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특징
- 변형프리온 의해 발생하는 희귀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 진행이 빠른 치매, 이상운동증상이 특징적이다. 원인에 따라 분류됨.
-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산발성 CJD (90%차지, 50~60대)
- 유전에 의한 가족성 CJD (10%차지, 이른 나이)
- 후천적 감염에 의한 변종 CJD (매우 드묾, 광우병 즉 BSE에 걸린 소고기 섭취시 발병, 질병 진행이 느리다)
- 그리고 의인성 CJD가 있다.
- CJD 환자 유래 조직 (뇌, 림프절)은 전염력이 있음.
- 혈액 통한 사람 간 전염 사례는 없으나, 동물실험에서 전염가능성을 확인하여 주의가 필요.
- 단순 접촉에 의해 전염되다는 근거는 없음.
- 영향부위: 뇌
- 관련질환명: 야콥병, 야콥-크로이츠펠트 병, 아급성 스폰지형 뇌병증(Subacute Spongiform Encephalopathy)
- 산정특례코드: V102
- 의료비지원: 지원대상
참고
- 광우병 (Bovine Spngiform Encephalopathy)
- 영국을 거쳐 유럽에서 사례가 보고되면서, 국제적으로 예방/연구/감독이 이뤄지고 있다.
- 2000년 유럽 연합 농림부 장관들은 광우병 확산을 방지하는 법안에 동의.
- 이에 잠재적 소해면상뇌증 테스트에 음성이 나오지 않은 30개월 이상의 소는 태워 없애는 조항이 포함됨.
- 소해면상뇌증은 소가 30개월쯤 됐을 때 발견되며, 감염성을 갖게 되므로 30개월을 기준으로 삼았음.
증상
- 빠르게 진행되는 치매가 특징적
- 초기- 기억력 저하, 행동 변화, 운동실조, 시력손상
- 진행 - 운동 능력 및 인지능력의 상실
- 말기 - 혼수, 폐렴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
- 변종 CJD (광우병 소고기 먹어 걸린 경우) 산발성에 비해 질병 경과가 느리고, 질병 초기에 우울증, 불안, 인격 변화 등 정신 증상들이 나타난다는 차이가 있음.
원인
- 산발성(90%), 유전적 요인(10%), 감염(드문 경우)
- 원래 프리온 단백질은 뇌세포의 손실과 변성을 방해하는 필수적인 단백질이다. 이게 원래 형태(PrPc)를 잃고, 비정상 형태(PrPsc)로 바뀌었을 때 CJD를 일으킨다.
- 비정상 프리온 단백질에 감염 또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PRNP, 20번 염색체에 위치) 돌연변이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 아주 드물게 수술 도중, 치료 중 감염될 수가 있다. 이런 경우를 의인성 CJD라고 부른다. 각막이식, 뇌를 둘러싼 막 조직 이식, 뇌수술 시에 기구로 인한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위에서 설명한 변종 CJD는 광우병 소 고기를 섭취해서 걸린다. 광우병에서도 또한 변형 프리온 단백질이 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진단
- 여러가지 검사와 임상 증상를 확인함. 그리고 뇌 조직검사를 통해 병적변화를 확인해 확진한다.
- 임상적인 증상 - 진행성 치매, 간대성 근경련, 시력 저하, 운동실조, 추체로/추체외로 증상, 무동성 무언
- 검사 - 뇌파(EEG), 뇌자기공명영상(MRI), 뇌척수액(14-3-3 단백질 검사), 조직생검
치료
- 여러 약물을 시도해보았으나 효과가 없었음.
- 현재까지는 대증치료가 주 방법이다.
- 증상 완화시키고 감염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 통증 완화 - opiate계 약물을 사용.
- 소발작, 근간대성 발작 치료 - 항경련제(clonazepam, sodium valproate)를 사용함. 불수의적인 근육반사를 줄인다.
- 참고로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유전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관련 임상시험
- 하단 사이트에 접속하여,
질병 혹은 약물에 대하여 진행중인 임상시험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https://www.clinicaltrials.gov/ct2/results?cond=Creutzfeldt-Jakob+Disease&term=&cntry=&state=&city=&dist=&Search=Search
- (2019년 8월 28일 기준 6건)
출처: 질병관리본부 희귀질환헬프라인
반응형
'의약품과 질병정보 > 질병|희귀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귀질환]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증상,진단,치료 (0) | 2019.08.31 |
---|---|
[질병정보] 빈혈의 증상, 원인, 진단과 치료 (0) | 2019.08.30 |
[희귀질환] 유전성 비구상적혈구성 용혈성 빈혈/ Hereditary Nonspherocytic Hemolytic Anemia 증상,진단,치료 (0) | 2019.08.30 |
[희귀질환] 비정형마이코박테륨증/Atypical mycobacteriosis 증상,진단,치료 (0) | 2019.08.24 |
[희귀질환] 카다실/Cadasil 증상,진단,치료 (0) | 2019.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