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chemia-Reperfusion Injury
2025. 5. 14. 12:51
반응형

**Ischemia-Reperfusion Injury (IRI, 허혈-재관류 손상)**는 질병이라기보다는 병태생리적 현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적응증(indication)**으로 분류되지는 않습니다. 대신 여러 질환이나 의료 상황에서 발생 가능한 합병증 또는 병리기전으로 다뤄집니다.


🔍 Ischemia-Reperfusion Injury란?

  • 허혈(ishemia): 조직이나 장기에 혈류가 일시적으로 차단되어 산소와 영양 공급이 중단되는 상태.
  • 재관류(reperfusion): 차단된 혈류가 회복되면서 다시 혈액이 공급되는 과정.
  • 문제는 이 재관류 자체가 산화 스트레스, 염증 반응, 세포 손상 등을 유발하여 오히려 더 큰 조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

📍 IRI가 발생하는 주요 상황들

  1. 심혈관계
    • 심근경색 (MI): 막힌 혈관을 다시 열어줄 때 (예: PCI, thrombolysis)
    • 심장 수술 후 재관류 시
    • 뇌졸중 (특히 허혈성): 혈전용해제 투여 후
    • 경련 또는 대사성 허혈 상태 후 회복 시
  2. 장기 이식
    • 간, 신장, 심장, 폐 이식 등: 장기를 이식하며 일시적인 허혈 상태 → 이식 후 재관류
  3. 외상/쇼크
    • 저혈압성 쇼크, 심정지 후 소생(CPR): 말초 조직에 혈류가 차단되었다가 회복되며
  4. 복부수술이나 혈관수술
    • 특히 복부 대동맥류 수술(Aneurysm Repair), 다리의 혈관 수술 등에서

🧬 IRI의 병태생리 요약

  • 활성산소종(ROS) 폭발
  • 칼슘 과다 유입
  • 염증세포(중성구) 활성화
  • 세포 사멸 (Apoptosis, Necrosis)

✅ 요약

  • IRI는 적응증이 아닌 병태생리적 손상 메커니즘입니다.
  • 주로 허혈 상태 이후 혈류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생기며,
  • 심혈관, 뇌, 이식, 외상/쇼크, 수술 상황 등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