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특징
- 컨스-세르 증후군(Kearns-Sayre syndrome, KSS)의 특징 3가지
- 1. 진행성 외안근 마비
- 2. 색소망막변성
- 3. 심장병의 동반; 심장차단(완전 혹은 불완전)
- 그 외에도 근력 약화, 작은 키, 청력소실, 소뇌기능장애로 인한 실조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남녀에서 비슷한 비율로 나타남.
참고
- [외안근마비를 동반하는 사립체근육병증]은 다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음.
- (1) 만성진행외안근마비(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20세 이후 발병, 경과가 경함.
- (2) 컨스-세르 증후군: 20세 이전 발병, 경과가 중함 (망막색소변성, 심전도 장애, 당뇨, 소뇌성 운동실조, 난청, 다발성 신경변성, 뇌척수액의 단백증가 등)
- 영향부위: 체내: 심장 / 체외: 눈
- 관련질환명: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and myopathy,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with ragged red fibers, mitochondrial cytopathy, occulocraniosomatic syndrome (obsolete), ophthalmoplegia, pigmentary degeneration of the retina and cadiomyopathy, ophthalmoplegia plus syndrome
- 산정특례코드: V261
- 의료비지원: 지원 대상
증상
- 근육의 약화 : 만성적이고 진행하는 안구 운동의 장애, 안검하수, 연하곤란, 골격 근육의 약화
- 신경장애 : 운동장애(ataxia), 치매, 난청, 야맹증, 망막색소변성
- 심장장애 : 서맥, 심부전
- 내분비장애 : 작은 키, 당뇨
- 컨스-세르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20세 이전에 발병함. 대부분 처음 발견되는 신체적 이상은 성장의 지연이다.
- 또한 안검하수와 함께 안구운동의 이상을 동반하게 된다. 점차적으로 안구 운동의 마비, 안면, 목 등으로 근육마비가 진행된다. 이로 인하여 말을 하거나 음식을 삼키는데 어려움을 겪게 됨.
- 더욱 진행하면 사지근육의 장애로 인해 운동실조가 유발될 수 있다.
- 대부분의 환자들이 망막색소변성으로 인한 다양한 정도의 시력손상을 겪는다. 약 40%의 환자들은 심각한 정도 시각 장애를 겪게 된다.
- 심근의 신경전도의 장애로 인해 서맥, 심부전 등의 심장이상이 유발될 수 있음.
- 환자에 따라 다양한 증상(청력소실, 정신지체, 치매, 부갑상선기능저하, 당뇨, 성선기능장애)이 동반될 수 있음.
원인
- 미만전신사립체이상(diffuse systemic mitochondrial abnormality)
참고
- 사립체는 모든 세포에 존제, 에너지 생성에 중요함.
- DNA 결실 -> 사립체 기능 떨어짐 -> 에너지가 많이 필요한 조직 (근육, 뇌, 눈, 심장)에 영향을 줌
- 특히나 위에서 언급된 외안근은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함.
관련 유전적 돌연변이
만성진행외안근마비와 컨스-세르 증후군과 관련된 사립체이상에 다양한 돌연변이가 알려져 있음.
돌연변이 종류에 따라 유전되는 방식 & 임상양상이 다르다.
따라서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통해 이를 확인하는 것이 진단에 필요할 뿐 아니라, 유전상담의 중요한 정보가 된다.
- 1. 단일 결실 (최다)
- 컨스-세르 증후군의 약 83%, 만성진행외안근마비의 약 47%
- 가족력 없이 산발적으로 발생, 약 100개의 서로 다른 단일 결실이 보고(www.mitomap.org)
- 2. 점돌연변이 (컨스-세르 보단 만성진행외안근마비에서 많이 발견됨)
- 컨스-세르 증후군에서 매우 드묾. 만성진행외안근마비에서 많게는 50%에서 발견.
- 모계 유전. 10개 이상의 점돌연변이가 보고되었으며, 대부분 다양한 tRNA 유전자에서 발생한다.
- 3. 다발결실 (가장 적음)
- 6% 정도의 만성진행외안근마비에서 발견, 상염색체 유전
진단
우선 3가지 특징 (진행성 외안근 마비, 망막색소변성, 심장차단과 같은 심장병)을 진단
1. 근육생검
- 변형된 Gomori trichrome 염색 => 짙은 붉은색으로 염색되는 ragged-red muscle fiber를 보임
- 전자현미경에서 비정상적인 사립체가 보임
- 근육 외에도 모근, 소변의 상피세포, 구강의 상피세포로도 확인할 수 있다고 보고됨.
- 이런 사립체 이상은 혈액검사만으로는 확인되지 않음.
2. 안저검사
- 망막색소상피의 희고 검은 점이 섞인 모양(salt and pepper)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음.
- 망막색소상피변성(retinitis pigmentosa)과 다르게 시신경의 위축이나 세동맥이 가늘어지는 소견은 나타나지 않음.
- 시력의 장애는 경미함.
3. 심전도
- 심장의 전도장애를 확인한다.
4. 이 외 검사
- 혈액, 뇌척수액 검사: 뇌척수액 단백질 증가, 젖산 등의 증가를 확인한다.
- 뇌 CT/MRI 검사
- 중증안근무력증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드물게 있어 감별진단이 꼭 필요함.
치료
- 심장의 전도장애: 심박동기 사용, 심박동을 조절하는 항부정맥 약물치료
- 사시나 안검하수: 수술적 치료
- 청각장애: 인공와우 이식
- 내분비 장애: 호르몬 치료
- 연하장애: 식도 윗부분을 늘여준다.
- 유전상담과 정신적인 치료도 필요
- 코엔자임큐텐 (CoQ10, UbiQGel), 이 외에도 L-카르니틴과 여러 비타민을 포함하는 비타민 칵테일 요법이 사용될 수 있음.
관련 임상시험
- 하단 사이트에 접속하여, 질병 혹은 약물에 대하여 진행중인 임상시험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https://www.clinicaltrials.gov/ct2/results?cond=Kearns-Sayre+syndrome&term=&cntry=&state=&city=&dist=
- (2019년 9월 3일 기준 7건)
출처: 질병관리본부 희귀질환헬프라인
반응형
'의약품과 질병정보 > 질병|희귀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귀질환] 오우렌병/Owren's disease 증상, 진단, 치료 (0) | 2020.11.02 |
---|---|
[희귀질환] 가족성선종성용종증/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증상,진단,치료 (0) | 2019.09.06 |
[희귀질환]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증상,진단,치료 (0) | 2019.08.31 |
[질병정보] 빈혈의 증상, 원인, 진단과 치료 (0) | 2019.08.30 |
[희귀질환] 유전성 비구상적혈구성 용혈성 빈혈/ Hereditary Nonspherocytic Hemolytic Anemia 증상,진단,치료 (0) | 2019.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