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ry berry 작업실

반응형
  • Oncology
    • Breast Cancer
      • Breast Cancer (유방암)유방암은 유선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여성에게 가장 흔한 암 중 하나다.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수용체(HR) 및 HER2 발현 여부에 따라 아형이 나뉘며, 이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진다.
        🔍 진단 요약
        • 영상 검사: Mammography, Breast ultrasound, MRI
        • 조직검사: Core needle biopsy
        • 분자표지자: ER/PR, HER2, Ki-67
        • 병기: TNM classification

        💊 치료 요약초기 유방암은 수술이 주 치료이며, 이후 필요 시 보조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호르몬 요법, 표적 치료가 병행된다.
        • HR+ 유방암:
          • 폐경 전: Tamoxifen 단독 또는 ovarian suppression + AI (Anastrozole, Letrozole)
          • 폐경 후: Aromatase Inhibitors가 기본
        • HER2+ 유방암:
          • Trastuzumab ± Pertuzumab 병용
          • 화학요법 (Docetaxel, Paclitaxel 등)과 병행
        • Triple-Negative:
          • 화학요법 중심 (Anthracyclines, Taxanes)
          • PD-L1 양성: Atezolizumab + Nab-paclitaxel
        • 병기에 따른 구분
        • Early-stage (I–III)
        • 수술: 유방보존술 ± 림프절 절제 / 전절제술
        • 보조 요법: 아형에 따라 다름
          • ER/PR(+) HER2(-):
            • 호르몬 요법: Tamoxifen, Anastrozole, Letrozole
            • 고위험군: + 항암 (Taxane + Anthracycline 계열)
          • HER2(+):
            • 표적요법: Trastuzumab ± Pertuzumab
            • 항암 병합 (AC → Taxane ± Carboplatin)
          • Triple Negative (TNBC):
            • 항암 필수 (Anthracycline + Taxane 기반)
            • 고위험: Immunotherapy (Atezolizumab + nab-Paclitaxel) 가능
        • Metastatic Breast Cancer
        • HR(+)/HER2(-):
          • CDK4/6 inhibitors (Palbociclib, Ribociclib) + Aromatase inhibitors or Fulvestrant
        • HER2(+):
          • Trastuzumab + Pertuzumab + Docetaxel
          • 2차: T-DM1, Tucatinib ± Capecitabine
        • TNBC:
          • Chemotherapy ± Immunotherapy (PD-L1(+): Atezolizumab)
          • BRCA(+): Olaparib

        📋 약물 요약 표약물명 작용기전 적응증 주요 부작용
        Tamoxifen SERM (Estrogen 수용체 길항) HR(+) 유방암 혈전, 자궁내막암 위험, 홍조
        Anastrozole / Letrozole Aromatase 억제 → Estrogen 합성 억제 폐경 후 HR(+) 유방암 골다공증, 관절통, 홍조
        Trastuzumab HER2 항체 → HER2+ 세포 표적 HER2(+) 유방암 심독성, 발열, 심기능 저하
        Pertuzumab HER2-dimerization 억제 HER2(+) 유방암 설사, 심장독성, 탈모
        Palbociclib CDK4/6 억제 → 세포주기 차단 HR(+)/HER2(-) 전이성 유방암 골수억제, 피로, 구강염
        Atezolizumab PD-L1 억제 → 면역활성화 TNBC (PD-L1(+)) 면역 관련 이상반응 (갑상선염, 폐렴 등)
        Olaparib PARP 억제 → DNA 복구 억제 BRCA 변이 유방암 빈혈, 피로, 구역
      • 전이성 유방암의 경우 생존 연장과 증상 조절을 목표로 한다.
      • 치료는 병기 및 생물학적 아형(HR+, HER2+, Triple Negative)에 따라 달라진다.
      • 🩺 질병 설명
    • Lung Cancer
      • Lung Cancer (폐암)폐암은 폐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주로 흡연과 관련이 있다. 비소세포폐암(NSCLC)과 소세포폐암(SCLC)으로 나뉘며, 치료 접근 방식이 서로 다르다.
        🔍 진단 요약
        • 영상 검사: Chest X-ray, CT, PET
        • 조직 검사: Bronchoscopy, CT-guided biopsy
        • 분자 유전자 검사: EGFR, ALK, ROS1, BRAF, PD-L1
        • 병기 구분: TNM (NSCLC), Limited/Extensive (SCLC)

