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ry berry 작업실

반응형

🧬 Antisense Oligonucleotide (ASO)

💡 개념

  • ASO는 짧은 단일가닥 DNA 또는 RNA 서열로, 표적 mRNA와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치료제.
  • 기능: 유전자 억제(silencing), 스플라이싱 조절 등

🧪 작용 기전

기전 유형 설명

🔹 RNase H 활성화 ASO가 mRNA에 결합 → RNase H가 mRNA 분해 → 단백질 생성 억제
🔹 스플라이싱 조절 전사체의 스플라이싱 패턴 변화 → 비정상 단백질 생성 억제 or 기능 회복
🔹 번역 차단 리보솜의 접근을 막아 단백질 합성 억제

💊 주요 적응증

분야 적용 질환

유전질환 Spinal Muscular Atrophy (SMA), 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
BCL2 억제 등 특정 종양 유전자 타겟
바이러스 질환 HIV, HBV 등 바이러스 복제 억제 시도

🔍 대표 약물

약물명 적응증 기전

Nusinersen (Spinraza) SMA 스플라이싱 조절
Eteplirsen DMD exon skipping
Inotersen (Tegsedi) hATTR (유전성 아밀로이드증) RNase H 기전

⚙️ 특징 및 한계

장점 단점

🎯 높은 특이성 🔁 반복 투여 필요 (짧은 반감기)
🔬 유전자 수준 타겟팅 가능 🚫 조직 침투성 낮음 (특히 CNS)
💡 스플라이싱 등 정밀조절 가능 💸 높은 개발 비용 및 제형 문제

📚 참고 출처

  • Bennett CF. Antisense oligonucleotide therapies. Annu Rev Pharmacol Toxicol. 2017.
  • Crooke ST. Molecular mechanisms of antisense oligonucleotides. Nucleic Acid Ther. 2017.
  • FDA Drug Database (Spinraza, Tegsedi, Exondys 51 등)
  •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2022), "Next-generation antisense platforms"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