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념체계의 위상과 목적
-일반목적의 재무보고 목적과 개념
1) 한국회계기준위원회의 기준 제,개정에 도움
2) 재무제표 작성자가 일관된 회계정책 개발하는데 도움
3) 기타 이해관계자의 이해와 해석에 도움
-> K-IFRS가 우선 적용
2. 일반목적재무보고의 목적
1) 정보수요
-외부정보이용자가 일반목적재무보고서의 대상
-나머지는 아님(경영진, 내부자)
2) 일반목적 재무보고서가 제공하는 정보
a. 경제적 자원(기업의 자산)과 청구권(부채 및 자본) -> B/S
-> 기업의 재무적 강점, 약점 식별에 도움
b. 경제적 자원 및 청구권의 변동 -> I/S, C/F, 자본변동표
-재무 성과에 기인: N/I -> 이익잉여금에 반영
-재무성과에 기인하지 않음: 거래에서 발생 -> 채무상품, 지분상품의 발행 등
c. 발생주의 회계가 반영된 재무성과
-> I/S
d. 과거 현금흐름이 반영된 재무성과
-> C/F
e. 재무성과에 기인하지 않는 경제적 자원 및 청구권의 변동
3. 기본가정
1) 계속기업가정
-> 청산하거나 거래를 중단하려는 의도가 있다면 '청산가치' 기준에 따라 작성하고 기준을 주석에 기술해야 함.
4.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
->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가 되기 위한 속상
1) 근본적 질적특성
-목적 적합성: 예측가치, 확인가치 / 중요성 (성격, 규모에 근거한 목적적합성을 의미함. 미리 결정할 수 없음)
--> 재무정보가 예측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그 자체가 예측치 또는 예상치일 필요는 없음. 예측을 위한 투입요소일 뿐임.
-표현 충실성: 서술이 완전하고, 중립적이고, 오류가 없음(절차의 선택과 적용시 오류가 없음, 모든면에서 정확하다는 것이 아님)
2) 보강적 질적특성
-비교가능성: 기업,기간간
-검증가능성:
-적시성: 제 때 이용가능
-이해가능성:
5. 재무제표의 기본요소
1) 재무상태
a. 자산: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는 현재의 경제적 자원
b. 부채: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경제적자원을 이전해야 하는 현재의무
c. 자본: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후 잔여지분
2) 성과
a. 수익: 자본거래를 제외한 순자산의 증가
b. 비용: 자본거래를 제외한 순자산의 감소
6. 재무제표 요소의 인식과 제거
-인식 기준: 목적 적합한 정보, 충실한 표현
-제거: 자산 통제 상실시, 부채 현재의무를 부담하지 안흥ㄹ 때
7. 재무제표 요소의 측정
1) 측정
-역사적 원가: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지급한 대가 + 거래원가 ==> 사용목적의 자산, 유형자산,
-공정가치: 측정일 시장참여자 간 정상거래에서 자산 매도시 or 부채 이전시 지급하게 될 가격 ==> 매각목적의 자산, 주식
-사용가치/이행가치: 사용과 궁극적 처분으로 얻을 것으로 기대되는 현금흐름의 할인된 현재가치 ==> (금액, 시기, 할인율)
-현행원가: 측정일 지급한 대가 + 그 날 발생할 거래원가 (과거에 산거를 현재 산다면 지급할 대가) ==> 구입 목적의 자산, 원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