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IRI가 Bilirubin 수치에 미치는 영향
🔸 간 IRI 후 → Bilirubin 상승
- 간에 허혈이 발생하고 재관류되면:
- 간세포 손상 → 간세포에서 빌리루빈 처리 기능 저하
- 담즙 정체 (cholestasis) 유발 → 간내 또는 총빌리루빈 상승
- 특히 간 이식 후 IRI는 고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의 중요한 원인
- 직접 빌리루빈 (conjugated) 상승이 흔함
✅ 2. Bilirubin의 항산화 효과 – IRI에 대한 보호 작용
🔸 빌리루빈은 강력한 항산화제
- 불포화지질 과산화 억제 → 세포막 손상 방지
- 활성산소종(ROS) 제거 → IRI에서 생기는 산화 스트레스 완화
🔸 Bilirubin의 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 예시:
- 적당한 수준의 빌리루빈은 심장, 뇌, 신장 IRI 모델에서 조직 보호 효과를 보임
- Gilbert 증후군 환자 (만성적 고빌리루빈혈증)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이 낮다는 연구 결과도 있음
✅ 3. 병리학적 구분 요약
항목IRI의 결과로서의 BilirubinBilirubin의 IRI 억제 작용
상황 | 간세포 손상 시 빌리루빈 처리 저하 | 생리적 항산화 작용 |
효과 | 혈중 빌리루빈 증가 (특히 직접형) | ROS 억제, 세포 보호 |
의미 | IRI의 결과이자 지표 | IRI의 완화 인자로 작용 가능 |
🔬 결론
- IRI는 빌리루빈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간 관련 수술이나 이식 후 모니터링 지표로 중요합니다.
- 반대로, 적정 수준의 빌리루빈은 IRI로부터 조직을 보호하는 잠재적 역할도 하므로 이중적 의미를 가집니다.
반응형
'Field Notes > Support : Phar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all molecule과 mRNA치료제 비교 (1) | 2025.05.14 |
---|---|
빌리루빈 (1) | 2025.05.14 |
Ischemia-Reperfusion Injury (1) | 2025.05.14 |
항암 타겟 구조 맵 (1) | 2025.04.27 |
Urea 크림이 보습제이자 각질용해제로 쓰일 수 있는 이유? (1)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