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 cell engager(티셀 인게이저)는 면역세포인 T세포를 암세포 근처로 끌어들여서 암세포를 직접 죽이게 하는 이중항체 기반 면역항암제입니다. 최근 다양한 고형암 및 혈액암 분야에서 주목받는 차세대 항암제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 T Cell Engager란?
T cell engager는 T세포 표면의 CD3와 암세포 표면의 항원에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이중특이성 항체(bispecific antibody)**입니다.
➡️ T세포와 암세포를 물리적으로 연결시켜 T세포가 암세포를 직접 죽이도록 유도합니다.
🔶 작동 원리 (Mechanism of Action)
- 한 쪽 팔: T세포의 CD3 수용체에 결합
- 다른 쪽 팔: 암세포 표면의 **특정 항원 (예: CD19, HER2 등)**에 결합
- 이중항체가 T세포와 암세포를 가까이 연결
- T세포가 활성화되어 그랜자임, 퍼포린 분비 → 암세포 파괴
❗ TCR 인식과 MHC 제시를 거치지 않고도 T세포가 암세포를 죽일 수 있다는 점에서 MHC-independent 특성이 있음
🔸 주요 특징
항목내용
작용세포 | 환자의 내인성 T세포 |
항원 의존성 | 암세포 표면 항원 필요 |
독성 위험 |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 (CRS), T세포 과활성화 가능성 |
약물 형태 | 이중항체 (Bispecific T cell engager, BiTE 등) |
투여 경로 | 정맥주사 or 피하주사 |
치료 대상 | 혈액암 (ex. B세포 백혈병), 고형암 (점차 확대 중) |
🔹 대표적인 플랫폼 및 예시
약물명타겟 항원적응증개발사
Blinatumomab (Blincyto) | CD3 × CD19 | B-ALL (급성 림프모구백혈병) | Amgen |
Mosunetuzumab | CD3 × CD20 | B세포 림프종 | Genentech |
Teclistamab | CD3 × BCMA | 다발성 골수종 | Janssen |
Tebentafusp | CD3 × gp100 | 흑색종 (uveal melanoma) | Immunocore |
✳️ Blinatumomab는 최초의 FDA 승인 T cell engager (2014)
🔸 T Cell Engager vs CAR-T 비교
항목T Cell EngagerCAR-T
세포 추출 | ❌ (환자 세포 불필요) | ✅ (자가 세포 필요) |
제조 시간 | 빠름 | 길고 복잡 |
비용 | 상대적으로 낮음 | 매우 고가 |
작용 시간 | 짧고 반복투여 필요 | 장기 지속 |
적용 암종 | 혈액암 중심, 고형암 시도 중 | 혈액암 강점, 고형암 한계 |
🔶 개발 시 고려 사항
- 암세포 특이 항원 선정: 정상세포에 발현되면 독성 우려
- CRS 관리: 스테로이드나 IL-6 억제제로 조절
- T세포 상태 의존성: 면역억제 상태에선 효과 떨어짐
- 고형암 장벽 극복: 면역억제 환경, 침투성 문제 해결 필요
🧪 미래 전망
- 고형암 타겟 T cell engager 활발히 개발 중 (ex. HER2, EGFR, CEA 등)
- Tri-specific antibody (3중특이성), NK cell engager 등으로 진화
- 피하주사 제형, 반감기 연장형 등 편의성 개선
반응형
'Field Notes > Support : Phar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형암용 T Cell Engager 개발 전략 (1) | 2025.05.15 |
---|---|
T Cell Engager 플랫폼 기술 비교 (1) | 2025.05.15 |
면역조절이중항체와 T-cell engager 비교 (1) | 2025.05.15 |
TME(tumor microenvironment) 조절형 이중항체 분류 (1) | 2025.05.15 |
Corebody, Summit (1)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