        💊 치료 요약SCLC는 진행이 빠르고 전이가 쉬우므로, 주로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가 병용된다.
        • EGFR mutation (+):
          • 1세대: Erlotinib, Gefitinib
          • 3세대: Osimertinib (T790M 변이에도 효과)
        • ALK rearrangement (+):
          • Alectinib, Crizotinib
        • PD-L1 high expression:
          • Pembrolizumab, Nivolumab 단독 또는 병용
        • Non-mutated NSCLC:
          • Platinum 기반 화학요법 (Cisplatin + Pemetrexed 등)
        • SCLC:
          • Cisplatin + Etoposide ± Thoracic RT
          • 최근 면역항암제인 Atezolizumab, Durvalumab 병용 가능

        📋 약물 요약 표약물명 작용기전 적응증 주요 부작용
        Erlotinib EGFR-TKI → 세포 성장 억제 EGFR 변이 양성 NSCLC 발진, 설사, 간독성
        Osimertinib 3세대 EGFR-TKI, T790M 억제 EGFR T790M 변이 NSCLC QT 연장, 심근독성
        Alectinib ALK 억제제 → ALK 융합 단백 차단 ALK 재배열 NSCLC 근육통, 변비, 간수치 상승
        Pembrolizumab PD-1 억제 → 면역 활성화 PD-L1 고발현 NSCLC, SCLC 병용 면역 관련 이상반응 (피부염, 폐렴 등)
        Cisplatin DNA 교차결합 → 세포사멸 유도 NSCLC, SCLC 신독성, 구토, 이독성
        Etoposide Topoisomerase II 억제 → DNA 복제 억제 SCLC 골수억제, 탈모, 오심
        Durvalumab PD-L1 억제 → T세포 활성화 SCLC, NSCLC maintenance 피로, 호흡기 이상반응, 간독성
      • NSCLC는 전체 폐암의 약 85%를 차지하며, 표적 돌연변이 여부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초기 병기에서는 수술 ± 보조 화학요법이 사용되고, 진행성의 경우 표적 치료제 또는 면역항암제를 중심으로 치료한다.
      • 🩺 질병 설명
    • Colorectal Cancer
      • Colorectal Cancer (대장암)대장암은 결장 또는 직장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식습관, 유전적 요인, 염증성 장질환 등이 주요 위험인자이다. 대부분 선종성 용종에서 발생하며, 진행 속도가 느려 조기 발견 시 완치 가능성이 높다.
        🔍 진단 요약
        • 영상/내시경 검사: Colonoscopy + Biopsy
        • 혈액검사: CEA (Carcinoembryonic Antigen)
        • 분자검사: KRAS, NRAS, BRAF, MSI/MMR status
        • 병기: TNM staging

        💊 치료 요약초기 병기에서는 수술이 근간이며, 병기 III 이상에서는 보조 화학요법이 필요하다. 전이성 대장암에서는 표적 치료제와 면역항암제의 역할이 중요하다.
        • Stage I-II: 수술 단독 치료
        • Stage III: 수술 후 adjuvant chemotherapy (FOLFOX, CAPOX)
        • Stage IV or unresectable:
          • RAS wild-type: Cetuximab, Panitumumab (EGFR 억제제) 사용 가능
          • RAS or BRAF mutation: EGFR 억제제 효과 없음
          • VEGF 억제제: Bevacizumab (화학요법과 병용)
          • MSI-high/dMMR: Pembrolizumab 단독 치료 가능
        • 표준 화학요법:
          • FOLFOX: 5-FU + Leucovorin + Oxaliplatin
          • FOLFIRI: 5-FU + Leucovorin + Irinotecan
          • CAPOX: Capecitabine + Oxaliplatin

