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Renal
- AKI
- 급성신부전 (Acute Kidney Injury, AKI)
- 정의: 수일 내 급격한 GFR 감소로 인해 BUN, Creatinine 상승 및 소변량 감소
- 진단 기준 (KDIGO)
- Scr 0.3 mg/dL 이상 증가 (48시간 이내)
- 또는 Scr 1.5배 이상 증가 (7일 이내)
- 또는 소변량 < 0.5 mL/kg/hr (6시간 이상)
- 분류
- 전신성(Azotemia): 혈류저하 (탈수, 출혈, 심부전)
- 신성: 신장 자체 손상 (약물, 사구체염, 허혈)
- 후신성: 요로폐색 (결석, 전립선비대 등)
- 증상: 부종, 고칼륨혈증, 요량 감소, 오심, 피로
💊 치료 요약- 저혈압 교정 (수액, 혈압약 중단)
- 신독성 약물 중단 (NSAIDs, ACEi/ARB, Aminoglycoside 등)
- 감염 시 항생제 조절
✅ 수액요법- 전신성 AKI: 수액 공급 (Isotonic saline)
- 신성/후신성: 과수분 상태 조심 (수액 제한 or 제거)
✅ 이뇨제 (울혈성 AKI 시 사용)- Furosemide
- 용량: 20–40mg IV → 증량 가능
- 목적: 이뇨 유도, 체액 과다 개선
- 반응 없을 시 → 이뇨제 의존 대신 투석 고려
✅ 전해질 조절- 고칼륨혈증 (K⁺ > 5.5–6.0mEq/L)
- 칼슘 글루콘산 IV (심근 안정)
- 인슐린 + Dextrose IV (세포내 이동 유도)
- β2 작용제 흡입 (Albuterol)
- Kayexalate, Patiromer (K⁺ 제거)
- 혈액투석 (심한 경우)
- 산증: 중탄산나트륨 투여 (HCO₃⁻ < 15mEq/L)
✅ 투석 적응증 (AEIOU)- A: 산증 (Acidosis)
- E: 전해질 이상 (Electrolyte imbalance)
- I: Intoxication (독성 약물)
- O: Overload (체액과다)
- U: 요독 증상 (Uremia, 의식저하 등)
💡 모니터링 및 예후- Scr, BUN, 전해질, 소변량 지속 모니터링
- 조기 발견 및 원인 교정이 중요
- 일부 환자에서 만성신부전(CKD)로 이행 가능
- ✅ 원인 제거
- 🧠 질병 요약
- 급성신부전 (Acute Kidney Injury, AKI)
- CKD
- 만성신부전 (Chronic Kidney Disease, CKD)
- 정의: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구조적/기능적 신장 이상 (GFR < 60 또는 단백뇨 등)
- 분류 (GFR 기준)
- G1: ≥90 (정상)
- G2: 60–89 (경도 감소)
- G3a: 45–59
- G3b: 30–44
- G4: 15–29
- G5: <15 (말기, ESRD)
- 주요 원인: 당뇨병(1위), 고혈압, 사구체신염
- 합병증: 빈혈, 고인산혈증, 저칼슘혈증, 2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산증, 부종
💊 치료 요약- 당뇨병: HbA1c 7% 이하 목표 (SGLT2 억제제 권장)
- 고혈압: 목표 <130/80mmHg (ACEi or ARB 사용)
✅ 단백뇨 억제- ACEi or ARB
- 단백뇨가 있는 환자에서 1차 선택
- 부작용: 고칼륨혈증, Cr 상승 → 주기적 모니터링 필수
✅ CKD 빈혈 치료- Erythropoiesis-stimulating agents (ESA)
- 약물: Epoetin alfa, Darbepoetin
- 목표 Hb: 10–11.5 g/dL
- 부작용: 혈압 상승, 혈전 위험
- 철분 보충
- 경구제: Ferrous sulfate (FeSO₄), 흡수율 낮음
- 정주제: Ferric carboxymaltose 등 (ESA 병용 시 효과 ↑)
