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CD28 계열 수용체는 T세포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핵심 수용체군.
- 이들은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로, B7 계열 리간드와 상호작용함.
- 활성화 수용체: CD28, ICOS
- 억제 수용체: CTLA-4, PD-1, BTLA
- 면역 항상성 유지 및 면역질환, 암 치료의 타겟으로 주목받음.
🧬 T세포 활성화의 세 가지 신호
- Signal 1: TCR - MHC/항원 결합
- Signal 2: CD28 family - B7 family (co-stimulation)
- Signal 3: Cytokine 수용체 (예: IL-2 등)
⚠️ Signal 2 부재 시 → 무반응 상태 (anergy) 유도됨.
🧪 CD28 계열 수용체 정리표
수용체 주요 세포 발현 리간드 (B7계열) 주요 신호 경로 작용
CD28 |
CD4+ T세포, CD8+ 일부 |
CD80, CD86 |
PI3K, Akt, Bcl-xL |
🔵 활성화 |
ICOS |
활성화된 T세포, 메모리 Th |
ICOSL (CD275) |
PI3K, MAPK |
🔵 활성화 |
CTLA-4 |
활성화된 T세포 |
CD80, CD86 |
SHP-2, PP2A, JNK 억제 |
🔴 억제 |
PD-1 |
T세포, B세포, NK 등 |
PD-L1, PD-L2 |
PI3K 억제, ZAP-70 억제 |
🔴 억제 |
BTLA |
T, B, DC, NK |
HVEM (TNFR계열) |
SHP-1, BMP, IL-17RA |
🔴 억제 |
💊 면역 체크포인트 기반 치료
✅ 항암 면역관문 억제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ICI)
약물 타겟 적응증 FDA 승인연도
Ipilimumab |
CTLA-4 |
흑색종 |
2011 |
Nivolumab |
PD-1 |
폐암, 위암 등 |
2014 |
Pembrolizumab |
PD-1 |
흑색종, 림프종 |
2014 |
Atezolizumab |
PD-L1 |
비소세포폐암, 간암 |
2016 |
Durvalumab |
PD-L1 |
방광암 등 |
2017 |
Toripalimab |
PD-1 |
비인두암 |
2023 |
🔄 자가면역 억제제
- Abatacept (Orencia)→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등 치료
- → CD80/86-CD28 경로 억제
🧠 결론 및 전망
- CD28 계열 수용체는 면역 항상성, 항암 반응, 자가면역 억제를 위한 핵심 타겟.
- 이들의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이해는 새로운 생물학적 치료제 개발의 기반.
- 다중 면역관문 조절 치료, 환자 맞춤형 면역조절, 폴리모르피즘 기반 연구가 미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