        📋 약물 요약 표약물명 작용기전 적응증 주요 부작용
        5-FU Thymidylate synthase 억제 → DNA 합성 억제 모든 병기 화학요법에 포함 점막염, 골수억제, 손발증후군
        Oxaliplatin DNA 교차결합 유도 → 세포사멸 FOLFOX, CAPOX 등 말초신경병증, 구역/구토
        Irinotecan Topoisomerase I 억제 → DNA 복제 차단 FOLFIRI 설사 (지연성/급성), 골수억제
        Capecitabine 경구 5-FU prodrug CAPOX, 단독요법 손발증후군, 설사, 점막염
        Bevacizumab VEGF 억제 → 혈관 신생 차단 전이성 CRC 고혈압, 출혈/혈전, 상처 회복 지연
        Cetuximab EGFR 억제 → 세포 성장 억제 RAS wild-type CRC 피부 발진, 저마그네슘혈증, 설사
        Pembrolizumab PD-1 억제 → 면역 활성화 MSI-high, dMMR CRC 면역 관련 이상반응 (갑상선염, 대장염 등)
      • 치료는 병기(stage)와 유전자 변이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 🩺 질병 설명
    • Prostate Cancer
      • Prostate Cancer (전립선암)전립선암은 주로 노년층 남성에게서 발생하며, 안드로겐 의존적 성장 특성을 가진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지만 진행 시 배뇨 장애, 뼈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 서서히 진행되며, PSA 수치 상승으로 조기 발견 가능하다.
        🔍 진단 요약
        • 혈액검사: PSA (Prostate-Specific Antigen)
        • 직장수지검사 (DRE)
        • 영상검사: TRUS, MRI, Bone scan (전이 평가 시)
        • 조직검사: TRUS-guided biopsy
        • 병기 및 위험도 분류: TNM + Gleason Score + PSA 수치

        💊 치료 요약저위험 국소 전립선암은 능동 감시(active surveillance)가 가능하며, 고위험 또는 진행성 전립선암은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ADT), 화학요법이 병용된다.
        • 국소 전립선암 (Low/Intermediate Risk):
          • 능동 감시, 근치적 전립선절제술, 외부 방사선 치료(EBRT)
        • 고위험 국소 전립선암 또는 국소진행암:
          • EBRT + 장기 안드로겐 차단 요법(ADT: Leuprolide, Goserelin)
        • 전이성 전립선암:
          • mHSPC (호르몬 감수성 전이성 암):
            • ADT + Docetaxel or Abiraterone, Apalutamide
          • mCRPC (거세저항성 전이성 암):
            • Enzalutamide, Abiraterone
            • Docetaxel, Cabazitaxel
            • Radium-223 (골 전이 시)

        📋 약물 요약 표약물명 작용기전 적응증 주요 부작용
        Leuprolide GnRH agonist → 초기 surge 후 LH/FSH 억제 전립선암 1차 호르몬 요법 골다공증, 홍조, 성기능 저하
        Abiraterone Androgen 합성 억제 (CYP17 억제) mHSPC, mCRPC 고혈압, 저칼륨혈증, 간독성
        Enzalutamide Androgen 수용체 차단제 mCRPC 피로, 고혈압, 발작 위험
        Docetaxel Microtubule 안정화 → 세포분열 억제 mHSPC, mCRPC 골수억제, 말초신경병증, 탈모
        Radium-223 방사성 동위원소 → 뼈 전이에 선택적 작용 골 전이 동반 mCRPC 골수억제, 위장관 증상, 피로
        Apalutamide Androgen 수용체 차단제 mHSPC 발진, 갑상선 기능 저하, 골절 위험
      • 치료는 병기, 환자 기대수명, 위험도에 따라 달라진다.
      • 🩺 질병 설명
    • Ovarian Cancer
      • Ovarian Cancer (난소암)난소암은 여성 생식기 암 중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으로, 조기 증상이 없어 진단 시 대부분이 진행된 병기다. 상피세포성 난소암이 가장 흔하며, 복강 내 전이가 잘 된다.
        🔍 진단 요약
        • 초음파/영상: Transvaginal ultrasound, CT/MRI
        • 종양표지자: CA-125 (주로 모니터링용), HE4
        • 확진: 수술적 개복 및 조직검사 (Staging laparotomy)
        • FIGO 병기: 병기에 따라 치료 및 예후 결정

