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ry berry 작업실

반응형
  • Respiratory
    • Asthma
      • 천식 (Asthma)
        • 정의: 기도 과민성과 염증에 의한 가역적 기도폐쇄성 호흡기 질환
        • 특징
          • 간헐적 기침, 천명(wheezing), 흉부 압박감, 호흡곤란
          • 야간·새벽 증상 악화, 운동 또는 알레르기 유발 요인 있음
        • 유발 요인
          • 알레르겐(집먼지진드기, 꽃가루), 감염, 찬 공기, 운동, 스트레스, 아스피린, β차단제
        • 진단
          • 폐기능 검사(FEV1, PEF), β2 작용제 반응성(≥12% FEV1 증가)
        • 중증도 분류
          • 간헐형, 경증 지속형, 중등도 지속형, 중증 지속형

        💊 약물 요법 요약
        • 약물: Budesonide, Fluticasone, Beclomethasone 등
        • 용량:
          • 저용량: Budesonide 200–400 mcg/day
          • 중등량: 400–800 mcg/day
          • 고용량: >800 mcg/day
        • 부작용: 구강칸디다증, 쉰 목소리 → 사용 후 가글 권장
        • 효과: 증상 개선, 급성악화 감소, 사망률 ↓

        ✅ 2. β2 작용제 (기관지 확장제)
        • 속효성 (SABA)
          • 약물: Salbutamol (Albuterol), Terbutaline
          • 용량: 필요 시 100–200mcg 흡입
          • 용도: 증상 급성 완화 (구조 치료제)
          • 부작용: 빈맥, 손 떨림, 저칼륨혈증
        • 지속성 (LABA)
          • 약물: Salmeterol, Formoterol
          • 용량: 50mcg bid 등
          • 주의: ICS와 병용 필수 (단독 사용 금기)
          • 부작용: 심계항진, 떨림

        ✅ 3. ICS/LABA 복합제 (권장 치료 조합)
        • 약물:
          • Budesonide/Formoterol (Symbicort)
          • Fluticasone/Salmeterol (Advair)
        • 용도:
          • 유지 + 증상 완화 목적 겸용
          • SMART 전략(하나의 복합제를 필요시 흡입)

        ✅ 4. 기타 약제
        • LTRA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
          • 약물: Montelukast 10mg qd
          • 효과: 알레르기성 천식, 운동유발성 천식에 효과
          • 부작용: 불면, 이상행동 (소아 주의)
        • Theophylline
          • 용량: 5–15mcg/mL 유지
          • 기전: PDE 억제 → 기관지 확장
          • 부작용: 심계항진, 위장장애, 경련, 독성 위험 (농도 모니터 필요)
        • Biologics
          • 약물: Omalizumab (anti-IgE), Mepolizumab (anti-IL-5)
          • 적응증: 중증 알레르기성 or 호산구성 천식
          • 투여: 피하주사, 월 1–2회
          • 부작용: 주사부위 반응, 아나필락시스

        🧠 급성 천식 악화 치료
        • 경증–중등도
          • SABA + 경구 스테로이드 (Prednisolone 40–60mg/day × 5–7일)
        • 중증–생명 위협
          • SABA 반복 흡입 + 산소 공급
          • IV 스테로이드 (Methylprednisolone)
          • 필요 시 Mg sulfate IV (기관지 이완)

        💡 천식 관리 요약단계 권장 치료
        1단계 필요시 저용량 ICS/Formoterol
        2단계 매일 저용량 ICS or 필요시 ICS/Formoterol
        3단계 저용량 ICS + LABA
        4단계 중등량 ICS + LABA
        5단계 고용량 ICS + LABA ± Biologic
        • 피크유속계(PEF): 매일 모니터링 권장
        • 흡입기 사용법 교육, 금연, 알레르겐 회피 필수
      • ✅ 1. 흡입 스테로이드 (ICS): 기본 치료
      • 🧠 질병 요약
    • URTI
      • 상기도감염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URTI)
        • 정의: 코, 인두, 후두 등 상기도의 바이러스성 감염
        • 주요 질환: 감기(급성비인두염), 인후염, 편도염, 후두염
        • 원인: 대부분 바이러스 (Rhinovirus, Adenovirus, RSV 등)
        💊 치료 요약질환 치료 요점
        감기 대증요법 중심 (진통제, 해열제, 수분섭취)
        항생제 필요 없음  
        인후염 Group A Streptococcus (GAS) 감별 필요
        → 확진 시 Penicillin, Amoxicillin 10일  
        편도염 같은 기준 (GAS 양성 시 항생제 사용)
        후두염 대개 바이러스성 / 휴식, 가습, 필요시 흡입 스테로이드
        💡 바이러스성 URTI → 항생제 불필요
      • 💡 인후통 + 발열 + 화농성 편도 → **GAS 신속항원검사 (RADT)**로 진단
      • 🧠 질병 요약
    • COPD
      •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정의: 기류제한이 비가역적이며, 점차 진행되는 만성 염증성 폐질환
        • 주요 질환: 만성 기관지염 + 폐기종
        • 주요 원인: 흡연 (90%), 대기오염, 직업성 분진, α1-antitrypsin 결핍
        • 증상
          • 점진적 호흡곤란, 만성기침, 객담, 천명
        • 진단
          • 폐기능검사: FEV1/FVC < 0.7 (기류제한 확인)
          • CAT 점수, mMRC 호흡곤란 점수 활용

