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ry berry 작업실

반응형

📘 자금조달 및 가치평가 – Part 1


🟦 1. 자금조달 수단 개요

수단 특징 회계상 분류

영구채 (Perpetual Bond)이자지급 있으나 만기 無, 콜옵션 有조건 따라 자본 또는 부채
RCPS (상환전환우선주)상환권·전환권·우선배당 포함통상 부채 (상환조건 시)
CB (전환사채)채권 → 주식 전환 가능, 이자 有전환권 포함 시 파생부채
BW (신주인수권부사채)신주인수권 + 채권 분리 가능권리는 자본, 채권은 부채
EB (교환사채)자기주식 or 타사주 교환 가능자본 또는 부채 복합

🟦 2. 메자닌(Mezzanine) 금융이란?

  • 주식과 채권 사이의 하이브리드 자본
  • 상환·전환 조건에 따라 신용등급에 영향 제한
  • 재무제표상 부채이지만 실질적으로 자본처럼 인식되기도 함
  • 신용등급 유지와 자금조달 수단 확보를 동시에 고려하는 구조

🟦 3. RCPS (상환전환우선주)

✅ 구성 요소

  • 전환권: 일정 기간 후 보통주 전환 가능
  • 상환권: 미전환 시 일정 조건에 따라 회사가 상환
  • 우선권: 배당 또는 청산시 우선지위

✅ 회계 이슈

  • 상환의무 有 → 부채
  • 회계상 자사주로 상환하면 자본 차감 항목 처리
  • 일부 구조는 실질적으로 ‘부채성 자본’

🟦 4. 전환사채 (CB)

  • 보통주 전환 가능한 채권
  • 공정가치 평가 → 평가손실/이익 인식
  • Ref(전환가 조정조항) 有 → 파생부채 처리
  • IPO 전에는 Ref가 대부분 포함됨 (리픽싱 리스크)

🟦 5. 신주인수권부사채 (BW)

  • 채권 + 인수권 분리 가능 (인수권만 거래 가능)
  • 실무상 BW 인수 후 권리는 행사하지 않는 경우도 많음
  • 주식 발행 없이도 레버리지 효과 가능

🟦 6. 교환사채 (EB)

  • 타회사 주식 or 자기주식으로 교환 가능한 채권
  • 신주 발행이 없어 기존 주주의 희석 우려 ↓
  • 자산관리 목적 투자자에게 유리
  • 회계상 신중한 분류 필요 (자산 or 부채 등)

🟦 7. 리픽싱(Refixing) 조항

  • 주가 하락 시 전환가액 조정 → 투자자 보호 목적
  • 회계상 파생부채로 평가손실 가능성 존재
  • IPO 이후 Ref 삭제 시 부채에서 자본으로 재분류

🟦 8. 회계처리 관점 요약

항목 자산/부채 구분 회계상 영향

전환사채대부분 부채 + 파생부채공정가치 평가 손익 반영
상환우선주상환조건 있으면 부채상환 시 자본 차감
영구채이자지급 + 콜옵션 시 자본처리 가능조건부 신용등급 영향 없음
EB주식 교환형태에 따라 다름일부는 자본처리 가능

🟦 9. 주요 사례

  • 포스코: 영구채 발행으로 자본 확충, 신용등급 영향 최소화
  • 빅히트: 상환전환우선주로 조달 → 파생부채 회계처리 → 손익 영향
  • 카카오: 전환권 내재된 금융상품 다수 → IPO 후 리픽싱 조항 삭제로 회계재분류
반응형

'Field Notes > Support :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luation Modeling  (1) 2025.04.27
자금조달 및 가치평가 – Part 2  (1) 2025.04.27
재무제표 분석기초  (1) 2025.04.27
Pay to play  (0) 2025.04.25
인적분할과 물적분할  (0) 2025.04.25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