        💊 치료 요약
        • 초기병기 (Stage I-II):
          • 수술(자궁 및 양측 난관난소절제술) ± 보조 화학요법 (Paclitaxel + Carboplatin)
        • 진행병기 (Stage III-IV):
          • Neoadjuvant chemotherapy → interval debulking surgery → 보조 화학요법
        • 재발성/유지요법:
          • BRCA mutation(+): Olaparib (PARP 억제제)
          • HRD(+) 또는 고위험군: Bevacizumab 병용 가능
          • Platinum-sensitive recurrence: 동일한 platinum regimen 재투여 가능
          • Platinum-resistant: Non-platinum agents + Bevacizumab 고려

        📋 약물 요약 표약물명 작용기전 적응증 주요 부작용
        Paclitaxel Microtubule 안정화 → 세포분열 억제 1차/재발성 난소암 말초신경병증, 골수억제, 탈모
        Carboplatin DNA 교차결합 → 세포사멸 1차/재발성 난소암 골수억제, 오심/구토, 신독성 낮음
        Bevacizumab VEGF 억제 → 혈관 신생 차단 재발성 난소암, 유지요법 고혈압, 출혈, 위장관 천공 등
        Olaparib PARP 억제 → DNA 복구 차단 → BRCA 돌연변이 세포 사멸 BRCA mutation 양성 난소암 유지요법 피로, 구역, 빈혈, 혈소판 감소
        Gemcitabine Antimetabolite → DNA 합성 억제 Platinum-resistant 난소암 골수억제, 간기능 이상, 피부 발진
        Topotecan Topoisomerase I 억제 Platinum-refractory 난소암 골수억제, 점막염, 설사
      • 치료는 대부분 수술 + 항암화학요법 병행이 기본이다. 고위험 환자나 재발성 질환에서는 표적 치료제가 추가된다.
      • 🩺 질병 설명
    • Leukemia
      • Acute Myeloid Leukemia (AML)AML은 골수 내 미성숙 골수세포의 비정상적 증식으로 인해 정상 조혈이 억제되는 급성 백혈병이다. 성인에서 가장 흔한 급성 백혈병으로, 빠른 진행이 특징이다.
        • 말초혈액 검사 + 골수검사: ≥20% blast
        • 세포유전학/분자검사: FLT3, NPM1, CEBPA, IDH1/2
        • WHO/ELN 분류 사용
        💊 치료 요약
        • Induction therapy:
          • "7+3" regimen → Cytarabine + Daunorubicin
        • Consolidation therapy:
          • 고용량 Cytarabine ± Allogeneic HSCT
        • Targeted therapy (돌연변이 존재 시):
          • FLT3(+): Midostaurin
          • IDH1(+): Ivosidenib, IDH2(+): Enasidenib
        • Elderly/fit 하지 않은 환자:
          • Venetoclax + Azacitidine (저강도 요법)
        📋 주요 약물 정리약물명 작용기전 적응증 부작용
        Cytarabine Antimetabolite (DNA 합성 억제) AML (induction, consolidation) 골수억제, 점막염, CNS 독성
        Daunorubicin Anthracycline → DNA intercalation AML 심독성, 탈모, 골수억제
        Midostaurin FLT3 억제제 FLT3 돌연변이 AML QT 연장, 위장관 이상
        Venetoclax BCL-2 억제제 AML (노인/취약 환자) 종양붕괴증후군, 골수억제
        Azacitidine Hypomethylating agent AML, MDS 골수억제, 오심, 발진
      • 🔍 진단 요약
      • 🩺 질병 설명
      •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ALL은 B- 또는 T-림프구 계열의 미성숙 세포가 과증식하는 질환으로, 주로 소아에서 흔하며 성인에서는 예후가 나쁘다.
        • 말초혈액, 골수검사: ≥25% lymphoblast
        • 유전학 검사: Philadelphia chromosome (BCR-ABL), TEL-AML1, MLL
        • 면역표현형 검사: B-cell or T-cell lineage 확인
        💊 치료 요약
        • Induction: Vincristine + Prednisone + Anthracycline ± Asparaginase
        • Consolidation & Maintenance: Methotrexate, 6-MP
        • CNS 예방: Intrathecal Methotrexate
        • Philadelphia(+): 추가로 Imatinib or Dasatinib
        📋 주요 약물 정리약물명 작용기전 적응증 부작용
        Vincristine Microtubule 억제 ALL 말초신경병증, 변비
        Asparaginase Asparagine 분해 → 백혈병 세포 성장 억제 ALL 췌장염, 간독성, 과민반응
        Methotrexate Antimetabolite (Folate pathway 억제) Maintenance, CNS 예방 점막염, 간독성, 신독성
        Imatinib BCR-ABL 억제 Ph+ ALL, CML 부종, 근육통, GI 증상
      • 🔍 진단 요약
      • 🩺 질병 설명
