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Endocrine
- Diabetes
- 당뇨병 (Diabetes Mellitus)
- 정의: 인슐린 분비 또는 작용 이상으로 고혈당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대사질환
- 분류
- 1형 DM: 자가면역성, 인슐린 절대 결핍 (젊은 나이 발병, 케톤산증 위험↑)
- 2형 DM: 인슐린 저항성 + 분비 부족 (중장년, 비만 관련)
- 진단 기준 (1개 이상 해당 시)
- 공복 혈당 ≥ 126 mg/dL
- 75g OGTT 2시간 후 ≥ 200 mg/dL
- 당화혈색소(HbA1c) ≥ 6.5%
- 증상 + 무작위 혈당 ≥ 200 mg/dL
- 목표치 (일반 환자 기준)
- HbA1c < 7.0%
- 공복혈당 80–130 mg/dL
- 식후 2시간 혈당 < 180 mg/dL
💊 경구혈당강하제 요약- Metformin
- 1차 약제 (체중중립, 저혈당 없음)
- 용량: 500–2000mg/day (분할 복용)
- 부작용: 위장장애, 젖산산증 (신기능저하 시 금기)
✅ 2. Sulfonylureas- Glimepiride, Gliclazide
- 기전: 췌장 β세포 인슐린 분비 촉진
- 부작용: 저혈당, 체중 증가
- 주의: 노인,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 저혈당 위험↑
✅ 3. Meglitinides- Repaglinide, Nateglinide
- 식사 직전 복용 → 식후 혈당 조절
- 작용 빠르고 짧음 → 저혈당 위험 ↓
✅ 4. Thiazolidinediones (TZDs)- Pioglitazone
- 기전: 인슐린 감수성 증가
- 부작용: 체중 증가, 부종, 심부전 악화 가능, 골절 위험
✅ 5. DPP-4 억제제- Sitagliptin, Linagliptin
- 기전: 인크레틴 분해 억제 → GLP-1 활성 ↑
- 저혈당 위험 낮고 체중 중립
- 병용 시 Metformin + DPP-4 자주 사용
✅ 6. SGLT2 억제제- Dapagliflozin, Empagliflozin
- 기전: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 억제 → 요로 배출
- 장점: 체중↓, 혈압↓, 심혈관·신장 보호
- 부작용: 요로감염, 케톤산증 (정상 혈당에서도 가능)
✅ 7. α-glucosidase 억제제- Acarbose
- 기전: 소장에서 당분해 지연 → 식후 혈당↓
- 부작용: 복부팽만, 가스, 설사 (복용 초기 불편감)
💉 인슐린 요법 요약종류 작용시작 지속시간 예시초속효성 15분 3–5시간 Lispro, Aspart 속효성 30–60분 5–8시간 Regular insulin 중간형 1–2시간 10–16시간 NPH 지속형 1–2시간 24시간 이상 Glargine, Detemir Premix 혼합형 식사 전 사용 70/30 혼합형 등 - 기본 + 식사 전 전략 (Basal-Bolus) 권장
- 주입 펌프 (CSII): 1형 당뇨에 효과적
💡 혈당 관리 전략- 1차: Metformin + 생활요법
- 추가: HbA1c 목표 미달 시 → 환자 특성 따라 2제/3제 병용
- 심혈관/신질환 동반 → SGLT2i, GLP-1RA 우선 고려
- 인슐린 시작: HbA1c >10% or 증상 동반 고혈당
- ✅ 분류
- ✅ 1. Biguanide
- 🧠 질병 요약
- 당뇨병 (Diabetes Mellitus)
- Thyroid
- 갑상선질환🧠 질병 요약
- 정의: 갑상선호르몬(T3, T4) 과다 분비로 인해 대사과잉 상태
- 주요 원인
- 그레이브스병: 자가면역 (TSH-R 항체 ↑)
- 독성결절, 갑상선염, 요오드 과다 섭취 등
- 증상
- 체중감소, 식욕증가, 더위민감성, 불면, 손떨림, 빈맥, 월경불순
- 진단
- TSH ↓ + T3/T4 ↑
- TSH-R Ab 양성 → 그레이브스병 의심
💊 치료 요약- Methimazole (MMI)
- 1차 약제 (임신 1기 제외)
- 용량: 초기 10–30mg/day → 유지 5–10mg
- 부작용: 피부 발진, 간독성, 무과립구증 (주의)
- Propylthiouracil (PTU)
- 임신 1분기 선호 (태반 투과 적음)
- 고용량 필요 (100mg tid)
- 추가효과: 말초 T4 → T3 전환 억제
- Propranolol
- 증상조절용 (빈맥, 떨림)
- 고용량 시 T4 → T3 전환 억제도 일부
- 비수술적 영구 치료 가능
- 금기: 임신, 수유부
- 투여 후 수개월간 갑상선기능저하 발생 가능
- 젊은 여성, 종양 의심, 항갑상선제 불내성 시 고려
🔹 갑상선기능저하증 (Hypothyroidism)- 정의: 갑상선호르몬 결핍 → 대사 저하 상태
- 주요 원인
- 자가면역성 갑상선염(하시모토병): TPO Ab↑
- 갑상선 절제술, RAI 치료 후, 요오드 부족
- 증상
- 피로, 추위 민감, 체중 증가, 변비, 우울, 느린 심박수, 월경과다
- 진단
- TSH ↑, T4 ↓
💊 치료 요약- Levothyroxine (T4)
- 1차 치료
- 용량:
- 성인: 1.6mcg/kg/day
- 노인/심질환자: 25–50mcg/day로 시작
- 복용법: 아침 공복, 음식과 30–60분 간격