        💊 약물 요법 요약
        • SABA (속효성 β2 작용제)
          • 약물: Salbutamol (Ventolin) 100mcg/흡입
          • 용도: 급성 증상 시 사용
          • 부작용: 빈맥, 떨림
        • SAMA (속효성 항무스카린제)
          • 약물: Ipratropium
          • 효과: 기관지 확장, 분비물 억제
        • LABA (지속성 β2 작용제)
          • 약물: Salmeterol, Formoterol
          • 용도: 유지 요법 (1일 2회)
          • 부작용: 심계항진, 떨림
        • LAMA (지속성 항무스카린제)
          • 약물: Tiotropium (Spiriva)
          • 효과: FEV1 개선, 악화 빈도 ↓
          • 용량: 18mcg/day (흡입형 캡슐)
          • 부작용: 구강건조, 변비

        ✅ 병용 흡입제
        • LABA + LAMA (1차 선택지)
          • 효과: 증상 조절 + 폐기능 개선 + 급성악화 감소
          • 예: Umeclidinium/Vilanterol (Anoro Ellipta)
        • ICS + LABA
          • 적응증: 혈중 호산구 ↑ or 천식 겸한 COPD
          • 부작용: 폐렴 위험 ↑, 구강 칸디다증
          • 예: Fluticasone/Salmeterol (Advair), Budesonide/Formoterol (Symbicort)
        • ICS + LABA + LAMA (3제 병용)
          • 중증 환자에서 사용
          • 예: Trelegy Ellipta (Fluticasone + Umeclidinium + Vilanterol)

        ✅ 기타 약제
        • PDE-4 억제제 (Roflumilast)
          • 기전: 염증 억제, 기류 개선
          • 용량: 500mcg qd (경구)
          • 부작용: 체중 감소, 위장장애, 우울증
        • Theophylline
          • 효과 제한적, 독성 위험으로 사용 감소 추세

        🧠 급성 악화 (AECOPD) 치료
        • 원인: 감염 (바이러스 or 세균), 대기오염, 복약 불이행
        • 치료
          • SABA or SAMA 흡입 증가
          • 경구 스테로이드 (Prednisolone 40mg qd × 5일)
          • 항생제: 3대 증상 중 ≥2개 (가래 양 ↑, 농성 ↑, 호흡곤란) 시 사용
            • 예: Amoxicillin/clavulanate, Azithromycin, Doxycycline

        💡 COPD 관리 전략 (GOLD 기준)분류 증상 (CAT) 악화 횟수 치료
        A 경증 낮음 SABA or SAMA
        B 중등도 증상 낮음 LABA or LAMA
        C 경증 증상 자주 악화 LAMA
        D 중증 + 잦은 악화 높음 LABA + LAMA ± ICS
        • 흡연 중단: 가장 효과적인 중재
        • 예방접종: 독감, 폐렴, 코로나 백신 권장
        • 산소치료: PaO₂ ≤ 55mmHg or SaO₂ ≤ 88% 시
      • ✅ 기관지 확장제: 증상 조절의 핵심
      • 🧠 질병 요약
    • Pneumonia
      • 폐렴 (Pneumonia)
        • 정의: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해 폐실질에 염증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
        • 분류
          • 지역사회획득폐렴 (CAP): 병원 외 발생
          • 병원획득폐렴 (HAP): 입원 48시간 이후 발생
          •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VAP): 삽관 후 48시간 이후
        • 원인균
          • CAP: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Mycoplasma pneumoniae, Legionella
          • HAP/VAP: Pseudomonas, MRSA, Enterobacteriaceae
        • 증상
          • 발열, 기침, 가래, 흉통, 호흡곤란
        • 진단
          • 흉부 X선, 청진소견(수포음), 객담 배양, CBC, CRP/Procalcitonin