      • Chronic Myeloid Leukemia (CML)CML은 BCR-ABL 융합 유전자(t(9;22), 필라델피아 염색체)에 의해 유발되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서서히 진행되며 치료가 가능한 유일한 백혈병 중 하나이다.
        • CBC, 말초도말: 백혈구 수 증가, basophilia
        • PCR/FISH: BCR-ABL 확인
        • 세 단계: Chronic → Accelerated → Blast crisis
        💊 치료 요약
        • TKI 1차 치료:
          • Imatinib, Dasatinib, Nilotinib
        • TKI 불응 시:
          • Bosutinib, Ponatinib (T315I 변이 시)
        📋 주요 약물 정리약물명 작용기전 적응증 부작용
        Imatinib BCR-ABL 억제 CML 부종, GI 증상, 근육통
        Dasatinib BCR-ABL 억제 (2세대) CML 흉수, QT 연장, 골수억제
        Ponatinib T315I 돌연변이 대응 TKI CML 혈전, 고혈압, 간독성
      • 🔍 진단 요약
      • 🩺 질병 설명
      •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CLL은 성인에서 가장 흔한 만성 백혈병으로, 성숙 B세포의 단클론성 증식이 특징이다. 천천히 진행되며 증상 없이 진단되는 경우도 많다.
        • CBC: 지속적인 림프구 증가
        • 면역표현형 분석: CD5+, CD19+, CD23+
        • FISH: del(17p), del(11q), IGHV 돌연변이 등
        💊 치료 요약
        • 초기/무증상: 관찰
        • 치료 필요 시 (B 증상, 골수 억제 등):
          • BTK 억제제: Ibrutinib, Acalabrutinib
          • BCL-2 억제제: Venetoclax
          • ± Anti-CD20 (Rituximab, Obinutuzumab)
        📋 주요 약물 정리약물명 작용기전 적응증 부작용
        Ibrutinib BTK 억제 → B세포 수용체 신호 차단 CLL 출혈, 심방세동, 고혈압
        Venetoclax BCL-2 억제 → 세포자멸 유도 CLL 종양붕괴증후군, 골수억제
        Rituximab CD20 항체 → B세포 표적 세포독성 유도 CLL 발열, 감염 위험, 저감마글로불린혈증
      • 🔍 진단 요약
      • 🩺 질병 설명
    • Lymphoma
      • Hodgkin Lymphoma (HL)HL은 Reed-Sternberg 세포가 특징인 B세포 기원의 림프종으로, 젊은 층에서 호발하며 치료 반응이 좋다. 목, 종격동 림프절이 자주 침범되고, 연속적인 림프절 전이가 특징이다.
        • 림프절 생검: Reed-Sternberg 세포 확인
        • PET-CT: 병기 설정
        • B 증상 평가: 발열, 체중감소, 야간발한
        💊 치료 요약
        • 조기 병기 (I–II):
          • ABVD (Adriamycin, Bleomycin, Vinblastine, Dacarbazine) ± 방사선
        • 진행 병기 (III–IV):
          • ABVD 6–8 cycles ± 방사선
        • 불응/재발 시:
          • 고용량 화학요법 +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 Brentuximab vedotin 또는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Nivolumab)
        📋 주요 약물약물명 작용기전 적응증 부작용
        Doxorubicin Anthracycline → DNA 억제 HL 심독성, 골수억제, 탈모
        Bleomycin DNA 절단 유도 HL 폐섬유화, 발진, 발열
        Brentuximab vedotin anti-CD30 항체-약물 접합체 (ADC) 재발/불응 HL 말초신경병증, 골수억제
        Nivolumab PD-1 억제 → 면역 활성화 재발/불응 HL 면역 관련 이상반응 (피부, 폐, 내분비 등)
      • 🔍 진단 요약
      • 🩺 질환 설명
      •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질환 설명🔍 진단 요약
        • 림프절 생검: CD20(+), Ki-67↑
        • PET-CT: 병기 평가
        • prognostic index: IPI 점수 활용
        💊 치료 요약
        • 표준 치료:
          • R-CHOP (Rituximab + Cyclophosphamide + Doxorubicin + Vincristine + Prednisone) × 6 cycles
        • 고위험 CNS 침범 위험군:
          • Methotrexate 병용 고려
        • 재발/불응:
          • 고용량 화학요법 +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 CAR-T 세포 치료 (Axicabtagene ciloleucel 등)
        📋 주요 약물약물명 작용기전 적응증 부작용
        Rituximab anti-CD20 항체 DLBCL 발열, 감염, 저감마글로불린혈증
        Cyclophosphamide Alkylating agent DLBCL 골수억제, 출혈성 방광염
        Doxorubicin DNA intercalation, Topo II 억제 DLBCL, HL 심독성, 탈모, 골수억제
        Vincristine Microtubule 억제 DLBCL 말초신경병증, 변비
        Methotrexate DHFR 억제 → DNA 합성 억제 CNS 예방 신독성, 점막염, 간독성

