 2025.05.14 |
---|---|
무상감자의 2가지 방식 (1) | 2025.05.14 |
유상감자를 하는 전략적 이유 (1) | 2025.05.14 |
상장시 공모를 통해 신주발행할 때 자본 회계처리 (1) | 2025.05.14 |
Fully Diluted 주식수의 개념, 기업가치 및 지분가치 계산 (1)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