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ry berry 작업실
Cost Management Accounting
Field Notes/Support : Economics
2025. 4. 27. 00:10
반응형
🟦 1. 원가회계의 개념과 목적
✅ 원가회계란?
제조원가, 영업원가 등을 측정하고, 이를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하여 경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회계 시스템
✅ 목적
제품 제조에 들어간 원가를 계산하고 통제하며, 이익 계획 및 경영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
재무회계와 달리 외부공시 목적이 아닌 내부 의사결정용
🟦 2. 원가의 분류
분류 기준 구분 설명
행태별
고정비
생산량에 관계없이 일정 (임대료 등)
변동비
생산량에 비례해 증가 (직접재료비 등)
혼합비
고정 + 변동 성격 병존 (유틸리티 비용 등)
원가대상
직접비
특정 제품에 직접 귀속 가능 (직접재료, 직접노무)
간접비
공통적으로 발생하여 배부 필요 (공장관리비 등)
기능별
제조원가
제품 생산에 직접 관련된 원가
판매비와관리비
영업활동과 관련된 비용 (광고, 급여 등)
🟦 3. 원가의 흐름과 제조원가명세서
✅ 제조원가 흐름 구조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 = 총제조원가
기초재공품 – 기말재공품 = 제조원가
✅ 제조원가명세서 vs 손익계산서
제조원가명세서는
제조원가 계산용 내부자료
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 구성에 포함됨
🟦 4.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
✅ 개별원가계산
주문 생산, 소량 다품종 (ex: 건설, 기계)
제품별로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를 실제 발생액 기준으로 집계
원가흐름: 작업지시서 단위로 원가를 추적
✅ 종합원가계산
대량 생산, 연속공정 (ex: 화학, 제지)
공정 또는 부문 단위로 집계하여 평균 배분
평균법, 선입선출법 등으로 단가 계산
완성품 환산단위(EU: Equivalent Unit) 개념 적용
🟦 5. 표준원가계산
✅ 개념
사전에 정한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이를 분석하여 원가통제를 도모하는 방식
표준원가 = 단위당 표준수량 × 단위당 표준가격
✅ 분석 방식
직접재료
: 가격차이(구매시점) / 수량차이(사용량 기준)
직접노무비
: 임률차이 / 시간차이
제조간접비
: 배부차이 / 조업도차이 등
✅ 목적
원가절감 유도, 예산통제, 성과평가, 계획 수립
표준과 실제의 차이 = 차이분석(variance analysis)
🟦 6.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
✅ 전부원가계산 (Absorption Costing)
모든 제조원가(고정 + 변동)를 제품원가에 포함
고정제조간접비도 제품원가로 처리되어 재고에 포함
GAAP/세법상 재무보고 목적에 적합
✅ 변동원가계산 (Variable Costing)
변동원가만 제품원가로 포함
고정제조간접비는 발생 시 비용 처리 (기간비용)
공헌이익 = 매출 – 변동비 → CVP 분석에 유리
✅ 차이점
재고증가 시: 전부원가계산의 이익이 더 높게 나옴 (고정비 이연)
재고감소 시: 변동원가계산의 이익이 더 높음 (고정비 즉시 비용 처리)
🟦 7. 활동기준원가계산 (ABC: Activity-Based Costing)
✅ 개념
원가를 활동(Activity) 단위로 추적하여 자원소비를 정확히 반영하는 원가계산 방식
간접비를 활동에 따라 원가대상(제품)에 합리적으로 배분
✅ 절차
활동 식별 → 활동별 원가 추적
활동 기준 설정 (예: 작업시간, 주문횟수 등)
제품이 소비한 활동량 기준으로 배부
✅ 특징 및 장점
전통적 방식보다 간접비 배분 정확도 향상
복잡한 생산 구조,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
원가절감 활동 분석, 가격정책 수립에 유리
🟦 8. CVP 분석과 손익분기점 분석
✅ CVP 분석이란?
Cost-Volume-Profit Analysis: 원가, 조업도, 이익의 관계를 분석하여 경영의사결정에 활용
고정비, 변동비, 판매가격, 판매량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함
✅ 기본 공식
공헌이익 = 판매가격 – 변동비
총공헌이익 = 공헌이익 × 판매수량
영업이익 = 총공헌이익 – 고정비
✅ 손익분기점(BEP: Break-Even Point)
BEP(단위) = 고정비 / 단위당 공헌이익
BEP(매출액) = 고정비 / 공헌이익률
손익분기점을 넘어서야 기업이 이익을 창출함
✅ 안전한계(Margin of Safety)
매출이 손익분기점 이상 초과된 정도
MOS = (실제매출 – BEP매출) / 실제매출
✅ 운영레버리지도(DOL)
매출 변화에 따른 영업이익 민감도
DOL = 총공헌이익 / 영업이익
고정비 비중이 높을수록 DOL↑ → 위험도도 상승
🟦 9. 차이분석 및 원가의사결정 활용
✅ 차이분석 (Variance Analysis)
표준원가와 실제원가 간의 차이 원인을 분석
직접재료
: 가격차이, 수량차이
직접노무비
: 임률차이, 시간차이
간접비
: 예산차이, 조업도차이, 배부차이
전체 차이 = 총 차이 = 가격 × 수량 요인 분석
✅ 원가의사결정 활용
의사결정 유형 내용 및 고려사항
특별주문 수락여부
고정비 추가 발생 없는 경우, 공헌이익 확보 여부 판단
외주 vs 자체생산
외주비용 vs 절감 가능한 제조원가 비교
제품 믹스 결정
제약 조건 하의 공헌이익 극대화 조합 선택
설비 대체 여부
현재설비 처분손익, 신규설비 투자수익률 비교
✅ 관련 개념
기회비용: 선택으로 인해 포기한 최대 이익
매몰원가: 이미 발생하여 회수 불가능한 원가 (의사결정에 영향 없음)
관련원가: 의사결정에 따라 변동되는 미래원가만 고려
🔹 자주 출제되는 개념문제
주제 핵심 포인트
원가 분류 문제
제조/비제조, 직접/간접, 고정/변동 구분
개별 vs 종합원가
생산방식에 따른 원가계산 방식 비교
CVP 분석 해석
고정비, 공헌이익률, 안전마진 개념 해석
표준원가 차이분석
재료가격차이, 수량차이, 노동효율차이 등
🔹 계산문제 유형
손익분기점 수량 & 매출액
공헌이익과 공헌이익률
목표이익 달성 매출액
원가요소별 차이 분석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Barry berry 작업실
'
Field Notes
>
Support : Economics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경관리사 전체 요약
(1)
2025.04.27
Tax Accounting
(1)
2025.04.27
Financial Accounting
(1)
2025.04.27
Valuation Modeling
(1)
2025.04.27
자금조달 및 가치평가 – Part 2
(1)
2025.04.27
반응형
공유하기
'Field Notes/Support : Economics' 의 관련글
재경관리사 전체 요약
2025.04.27
더보기
Tax Accounting
2025.04.27
더보기
Financial Accounting
2025.04.27
더보기
Valuation Modeling
2025.04.27
더보기
글쓰기
관리자
카테고리
맨위로
티스토리툴바
Barry berry 작업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