        🔹 Follicular Lymphoma (FL)🩺 질환 설명🔍 진단 요약
        • 림프절 생검: CD20(+), BCL2(+)
        • PET-CT: 병기 설정
        • FLIPI 점수: 예후 예측 도구
        💊 치료 요약
        • 무증상 저병기: 경과 관찰
        • 증상 있거나 고병기:
          • R-CHOP, R-Bendamustine
        • Maintenance:
          • Rituximab 2년 유지
        • 재발/불응:
          • PI3K 억제제 (Copanlisib), CAR-T 치료 가능
        📋 주요 약물약물명 작용기전 적응증 부작용
        Bendamustine Alkylating agent + Purine analog FL 골수억제, 오심, 발진
        Copanlisib PI3K 억제제 재발 FL 고혈당, 고혈압, 설사
        Obinutuzumab 2세대 CD20 항체 FL 발열, 감염 위험, 저감마글로불린혈증
      • FL은 서서히 자라는 저등급 B세포 림프종으로, 만성 경과를 보이며 완치는 어려우나 장기 생존 가능하다. 대부분 CD20+, t(14;18)로 BCL2 과발현이 특징이다.
      • (저등급, indolent B-cell NHL)
      • DLBCL은 고등급 B세포 기원의 공격적 림프종으로, 빠르게 진행되지만 면역화학요법에 잘 반응한다.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며, CNS 침범 가능성 있음.
      • (NHL 아형 중 가장 흔함)
반응형

'Field Notes > Support : Phar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piratory  (1) 2025.04.26
Cardiovascular  (1) 2025.04.26
약물구조와 약리적 특성  (1) 2025.04.26
병태생리학  (1) 2025.04.26
PK/PD 기반 임상 초기 용량 설계 흐름도  (1) 2025.04.26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