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구조 키워드
위치/계통주요 타겟대표 작용 기전
세포막 |
EGFR, VEGFR, HER2 |
수용체 차단 |
세포내 |
RAS, PI3K, JAK |
증식/생존 억제 |
핵내 |
ER, AHR |
전사 억제 |
면역 |
PD-1, CTLA-4 |
면역 억제 해제 |
DNA |
PARP, ATR |
DNA 손상 유도 |
항원 |
CD20, BCMA |
항체, ADC, CAR-T |
환경 |
VEGF, IDO, TGF-β |
미세환경 조절 |
항암 타겟 구조 맵
1. 세포막 수용체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
→ 세포 외부 신호 수용 → 내부로 전달 시작점
- EGFR (NSCLC 등)
- HER2/neu (ERBB2) (유방암 등)
- VEGFR (혈관신생, 신장암 등)
- FGFR, MET, ALK, RET, ROS1
→ 대표 약물: Erlotinib, Lapatinib, Trastuzumab, Sorafenib
2. 세포내 신호 전달 경로 (Intracellular Signaling)
→ 수용체의 자극을 이어받아 세포 증식/생존 조절
- RAS/RAF/MEK/ERK 경로
- KRAS, BRAF
- 예: Vemurafenib, Trametinib
- PI3K/AKT/mTOR 경로
- PI3K, AKT, mTOR
- 예: Everolimus, Alpelisib
- JAK/STAT 경로
- JAK2 (예: 골수증식질환)
- 예: Ruxolitinib
3. 세포주기 조절 타겟 (Cell Cycle Regulators)
→ 세포 분열 조절하는 checkpoint 타겟
- CDK4/6
- Aurora kinase, PLK1 등
→ 암세포의 통제 불능 증식 억제
4. DNA 손상 및 수리 기전 (DNA Damage Response)
→ 암세포의 DNA 수리 능력을 억제해서 사멸 유도
- PARP (BRCA mutation 관련)
- Topo I/II, ATR, ATM, CHK1, WEE1 등
→ DNA를 망가뜨리고 수리 못하게 막기
5. 면역조절 타겟 (Immune Checkpoints)
→ T세포 억제 해제 → 면역으로 암 공격 유도
- PD-1 / PD-L1
- Pembrolizumab, Atezolizumab
- CTLA-4
- LAG-3, TIGIT, TIM-3 등 차세대 타겟들
→ 자가면역 위험 감수하고 T세포 활력 살리기
6. 항원/항체 기반 타겟 (Tumor Antigen/ADC)
→ 세포표면의 종양특이 항원을 직접 타겟
- CD20, CD19 (B세포암)
- TROP2, HER2 ADC
- BCMA (다발성골수종)
→ 항체+약물 or 세포치료 조합
7. 전사조절자/핵 내 타겟 (Nuclear Signaling)
→ 유전자 발현 조절 단계의 상위 조절자
- ER/PR/AR (호르몬 수용체)
- AHR (면역조절성 전사인자)
- AHR agonist: 면역 억제 극복 목적 등
- PPAR, Nrf2, HIF-1α 등
→ 암세포의 유전자 조절 전략 공격
8. 종양미세환경 타겟 (Tumor Microenvironment, TME)
→ 암세포 주변 환경을 조절해서 간접적으로 암 공격
- CSF1R (TAM 조절)
- VEGF (혈관 억제)
- IDO, TGF-β (면역 억제 환경)
- CAF, ECM 타겟
→ 암의 방어막인 주변 환경을 무너뜨리는 전략
9. 표적이 명확하지 않거나 다중 타겟형
→ Epigenetic 조절 / 다중 타겟 / 파괴 유도 기반
- HDAC, DNMT (후생유전학)
- PROTAC 기술 (타겟 단백질 분해 유도)
- 기타 항암 바이오 신약 (siRNA, 백신, 바이러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