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태생리학 요약 정리
📂 1. 병태생리학이란?
정의: 정상 생리에서 벗어난 **질병의 기전(병의 원인 및 발생과정)**을 설명하는 의과학의 핵심 영역.
병태생리학은 의학, 약학, 간호학, 재활 등 모든 헬스케어 직군의 기초를 이룸.
- Patho(병리) + Physiology(생리) = 질병 상태에서 인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설명
- 질환의 원인, 발병 메커니즘, 임상 증상, 진단 기준까지 포함
📂 2. 병태생리학 학습 흐름도
정상 생리학 → 손상 요인 발생 → 항상성 붕괴 → 보상 작용 → 질병으로 진행
- 질병 발생의 핵심 요소:
- 세포 손상 (산화 스트레스, 염증, 유전자 돌연변이 등)
- 면역 반응 (과잉반응 vs 억제)
- 대사 장애 (호르몬, 에너지 불균형)
- 감염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 3. 주요 계통별 병태생리 요약 (표 통합본)
질환 계통 주요 질환 병태생리 요약
🫁 호흡기계 |
천식 |
알레르기 유발 항원 → Th2 세포 활성화 → IgE 분비 → 히스타민, 류코트리엔 분비 → 기도 수축 & 염증 |
|
COPD |
흡연 → 만성 염증 → 기도/폐포 구조 손상 → 기류 제한 (폐기종 + 기관지염) |
|
폐렴 |
세균/바이러스 감염 → 폐포 내 염증반응 → 가스교환 장애 |
🍽 소화기계 |
GERD |
하부 식도괄약근 기능 저하 → 위산 역류 → 식도점막 손상 |
|
위염/궤양 |
H. pylori or NSAIDs → 점막 방어 파괴 → 위산에 의한 점막 손상 |
|
간경변 |
만성간염/알코올 → 간세포 손상 & 섬유화 → 간 기능 저하 + 문맥압 항진 |
🧠 내분비계 |
당뇨병 1형 |
자가면역 반응 → 췌장 β세포 파괴 → 인슐린 결핍 |
|
당뇨병 2형 |
인슐린 저항성 + β세포 기능 저하 → 고혈당 지속 |
|
갑상선기능항진증 |
TSHR 자가항체(Graves) → T3/T4 과잉 분비 → 기초대사율 증가 |
🧬 암 (종양) |
유방암 |
BRCA1/2 돌연변이 or 호르몬 수용체 과발현 → 세포 증식 조절 실패 |
|
폐암 |
흡연 등 발암물질 → p53/RAS 유전자 변이 → 세포 불사 조절 실패 |
|
대장암 |
APC → KRAS → p53 등 순차적 변이 축적 → 암세포 형성 |
🦠 감염성 질환 |
결핵 |
MTB 흡입 → 대식세포 감염 → 육아종 형성 (잠복 → 활성화) |
|
B형간염 |
HBV 감염 → 면역 반응 → 간세포 염증 → 만성화 시 간경변/암 진행 |
|
HIV/AIDS |
CD4+ T세포 감염 → 면역기능 저하 → 기회감염 증가 |
📌 질환 내용은 주요 병태생리 교과서(McCance Pathophysiology, Porth's Pathophysiology), 국내 병리학/약리학 교재, WHO/CDC 자료를 기반으로 요약함.
📂 4. 병태생리 정리 팁 (기억과 체계화를 위한 구조)
- 1️⃣ 원인 요인 (Etiology): 유전, 환경, 감염 등
- 2️⃣ 발병 기전 (Pathogenesis): 세포/조직 변화의 경로
- 3️⃣ 병리 변화 (Morphological changes): 조직학적 변화
- 4️⃣ 임상 증상 (Clinical manifestations): 증상, 징후
- 5️⃣ 진단/검사 (Diagnosis): 검사 수치, 영상 등
📂 5. 추천 학습 자료 (출처 기반)
종류 자료명 링크/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