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양의 도와 서양의 삼단논법 - 고대 그리스와 중국의 철학, 과학, 그리고 사회 구조 2. 동양의 더불어 사는 삶, 서양의 홀로 사는 삶 - 현대 동양인과 서양인의 자기 개념 3. 전체를 보는 동양과 부분을 보는 서양 - 세상을 지각하는 방법의 차이 4. 동양의 상황론과 서양의 본성론 - 동양과 서양의 인과론적 사고 5. 동사를 통해 세상을 보는 동양과 명사를 통해 세상을 보는 서양 - 동양의 관계와 서양의 규칙 6. 논리를 중시하는 서양과 경험을 중시하는 동양 - 서양의 논리와 동양의 중용 7. 동양과 서양의 사고 방식의 차이, 그 기원은? - 경제 구조와 사회적 행위 8. 동양과 서양, 누가 옳은가? - 실생활에 주는 교훈 에필로그 : 동양과 서양의 사고 방식, 충돌할 것인가, 통일될 것인가?
@구절모음 -그리스인들이 정의하는 행복이란 '아무런 제약이 없는 상태에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탁월성을 추구하는 것' -그들은 인간을 '독특한 특성과 목표를 가진 상호 개별적인 존재'로 파악했다. -'기본 원리를 추구하는 행위' 자체가 그리스인들에게는 큰 즐거움이었다. -유교적인 사고에 있어서 구체적인 행위와 관련되지 않은, 즉 실용적이지 않은 순수한 의미에서의 '앎'이라는 것은 없었다. -유교, 도교, 불교 세 철학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종합주의는 우주의 모든 요소들이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믿음에 기초하고 있다. -고맥락 사회인 동양에서 인간이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유동적인 존재로서 주변 맥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유튜브에서 우연히 본 김경일 교수의 '생각의 지도' 얘기를 듣곤, 동서양의 생각 차이를 설명해주는 이 책을 꼭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사회에서 느끼는 나란 존재, 나의 행동양식,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행동.. 나 그리고 사람들이 갖게 되는 생각의 흐름과 구조, 세상을 바라보고 인식하는 방식까지. 동양과 서양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관점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며, 그것이 언어의 사용과 생각, 논리구조, 과학의 발전, 현대사회에서 인간관계 양상에 왜,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준 것인지 이해할 수 있었다.
내가 세상을 바라보고, 스스로를 바라볼 때에는 (굳이 나누자면) 그리스인과 비슷한 관점에서 생각하곤 했다. 모든 일의 정의와 기준을 중요시하고, 원칙대로 정해진 규칙에 맞춰 실행하는 것, 스스로의 자율성과 선택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하지만 결국에 모든 판단과 선택의 기준은 나를 둘러싼 사람들 그리고 환경을 무시할 수 없고, 그것은 관계를 중요시하며 너무 극단적이지 않은 적당한 선택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동양의 철학과 사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철학과 문화, 사회라는 것은 결국 개인의 생각과 행동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 같다. (이것마저 동양의 분위기와 사상에서 비롯된 생각이겠지?) 어떤 한 쪽이 옳다기 보단, 각자의 행동양식과 사고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툴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세상을 단순하게 분석하고 범주화하고, 논리적 그리고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는 사고가 있었기에 논리학과 수학, 물리학이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종합적으로 판단해야하며 서로에게 주는 영향과 관계가 중요하다는 관점이 있었기에 동양의 전통의학이라던가 특유의 가족문화 등이 생긴 것이다. 아주 가볍게 슥슥 넘기면서 읽기 좋은 책이다. 다소 편향된 내용을 불쾌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런 분야의 해석은 어쩔 수 없는 한계가 있으니 가볍게 읽으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