        💊 항균제 치료 요약
        • 외래 치료
          • 건강한 성인, 최근 항생제 사용 없음
            • Amoxicillin 1g tid
            • Doxycycline 100mg bid
            • Macrolide (Azithromycin 500mg 1회, 이후 250mg qd) (지역 내 내성 낮을 때)
          • 기저질환 or 최근 항생제 사용
            • β-lactam + macrolide
            • Augmentin + Azithromycin
            • 또는 Levofloxacin 750mg qd (respiratory FQ 단독)
        • 입원 치료
          • 비중환자실:
            • Ceftriaxone 1–2g IV + Azithromycin 500mg IV or PO
            • 또는 Levofloxacin 단독
          • 중환자실:
            • Cefotaxime/Ceftriaxone + Azithromycin or FQ
            • Pseudomonas 위험 시 → Piperacillin-tazobactam, Cefepime + FQ

        ✅ 2. 병원획득폐렴 (HAP) &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VAP)
        • 항균제 선택 원칙
          • ① 광범위 항녹농균 β-lactam (Piperacillin-tazobactam, Cefepime, Meropenem 등)
          • ② + 항녹농균 비β-lactam (Levofloxacin or Aminoglycoside)
          • ③ + 항MRSA제 (Vancomycin or Linezolid)
        • MRSA 위험요인: 최근 항생제, 장기 입원, 중환자실, 기관삽관
        • Pseudomonas 위험요인: 구조적 폐질환, 이전 감염 병력, 광범위 항생제 사용

        ✅ 치료 기간
        • 일반 CAP: 5–7일
        • HAP/VAP: 최소 7일
        • 해열 및 증상 호전 후 48–72시간 지속되면 경구 전환 고려

        💡 예방 전략
        • 폐렴구균 백신 접종 (PCV13 + PPSV23)
        • 65세 이상,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에게 권장
        • 독감 예방접종 병행
      • ✅ 1. 지역사회획득폐렴 (CAP)
      • 🧠 질병 요약
    • Tuberculosis
      • 결핵 (Tuberculosis)
        • 정의: Mycobacterium tuberculosis 감염으로 발생하는 만성 전염성 질환
        • 전파 경로: 비말감염 (공기 중 전염)
        • 분류
          • 활동성 결핵: 증상 동반, 전염성 있음
          • 잠복결핵(LTBI): 증상 없음, 면역력 저하 시 활성화 가능
        • 증상
          • 3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 혈담, 발열, 야간 발한, 체중감소, 피로
        • 진단
          • 객담 도말 & 배양, NAAT (GeneXpert), 흉부 X선
          • PPD 피부반응검사(투베르쿨린), IGRA

        💊 약물 요법 요약
        • 초기 집중기 (2개월): HRZE
          • H: Isoniazid (INH)
            • 5mg/kg (보통 300mg qd)
            • 부작용: 말초신경병증 (→ 피리독신 병용), 간독성
          • R: Rifampin (RFP)
            • 10mg/kg (보통 600mg qd)
            • 부작용: 간기능 이상, 체액 색변화(주황색), 약물 상호작용 多 (CYP 유도)
          • Z: Pyrazinamide (PZA)
            • 15–30mg/kg
            • 부작용: 고요산혈증, 관절통, 간독성
          • E: Ethambutol (EMB)
            • 15–25mg/kg
            • 부작용: 시신경염 (색감 변화), 시야 흐림
        • 유지기 (4개월): INH + RFP (총 6개월 요법)

        ✅ 특별 상황 약물 조정
        • 간질환 → EMB + SM (Streptomycin) ± FQ 사용
        • 약제 내성 결핵 → 2차 약제 사용 (Linezolid, Bedaquiline 등)
        • 임신 → PZA 제외 가능 (HRE 요법), RFP 안전
        • HIV 동반 → RFP 사용 가능하나 상호작용 주의 (ART 병용 조절 필요)

        ✅ 잠복결핵 치료 (LTBI)
        • INH 6–9개월 (선택 1)
        • RFP 4개월 or INH + RFP 병용 3개월

        💡 모니터링 및 주의사항
        • 간기능 (AST/ALT), 요산, 시력 정기 검사
        • 약물 복용 중 체액 주황색 변화는 정상
        • DOTS(직접 관찰 하 치료) 시행 권장
        • 치료 도중 증상 악화는 면역 재구성 증후군 (IRIS) 가능성 고려
반응형

'Field Notes > Support : Phar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fectious  (1) 2025.04.26
Renal  (1) 2025.04.26
Cardiovascular  (1) 2025.04.26
Oncology  (1) 2025.04.26
약물구조와 약리적 특성  (1) 2025.04.26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