✅ 미네랄 대사 이상 (CKD-MBD)- 인 결합제 (Phosphate binders)
- 칼슘 함유제: Calcium carbonate, Calcium acetate
- 비칼슘제: Sevelamer, Lanthanum (혈중 Ca 높을 때 사용)
- 부작용: 변비, 고칼슘혈증
- 비타민 D 제제
- Calcitriol (활성형), Paricalcitol
- 부갑상선 기능 억제, Ca/P 흡수 증가
- Calcimimetics
- 약물: Cinacalcet
- 기전: Ca sensing receptor 활성화 → PTH 억제
- 부작용: 저칼슘혈증
✅ 산증 보정- 중탄산나트륨 (NaHCO₃)
- 혈청 HCO₃⁻ < 22mEq/L 시 사용
- 경구 또는 IV로 투여
✅ 체액 및 전해질 조절- 부종 → Loop 이뇨제 (Furosemide)
- 고칼륨혈증 → 식이 제한 + 이뇨제 + 칼륨 결합제
- 식사요법: 단백질 제한, 인 제한, 칼륨 제한 식이
✅ 말기신부전(ESRD): 투석 또는 신장이식- 투석 시작 기준
- GFR < 15 + 요독 증상 or 전해질 이상
- 증상: 식욕부진, 피로, 가려움, 오심, 부종, 심낭염 등
- 투석 종류
- 혈액투석 (Hemodialysis)
- 복막투석 (Peritoneal dialysis)
- ✅ 원인 질환 조절
- 🧠 질병 요약
- 만성신부전 (Chronic Kidney Disease, CKD)
- Electrolyte Imbalance
- 전해질이상📌 정의
- K⁺ > 5.0–5.5 mEq/L
- 원인: 신부전, ACEi/ARB, K⁺ 보존 이뇨제, 조직파괴(용혈), 산증
- 심근 안정화
- Calcium gluconate 10% 10mL IV (즉시 효과)
- 세포내 이동 유도
- Regular insulin 10U IV + Dextrose 25–50g
- Salbutamol 10–20mg nebulizer (β2 자극)
- NaHCO₃ 50–100mEq IV (산증 동반 시)
- 칼륨 제거
- Loop 이뇨제, Kayexalate / Patiromer
- 혈액투석 (심한 경우)
✅ 저칼륨혈증 (Hypokalemia)- K⁺ < 3.5 mEq/L
- 원인: 이뇨제, 설사/구토, 인슐린 과다, 알도스테론 과다
- 경증 (K⁺ 3.0–3.5): 경구 KCl (20–40 mEq/day)
- 중등도–중증 (<3.0): IV KCl (10–20 mEq/hr, 중심정맥 필요 시 40mEq/hr)
- 주의: 마그네슘 결핍 시 교정 병행 필요
✅ 고나트륨혈증 (Hypernatremia)- Na⁺ > 145 mEq/L
- 원인: 수분 부족, 이뇨, 삼투성 이뇨, ADH 결핍(DI)
- 저혈량성: NS 또는 0.45% NS로 수분 보충
- 정혈량성 or 고혈량성: D5W (자유수 공급)
- 교정 속도: 0.5 mEq/L/hr 이하 (뇌부종 예방)
✅ 저나트륨혈증 (Hyponatremia)- Na⁺ < 135 mEq/L
- 분류: 저삼투성, 정삼투성, 고삼투성
- 원인: SIADH, 이뇨제, CHF, 간경변, 신증후군
- 경증: 수분 제한, 원인 치료
- 중등도–중증 + 증상: 3% NS (0.5 mEq/L/hr 이하로 교정)
- 급성 (<48시간): 보다 적극적 교정 가능
- 만성: 교정 속도 느리게 (0.5 mEq/L/hr)
- 주의: *중추성 탈수초 증후군 (OD)*위험
✅ 고칼슘혈증 (Hypercalcemia)- Ca²⁺ > 10.5 mg/dL
- 원인: 고PTH, 암, Vit D 중독, 탈수
- 수액 보충 + Loop 이뇨제
- Bisphosphonates: Zoledronate, Pamidronate (암성 고칼슘혈증)
- Calcitonin (빠른 효과, 단기용)
- Dialysis (신부전 동반 시)
✅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Ca²⁺ < 8.5 mg/dL
