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주요 항체/면역치료제 정리
약물명 (성분명)회사기전/타겟주요 적응증핵심 특징
Keytruda (Pembrolizumab) | MSD | PD-1 | NSCLC, melanoma, MSI-H CRC, RCC, HCC, TNBC 외 30+개 | PD-1 대표 약물, tissue-agnostic 최초 승인 |
Opdivo (Nivolumab) | BMS | PD-1 | NSCLC, melanoma, RCC, HCC, 식도암, 방광암 등 | Yervoy와 병용 전략 활발 |
Yervoy (Ipilimumab) | BMS | CTLA-4 | Melanoma, RCC, HCC 등 | 초기 T세포 활성화, 독성 ↑ 병용 필수 |
Tecentriq (Atezolizumab) | Roche | PD-L1 | NSCLC, HCC, TNBC, UC | Bev 병용 (IMbrave150) 대표 성공 사례 |
Imfinzi (Durvalumab) | AstraZeneca | PD-L1 | NSCLC, bladder, HCC | Tremelimumab 병용 전략 (HIMALAYA trial) |
Libtayo (Cemiplimab) | Regeneron/Sanofi | PD-1 | CSCC, NSCLC | Keytruda 대항마, 일부 niche market 주도 |
Darzalex (Daratumumab) | Janssen | CD38 | Multiple Myeloma | MM 치료 표준, SC 제형 Faspro 출시 |
Elrexfio (Elranatamab) | Pfizer | BCMAxCD3 bispecific | Refractory MM | BCMA 타겟 이중항체, 병용 개발 진행 중 |
Enhertu (Trastuzumab deruxtecan) | Daiichi/Sanofi | HER2-ADC | HER2+, HER2-low breast/gastric | ADC 중 시장 파괴력 가장 강함 |
Avastin (Bevacizumab) | Roche | VEGF-A | CRC, RCC, HCC, NSCLC | 혈관신생 억제제, TME 조절에 필수 |
📖 면역항암제 및 항체치료제 이해를 위한 구조적 정리
1️⃣ 면역관문억제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이 계열은 T세포의 억제 신호를 차단해 암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회복시키는 전략입니다.
✔ PD-1/PD-L1 축
- **Keytruda (PD-1)**와 **Opdivo (PD-1)**는 전 세계 IO 시장의 1, 2위를 다투는 블록버스터.
- **Tecentriq (PD-L1)**과 **Imfinzi (PD-L1)**는 PD-L1을 타겟으로 하며 독성 면에서 좀 더 안전하다는 평가.
- PD-1이 T세포에서 작동한다면, PD-L1은 종양세포나 APC에서 작용 → 병용 조합 차별화 전략 가능
✔ CTLA-4 타겟
- Yervoy는 초기 T세포 활성화 단계에서 작용하며, PD-1 병용으로 시너지.
- 면역 관련 부작용(IRAE)이 많고 독성이 강함 → 병용용량 조절이 필수적
병용 전략에서 Yervoy는 "T세포를 깨우고", PD-1 억제제는 "탈진을 막는다"는 조합 구도.
2️⃣ 혈관신생억제제 (Anti-VEGF)
✔ Avastin (Bevacizumab)
- VEGF-A를 억제하여 신생혈관 생성을 차단 → 종양 성장 억제
- 동시에 **종양미세환경(TME)**을 조절 → 면역관문억제제 병용 시 시너지 발생
- 대표 사례: Atezolizumab + Bevacizumab (간세포암, IMbrave150)
Bevacizumab은 ‘면역 활성화 파트너’로서 새로운 역할을 획득하면서 IO 병용 전략의 핵심 조력자가 됨.
3️⃣ 다중항체 및 면역세포 표적 항체
✔ Darzalex (Daratumumab) – CD38 타겟
- Multiple Myeloma에서 plasma cell 특이 항원 CD38을 타겟으로 함
- ADCC, CDC, apoptosis 유도
- SC 제형으로 환자 편의성↑, MM 치료 표준으로 자리잡음
✔ Elrexfio (Elranatamab) – BCMAxCD3 이중항체
- BCMA는 B세포계열 종양의 중요한 표적 (특히 MM)
- 이중항체(bispecific)는 T세포를 직접 종양세포에 끌어들여 살상 유도
- CAR-T 대안으로 개발 중 (제조가 빠르고 병원 접근성 높음)
4️⃣ 항체약물접합체 (ADC)
✔ Enhertu (HER2-ADC)
- Trastuzumab에 강력한 세포독성 약물(deruxtecan)을 결합
- HER2-low 유방암 등 기존 HER2 therapy 불응군까지 적응증 확장
- Bystander effect까지 활용해 병소 전체 공격 가능
Enhertu의 성공은 “표적 항원 저발현 종양도 치료할 수 있다”는 ADC의 가능성을 열었어요.
🧭 병용 및 차세대 전략 요약
전략대표 조합설명
IO + VEGF | Atezo + Bev, Imfinzi + Bev | TME 개선으로 면역반응 증가 |
IO + IO | Opdivo + Yervoy, Imfinzi + Tremelimumab | 초기·말기 T세포 동시 타겟 |
IO + ADC | Enhertu + PD-1 시도 중 | ADC 유래 항원 유출 → 면역 반응 증가 가능성 |
IO + T cell engager | Elrexfio + IO 시도 중 | 이중항체 기반 면역작용 확대 전략 |
IO + 타이로신키나제 | Keytruda + Lenvatinib, Cabozantinib + IO | VEGF, MET, AXL 등 추가 표적 억제 |
🧩 결론: 시장성과 임상전략의 교차점
- Keytruda와 Opdivo는 넓은 적응증과 보험 기반에서 선도적 지위를 가짐
- Atezolizumab + Bevacizumab의 간세포암 성공은 면역+TME 병용 전략의 상징
- Darzalex는 항체 기반 다발성 골수종 치료의 기준이 되었고, Elrexfio는 차세대 T-cell engager로 부상
- Enhertu는 ADC의 패러다임 전환 사례
반응형
'메모 > Phar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버스터 항암제 임상지표 (1) | 2025.05.15 |
---|---|
블록버스터 항암제 임상 지표 및 경쟁약물 비교, 국내 접근성 정리 (1) | 2025.05.15 |
IMbrave150의 subgroup 분석 (1) | 2025.05.15 |
간세포암(HCC)에서의 Atezolizumab + Bevacizumab 병용(IMbrave150임상) 요약 (1) | 2025.05.15 |
Tecentriq (테센트릭), Atezolizumab (1)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