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CB 전환 시
→ CB는 애초에 "채권"이야.
→ 이게 "주식으로 바뀌면서"
새 보통주를 추가 발행함.
✅ 그래서
- 부채 ↓
- 자본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총발행주식수 ↑ (신규 주식 발행되니까)
(2) RCPS 전환 시
→ RCPS는 "우선주"였음.
(즉, 이미 주식은 맞지만 부채처럼 회계상 잡았던 것, 실제로는 주식)
그런데!
RCPS ➔ 보통주로 전환하면
✅ 구조는 아래와 같이 바뀜:
- RCPS 소멸 → 보통주 등장
(즉, 우선주가 보통주로 '형태'만 바뀌는 거야.)
→ 이 과정에서도 총발행주식수는 바뀐다!
왜냐하면
- 대부분 회사들은 우선주를 소멸시키고
- 새로운 보통주를 추가 발행하는 식으로 처리하거나,
- 아니면 형태 변경으로 넘기는데
=> 어쨌든 보통주 기준 총발행주식수는 늘어난다.
(요약: "보통주 숫자" 기준으로 보면 무조건 늘어나는 게 맞아.)
정리
구분 | 처음 | 전환후 | 총발행주식수 |
CB | 부채 | 보통주 신규 발행 | 늘어남 |
RCPS | 우선주 (자본 또는 부채) | 보통주로 전환 | 늘어남 |
+ 여기서 꿀팁 추가
RCPS 전환 시 주의해야 하는 거:
- 전환비율 (보통주 1주당 몇 주로 바뀌냐?)
- 전환가액 (주당 전환가격 얼마로 잡혀있냐?)
- 전환시 희석비율 (기존 주주지분 얼마나 줄어드냐?)
✨ 초요약
"CB는 신규 보통주 발행, RCPS는 우선주→보통주로 바뀌면서 총발행주식수(보통주 기준) 무조건 늘어난다."
반응형
'Field Notes > Support :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장시 공모를 통해 신주발행할 때 자본 회계처리 (1) | 2025.05.14 |
---|---|
Fully Diluted 주식수의 개념, 기업가치 및 지분가치 계산 (1) | 2025.04.29 |
재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키워드 모음 (1) | 2025.04.29 |
결손금과 자본잉여금의 차이? (1) | 2025.04.29 |
유상감자시 BS 영향(감자차익, 감자차손) (1)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