- 원인: Vit D 결핍, 저Mg혈증, 신부전, 수술 후 부갑상선 저하
- 경증: 경구 칼슘 + Vit D 보충
- 중증 (Ca²⁺ <7.5 or 증상 동반):
- Calcium gluconate 10% IV, 서서히 주입
- Mg 결핍 시 Mg 보충 병행
✅ 저마그네슘혈증 (Hypomagnesemia)- Mg²⁺ < 1.7 mg/dL
- 원인: PPI, 이뇨제, 알코올, 설사, 영양결핍
- 경증: 경구 Mg oxide
- 중증 (<1.2 mg/dL): Mg sulfate IV (1–2g over 1시간)
- 보충 속도: 서서히 → 설사 방지
- 📌 정의
- 📌 정의
- 📌 정의
- 📌 정의
- 📌 정의
- 📌 정의
- ✅ 고칼륨혈증 (Hyperkalemia)
- 전해질이상📌 정의
- Acid-Base Disorders
- 산염기 이상📌 정의
- pH < 7.35, HCO₃⁻ < 22 mEq/L
- 보상: 호흡성 알칼리증 (PaCO₂ ↓)
- Anion gap ↑ (정상 8–12):
- MUDPILES: Methanol, Uremia, DKA, Propylene glycol, INH, Lactic acidosis, Ethylene glycol, Salicylates
- Anion gap 정상:
- 설사, 신세관산증(RTA), Acetazolamide
- 원인 질환 치료
- 중탄산나트륨 투여 (HCO₃⁻ < 15 또는 pH < 7.2일 때)
- DKA: 인슐린, 수액, K⁺ 교정
✅ 대사성 알칼리증 (Metabolic Alkalosis)- pH > 7.45, HCO₃⁻ > 26 mEq/L
- 보상: 저환기 (PaCO₂ ↑)
- 구토, 위산 흡인, 이뇨제 사용, 과도한 중탄산 투여
- Cl⁻ 반응성 여부 확인 (소변 Cl로 판별)
- 수분·염분 보충 (NS + KCl)
- Acetazolamide (이뇨제 후 유지형)
- 심한 경우: HCl, Ammonium chloride (rare)
✅ 호흡성 산증 (Respiratory Acidosis)- pH < 7.35, PaCO₂ > 45 mmHg
- 보상: 신장 → HCO₃⁻ 증가
- 폐질환(COPD, 폐렴), CNS 억제(약물, 마취), 호흡근 마비
- 기도 확보, 산소 공급
- 기계환기 (중증 시)
- 원인 약물 중단 (진정제, 마취제 등)
✅ 호흡성 알칼리증 (Respiratory Alkalosis)- pH > 7.45, PaCO₂ < 35 mmHg
- 보상: 신장 → HCO₃⁻ 배설
- 과호흡 (불안, 고산, 패혈증, 발열, 통증, 임신)
- 원인 교정 (불안/공황 시 안정 유도)
- 종이봉지 호흡 (급성 과호흡)
🧮 보상 계산 공식 (간단 요약)상태 보상 공식대사성 산증 PaCO₂ ≈ 1.5 × HCO₃⁻ + 8 ± 2 대사성 알칼리증 PaCO₂ ↑ 0.7 mmHg per HCO₃⁻ 1↑ 호흡성 산증 HCO₃⁻ ↑ 1 (급성) / 3.5 (만성) per PaCO₂ 10↑ 호흡성 알칼리증 HCO₃⁻ ↓ 2 (급성) / 5 (만성) per PaCO₂ 10↓
💡 참고: 항상 **ABGA (동맥혈가스분석)**과 전해질 수치 동시 확인 필수!
- 산염기 이상📌 정의
- AKI
반응형
'Field Notes > notes: Pharmacotherapy & Patho & O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docrine (1) | 2025.04.26 |
---|---|
Infectious (1) | 2025.04.26 |
Respiratory (1) | 2025.04.26 |
Cardiovascular (1) | 2025.04.26 |
Oncology (1)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