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κ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는 면역, 염증, 세포 생존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이고, 그 경로는 canonical과 non-canonical로 나뉘어짐.
🧬 NF-κB Signaling Pathways
✅ 1. Canonical NF-κB Pathway
🔹 주요 특징
빠르게 반응하는 pathway (수 분 내)
다양한 면역, 염증 반응에 즉각 대응
대부분의 **선천면역 자극(TNF-α, IL-1, TLR 등)**에 의해 유도
🔹 활성화 자극
TNF-α
IL-1β
TLR (Toll-like receptors)
LPS (lipopolysaccharide)
🔹 주요 단백질
IKK complex: IKKα, IKKβ, NEMO (IKKγ)
IκBα: NF-κB 억제 단백질
NF-κB dimers: p50/RelA(p65)
🔹 작용 기전
자극 → IKKβ 활성화
IKKβ가 IκBα 인산화 → 분해
억제에서 풀린 p65/p50가 핵으로 이동
염증성 유전자(transcription) 발현 유도 (예: IL-6, TNF-α, COX-2 등)
🔹 결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
면역 세포 활성화
급성 염증 반응 조절
✅ 2. Non-Canonical NF-κB Pathway
🔹 주요 특징
느리게 활성화됨 (수 시간 소요)
특정 자극에 반응
림프조직 발생, B세포 생존/성숙, 항바이러스 면역에 관여
🔹 활성화 자극
CD40L
BAFF (B-cell activating factor)
LTβ (Lymphotoxin-β)
RANKL (뼈 대사 관련)
🔹 주요 단백질
NIK (NF-κB-inducing kinase)
IKKα homodimer (NEMO 없이 작동)
NF-κB dimers: p52/RelB
🔹 작용 기전
자극 → NIK 축적 (원래는 계속 분해됨)
NIK가 IKKα 활성화
p100 → p52로 부분 절단
p52/RelB 복합체가 핵으로 이동 → 유전자 발현
🔹 결과
림프조직 발달
B세포 분화 및 생존
만성 염증, 면역조절
🔍 비교 요약표
항목CanonicalNon-Canonical
반응 속도
빠름 (수 분)
느림 (수 시간)
주요 자극
TNF-α, IL-1, TLR, LPS
BAFF, CD40L, LTβ, RANKL
핵심 단백질
IKKβ, NEMO, IκBα
NIK, IKKα (homodimer)
핵 이동 단백질
p65/p50
RelB/p52
역할
급성 염증, 선천면역
림프기구 형성, B세포 생존
🦠 NF-κB 경로와 관련된 질환들
✅ 1. 만성 염증성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RA)
염증성 장질환 (IBD)
아토피 피부염, 건선
천식, COPD → NF-κB가 IL-1, TNF-α, IL-6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유도 → 만성 염증 유지
✅ 2. 자가면역 질환
전신홍반루푸스 (SLE)
다발성 경화증 (MS) → NF-κB 경로의 비정상적 과활성화로 면역 반응 과잉
✅ 3. 암
림프종 (특히 B세포 림프종)
대장암, 유방암, 폐암 등 고형암 → NF-κB는 **항-apoptotic 유전자(Bcl-2, IAP)**를 활성화시켜 세포 사멸 회피, 암 세포 생존 촉진 → 암세포에서 NF-κB가 상시 활성화된 경우도 많음
💊 NF-κB 경로를 타겟으로 하는 약물들
🔹 1. IKK 억제제
BMS-345541, MLN120B (실험 단계)
IKKβ를 억제해서 canonical 경로 차단
🔹 2. TNF-α 억제제
→ 간접적으로 NF-κB 경로를 차단
Infliximab, Adalimumab, Etanercept
RA, 크론병, 건선성 관절염 등에서 사용
🔹 3. IL-1/IL-6 억제제
Anakinra (IL-1Ra)
Tocilizumab (IL-6R Ab) → NF-κB 자극을 줄여 염증 cascade 차단
🔹 4. 스테로이드 (Glucocorticoids)
Dexamethasone, Prednisolone
IκBα 발현을 증가시켜 NF-κB 억제
🔹 5. 천연물 유래 억제제
Curcumin (강황 유래)
Resveratrol (포도 유래) → NF-κB DNA 결합을 억제하는 기능
📌 요약: NF-κB는 왜 중요한 타겟인가?
염증 억제, 면역 억제, 항암 효과 모두 연결 가능
하지만 전신적 억제 시 면역 저하나 독성 가능성 → 선택적 조절이 핵심
최근에는 cell-type specific, pathway-specific inhibitor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