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y Diluted 주식수의 개념, 기업가치 및 지분가치 계산
2025. 4. 29. 13:41
반응형

1. Fully Diluted 뜻

Fully Diluted =
"향후 전환될 수 있는 모든 주식(CB, RCPS, 스톡옵션 등) 다 주식으로 변했다 치고 계산하는 것"

최악의 희석 시나리오 가정해서
진짜 안전한 주당가치 보는 것.


2. 기본 계산 플로우

흐름

적정기업가치 (Enterprise Value)
지분가치 (Equity Value)
Fully Diluted 주식수로 나누기
적정 Fully Diluted 주당가치 도출


3. 디테일 단계별

Step 1: 기업가치 산출 (EV)

  • 보통 EV/EBITDA, EV/Sales, DCF로 EV 구함.
  • 또는 비상장사면 피어 비교해서 EV 추정함.

Step 2: 지분가치(EqV) 계산

EV에서

  • 순차입금(Net Debt) 빼고
  • 전환가능부채(add back) 정리해줘야 함.

 

(→ Net Debt = 총차입금 - 현금성자산)

[공식]

지분가치 (Equity Value) = EV - 순차입금

(※ 상장 직전이면 추가로 RCPS, CB 상환/전환까지 반영해야 정확함!)


Step 3: Fully Diluted 주식수 계산

기본주식수

  • 전환 가능한 모든 CB, RCPS 주식수
  • 스톡옵션 행사분 주식수
  • BW, 신주인수권부채권 등 행사 가능 주식수

전부 더한다!

(※ 단, 옵션 중 'In the Money'인 것만 반영하는 게 기본.)


Step 4: 적정주가 계산

적정주가 (Fully Diluted 기준) = 지분가치 / Fully Diluted 주식수


4. 풀 예시

가정

  • EV (기업가치) = 1,000억 원
  • 순차입금 = 200억 원
  • 기본주식수 = 10,000,000주
  • CB 전환 가능주식수 = 2,000,000주
  • 스톡옵션 행사 가능주식수 = 1,000,000주

계산

  1. 지분가치 = 1,000억 - 200억 = 800억 원
  2. Fully Diluted 주식수 = 10,000,000 + 2,000,000 + 1,000,000 = 13,000,000주
  3. 적정 Fully Diluted 주가 =
    800억 ÷ 1,300만주 = 약 6,154원/주

5. 현업 꿀팁

  • 상장 전 IR 자료 보면 항상
    "희석 고려 시 주식수" 따로 공시함 (→ 여기 숫자 필수로 확인해야 해함
  • 특히, CB, RCPS 전환가액 리픽싱 조항 있으면 최악 시나리오 따져야 함
  • 공모가 산정할 때 Fully Diluted 주가 고려 안 하면 상장 직후 물리는 경우 많다 (희석 이슈 폭탄)

✨ 초요약

"Fully Diluted = 모든 잠재 전환주식 반영해서 희석 다 고려한 주가.
계산은 '지분가치 ÷ Fully Diluted 주식수'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