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무상감자의 2가지 방식 요약
구분액면가 감액형주식 수 병합형
방식 | 주식 수는 그대로, 주당 액면가 감소 | 여러 주식을 합쳐 1주로 (예: 10주 → 1주) |
효과 | 자본금 감소 + 자본잉여금 증가 or 결손금 보전 | 자본금 감소 + 자본잉여금 증가 or 결손금 보전 |
회계처리 방식 | 자본금 감소 + 다른 자본 항목 이동 | 자본금 감소 + 다른 자본 항목 이동 |
외형적 차이 | 주식 수는 그대로 | 주식 수는 줄어듦 |
✅ 예제 상황 공통 가정
- 기존 발행 주식 수: 1,000,000주
- 기존 액면가: 1,000원
- 자본금: 10억 원
- 결손금: 8억 원
- 무상감자 목적: 결손금 보전
① 액면가 감액형 무상감자
🎯 방식
- 액면가 1,000원 → 200원으로 줄임 (주식 수 그대로)
- 자본금: 10억 → 2억 (8억 감소)
📒 회계처리
text
복사편집
[차변] 자본금 8억 [대변] 결손금 8억
👉 자본금 8억 줄여서, 결손금 소멸
→ 주식 수는 변하지 않음
→ 재무구조 개선 (자본잠식 해소)
② 주식 수 병합형 무상감자
🎯 방식
- 5주를 1주로 병합 → 주식 수 100만주 → 20만주
- 액면가 동일 (1,000원)
- 자본금: 10억 → 2억 (8억 감소)
📒 회계처리
text
복사편집
[차변] 자본금 8억 [대변] 결손금 8억
👉 회계처리는 액면가 감액형과 동일하지만,
→ 주식 수가 줄어드는 점이 다름
→ 주당 가치(이론상)는 동일 (총 자산/총 주식 수)
✅ 비교 요약표
항목액면가 감액형주식 수 병합형
주식 수 | 유지됨 | 줄어듦 |
액면가 | 낮아짐 (예: 1,000원 → 200원) | 동일 |
자본금 | 감소 | 감소 |
자본금 감소 후 처리 | 보통 결손금 보전 | 보통 결손금 보전 |
회계처리 | 동일 (자본금 감소 → 결손금 보전) | 동일 |
주주 체감 | 감자 느낌 적음 | 체감 강함 (주식 수 줄어듦) |
시장 반응 | 상대적으로 덜 민감 | 때로는 부정적 반응 유도 |
✅ 정리
두 방식 모두 회계처리는 비슷하지만,
외형적으로 주식 수가 줄어드는 병합형은
시장에서 감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더 클 수 있습니다.
반면, 액면가 감액형은 감자 효과는 있지만 덜 체감되죠.
반응형
'Field Notes > Support :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자본, Working Capital 개념 (1) | 2025.05.14 |
---|---|
무상감자시 주당단가의 변화 (1) | 2025.05.14 |
무상감자의 목적 (1) | 2025.05.14 |
유상감자를 하는 전략적 이유 (1) | 2025.05.14 |
상장시 공모를 통해 신주발행할 때 자본 회계처리 (1)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