- 부작용: 과량 시 기능항진 유사 증상
- TSH 모니터링
- 복용 시작 후 6–8주 후 → TSH 재측정 → 용량 조절
💡 특수 상황- 임신 중
- 항갑상선제: PTU (1분기) → MMI (2–3분기)
- 기능저하증: Levothyroxine 필요, TSH 목표 낮춤
- 무과립구증 의심: 발열, 인후통 시 항갑상선제 즉시 중단 + CBC 검사
- 🧠 질병 요약
- ✅ 항갑상선제
- 갑상선기능항진증 (Hyperthyroidism)
- 갑상선질환🧠 질병 요약
- Adrenal
- 쿠싱증후군 (Cushing’s Syndrome)
- 정의: 코르티솔 과다에 의한 내분비 질환
- 원인
- ACTH 의존성: 뇌하수체 선종 (쿠싱병), 이소성 ACTH 분비
- ACTH 비의존성: 부신종양, 스테로이드 과다 복용
- 증상
- 중심비만, 보름달 얼굴, 버팔로 험프
- 근위부 근력약화, 골다공증, 고혈압, 당뇨, 여드름
- 진단
- 1차: 24시간 소변 코르티솔↑, 1mg Dexamethasone 억제검사, 자정 혈중 코르티솔
- 원인 감별: ACTH 측정 + 뇌 MRI/부신 CT
💊 치료 요약- 원인 치료가 기본: 종양 제거 수술
- 약물 치료 (비수술적 또는 수술 실패 시)
- Ketoconazole: 스테로이드 합성 억제 (간독성 주의)
- Metyrapone: 11β-hydroxylase 억제 (코르티솔↓)
- Mitotane: 부신피질세포 파괴 (부신암에 사용)
- Pasireotide: ACTH 생성 억제 (피하주사)
- 스테로이드 중단 시: 부신기능저하 위험 → 서서히 감량
- 🧠 질병 요약
- 애디슨병 (Addison’s Disease, 부신기능저하증)
- 정의: 부신피질 호르몬(코르티솔 ± 알도스테론) 결핍
- 원인
- 1차성 (부신 원발): 자가면역, 결핵, 부신 절제
- 2차성: 스테로이드 중단, 뇌하수체 이상
- 증상
- 피로, 체중 감소, 저혈압,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 피부 착색 (1차성에서만)
- 진단
- Cortisol↓ + ACTH↑ (1차) / ACTH↓ (2차)
- ACTH 자극검사로 확진
💊 치료 요약- 1차성:
- Hydrocortisone (15–30mg/day 분할) +
- Fludrocortisone (0.05–0.2mg/day, 알도스테론 대체)
- 2차성:
- Hydrocortisone 단독 (무알도스테론 결핍)
⚠️ 부신위기 (Adrenal Crisis)- 원인: 감염, 수술, 외상 시 갑작스러운 스테로이드 요구 증가
- 증상: 쇼크, 저혈압, 저혈당, 혼수
- 치료:
- Hydrocortisone 100mg IV bolus → 지속주입
- 수액 (NS + Dextrose), 전해질 보정
- 원인 교정 후 유지용량 복귀
- 🧠 질병 요약
- 쿠싱증후군 (Cushing’s Syndrome)
- Acromegaly/Hypopituitarism
- 말단비대증 (Acromegaly)
- 정의: 성장호르몬(GH) 과다 분비 → IGF-1 증가 → 말단 조직 비대
- 원인: 대부분 뇌하수체 선종 (GH-producing adenoma)
- 증상
- 손, 발, 턱, 이마 비대, 관절통, 수면무호흡
- 고혈당, 심비대, 고혈압, 대장암 위험 ↑
- 진단
- IGF-1 ↑ + OGTT 후 GH 억제 실패
- MRI: 뇌하수체 종양 확인
💊 치료 요약- 1차 치료: 수술 (경접형적 종양 절제술)
- 약물 치료
- Somatostatin 유사체: Octreotide, Lanreotide
- → GH 분비 억제, 피하 or 근육 주사
- GH 수용체 길항제: Pegvisomant
- → IGF-1 억제 (효과 좋음, 고가)
- Dopamine agonist: Cabergoline
- → 경구, 효과는 제한적이나 편리
- 🧠 질병 요약
-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Hypopituitarism)
- 정의: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부분 또는 전체 결핍
- 원인: 종양, 수술/방사선, 혈관사건(Sheehan 증후군), 감염
- 결핍 호르몬
- ACTH → 부신피질기능저하
- TSH → 갑상선기능저하
- LH/FSH → 생식기능 저하
- GH → 성장 지연 or 근육 감소
- PRL ↓ → 수유불능
- 결핍된 호르몬 개별 보충
- Hydrocortisone, Levothyroxine, 성호르몬 (Estrogen/Testosterone), GH
- 항상 코르티솔 먼저 보충 후 갑상선호르몬 투여 → 위기 예방 (부신위기 발생 방지)
- 말단비대증 (Acromegaly)
- Diabetes
반응형
'Field Notes > Support : Phar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Musculoskeletal (1) | 2025.04.26 |
---|---|
GI (1) | 2025.04.26 |
Infectious (1) | 2025.04.26 |
Renal (1) | 2025.04.26 |
Respiratory (1)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