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둘 다 B세포 관련 항체인데 왜 쓰는 질환이 다른가?
→ 이건 CD20과 CD38이 발현되는 B세포의 "분화단계"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
🔬 B세포 분화 흐름 한눈에 보기
css
복사편집
조혈모세포 → 전구 B세포 (pro-B cell) → 전B세포 (pre-B cell) → 미성숙 B세포 → 성숙 B세포 (CD20 발현 시작) → 형질세포(plasma cell) (CD20 없음, CD38↑↑)
🧬 1. CD20 = 성숙한 B세포에만 발현
- 발현 위치: 전B세포 이후 ~ 성숙 B세포까지
- 형질세포(plasma cell)에서는 발현 ❌
- 👉 그래서 Rituximab은:
- 비호지킨 B세포 림프종
- CLL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 자가면역 질환 (RA 등)
- → **"성숙 B세포 기반 질환"**에 사용됨
🔬 2. CD38 = 형질세포(plasma cell)에 매우 고발현
- 발현 위치: B세포 성숙의 후반, 특히 형질세포에서 고발현
- 👉 그래서 Daratumumab은:
- 다발성 골수종 (Multiple Myeloma)
- → **"형질세포 종양"**에 사용됨
🔎 보너스:
- CD38은 T세포, NK세포 등에도 발현되긴 하지만, 다발성 골수종 세포에서 매우 강하게 발현돼서 선택적 타깃으로 사용 가능
🎯 요약 비교
항목RituximabDaratumumab
표적 | CD20 | CD38 |
발현 세포 | 성숙 B세포 | 형질세포 (plasma cell) |
질환 | B세포 림프종, CLL, 자가면역질환 | 다발성 골수종 |
작용기전 | ADCC, CDC, apoptosis | ADCC, CDC, apoptosis, CD38 clustering |
🧠 정리 포인트
CD20 = 성숙한 B세포 질환
CD38 = 항체 분비하는 "형질세포" 질환 (다발성 골수종)둘 다 B세포 계열이지만, 공격 대상의 분화 단계가 달라서 적용 질환도 달라지는 것이에요.
반응형
'Field Notes > notes : Phar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B세포 분화단계에 따라 달라지는 표지자, 그에 따른 항체 약물 비교 (1) | 2025.04.26 |
---|---|
B세포림프종과 다발성골수종의 B세포 상태가 다르다? (1) | 2025.04.26 |
항체가 수용체에 결합했을 때 일어나는 두 가지 주요 반응 (1) | 2025.04.26 |
항체 유도 클러스터링을 이용하는 또 다른 약, rituximab과 trastuzumab (1) | 2025.04.26 |
CD38에 항체 다잘렉스가 붙으면 왜 클러스터링이 일어나는가? (1)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