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3(T세포의 필수 복합체), CD20(B세포 마커)
2025. 5. 15. 14:46
반응형

✅ CD3: T 세포의 필수 복합체

🔹 기본 정보

항목설명
발현 세포 모든 T세포 (CD4⁺, CD8⁺ 포함)
분자 구성 CD3γ, CD3δ, CD3ε, CD3ζ (4개의 소단위)
복합체 **TCR (T Cell Receptor)**와 항상 함께 발현
유형 막관통 단백질, 면역수용체 복합체의 일부
 

🔹 기능

  • TCR 단독으로는 항원 인식을 해도 신호 전달이 불가능함.
  • CD3 복합체가 TCR과 함께 작동하여 항원 자극을 세포 내 신호로 전환 (Signal transduction).
  • 결과적으로 T세포 활성화, 증식, 사이토카인 분비, 세포독성 유도에 관여함.

🔹 세포 내 시그널링

  • 항원/MHC 인식 → TCR-CD3 복합체 활성화
  • CD3ζ에 있는 ITAM(면역 수용체 활성화 모티프)이 ZAP-70 등 키나아제와 결합 → 신호 증폭
  • 하위 경로: PI3K–AKT, MAPK, NFAT, NF-κB 등

🔹 치료 타깃으로서의 CD3

  • CD3는 T세포 전체를 타깃할 수 있어서, T세포를 치료에 활용하는 기술의 중심
  • BiTE (예: blinatumomab: anti-CD3 × anti-CD19) → T세포를 B세포 암세포로 유도
  • CAR-T 치료에서도 필수 조절 분자
  • 면역억제 치료제 (OKT3 등): CD3에 결합해 과활성된 T세포 억제

✅ CD20: B 세포의 대표 마커

🔹 기본 정보

항목설명
발현 세포 성숙한 B세포 (pro-B나 plasma cell에는 없음)
분자 특성 4회 막관통 단백질, 구조 안정형
역할 칼슘 유입 조절, B세포 활성화 및 증식 관여 (정확한 기전은 불완전하게 알려짐)
 

🔹 기능

  • 항원 수용체는 아니지만 BCR signaling을 조절
  • 세포 밖 칼슘 유입 통로 조절을 통해 세포 활성화 민감도 결정
  • B세포 분화 중에서 Plasma cell 전 단계까지 발현, 이후 소실

🔹 치료 타깃으로서의 CD20

  • 🎯 CD20은 혈액암 치료의 대표 타깃 중 하나
  • Rituximab (리툭시맙): 최초의 anti-CD20 단일클론 항체 (NHL, CLL 치료)
  • Obinutuzumab, Ofatumumab 등 후속 약물은 ADCC, CDC 활성 개선
  • CD20 × CD3 이중항체: T세포를 B세포로 유도해 직접 사멸 유도 (ex. mosunetuzumab)

📊 CD3 vs CD20 비교 요약

항목CD3CD20
발현 세포 모든 T세포 성숙 B세포 (plasma cell 제외)
분자 종류 TCR 복합체 소단위 막관통 단백질
기능 항원 자극 신호 전달 칼슘 유입 조절, 활성화 조절
면역학적 역할 T세포 활성화의 핵심 B세포 생존/활성화 조절
치료 표적 활용 T세포 engager, 면역억제 B세포 림프종/자가면역 치료
대표 약물/기술 blinatumomab, OKT3 rituximab, obinutuzumab, BiTE
 

🔍 정리 요점

  • CD3T세포의 활성화 중심축으로, 대부분의 면역치료(TCE, CAR-T 등)에 사용됨.
  • CD20B세포 질환 타깃 치료에 있어 가장 대표적인 표적이며, 항체 기반 치료가 잘 확립되어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