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Notes/Support : Pharma
Infectious
Barry berry
2025. 4. 26. 00:38
반응형
- Infectious
- Summary
- 감염 예방 & 항생제 선택 요령
- 1. 가능한 병원체 추정 (감염 부위, 환자 상태, 유병균 감안)
- 2. 항균제 스펙트럼 적정화 (좁고 정확하게)
- 3. 약물 동태 고려 (흡수, 분포, 대사, 배설)
- 4. 환자 특성 반영 (신기능, 간기능, 알레르기, 임신 등)
- 5. 가능한 병원균 동정 및 감수성 결과 반영 → De-escalation
✅ 항생제 적절 사용 수칙- 경구 가능 시 빠른 전환 (IV → PO)
- 광범위 항생제 사용 최소화
- 항생제 중단 시점 설정 (duration-based vs symptom-based)
- 수술 전 예방적 항생제: 1회 투여 원칙 (수술 전 1시간 이내)
💊 항생제 투여 기간 요약 (대표 질환)질환 권장 기간폐렴 (CAP) 5–7일 요로감염 (Cystitis) 3–5일 신우신염 7–14일 SSTI 5–10일 수막염 7–21일 (균종에 따라 다름) 감염성 심내막염 4–6주 골수염 4–6주 이상
🧾 단원 4 요약 정리표질환 주요 항생제 주요 병원균 특이사항CAP Ceftriaxone + Azithromycin S. pneumoniae, Mycoplasma 입원 여부 따라 다름 HAP/VAP Vancomycin + Pip/Tazo MRSA, Pseudomonas 중증 감염시 3제 병용 요로감염 Nitrofurantoin, TMP/SMX E. coli 임신시 β-lactam 사용 피부감염 Cephalexin, Clindamycin S. aureus, Strep MRSA 의심 시 Doxy, TMP/SMX 수막염 Ceftriaxone + Vanco ± Ampicillin N. meningitidis, S. pneumo Dexamethasone 병용 감염 예방 Cefazolin MSSA, Strep 수술 전 1회 투여 - ✅ 항생제 선택 5대 원칙
- 감염 예방 & 항생제 선택 요령
- Antibiotics
- 항균제 총론 (Antimicrobial Overview)
- 항균제 작용기전
- 세포벽 합성 억제: β-lactams (Penicillin, Cephalosporin 등), Vancomycin
- 단백질 합성 억제: Macrolide, Aminoglycoside, Tetracycline
- DNA/RNA 합성 억제: Fluoroquinolone, Rifampin
- 대사길항: Sulfonamide, Trimethoprim
- 세포막 손상: Daptomycin, Polymyxin
- 항생제 선택 기준
- 감염 부위, 병원체, 약물의 분포·대사, 환자 요인(신기능, 간기능, 알러지 등)
-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활용
💊 주요 항균제 요약- Penicillins
- Narrow: Penicillin G/V (연쇄상구균, 매독)
- Broad: Amoxicillin (호흡기), Ampicillin
- β-lactamase 억제 복합: Amoxicillin-Clavulanate, Piperacillin-Tazobactam
- 부작용: 알러지 반응, 설사, 신경독성 (고용량 시)
- Cephalosporins
- 1세대: Cefazolin – MSSA, 예방적 항생제
- 2세대: Cefuroxime – H. influenzae
- 3세대: Ceftriaxone – 폐렴, 수막염
- 4세대: Cefepime – Pseudomonas
- 5세대: Ceftaroline – MRSA
- 주의: 세팔로스포린 간 교차알러지
- Carbapenems
- 예: Imipenem, Meropenem – 광범위, ESBL+, Pseudomonas 포함
- 주의: CNS 독성, 발작 위험
✅ 2. Glycopeptides- Vancomycin
- MRSA, C. difficile (경구)
- 투여: IV (피부, 폐 등), PO (C. diff only)
- 부작용: 신독성, Red-man syndrome (속주입 시), 혈청 농도 모니터 필요 (Trough 15–20)
✅ 3. Aminoglycosides- 약물: Gentamicin, Tobramycin, Amikacin
- 기전: 30S 억제 → 단백질 합성 차단
- 적응증: 중증 그람음성 감염, 신우신염, 패혈증
- 부작용: 신독성, 이독성 → 모니터링 필요
✅ 4. Macrolides- 약물: Azithromycin, Clarithromycin, Erythromycin
- 기전: 50S 결합 → 단백질 합성 억제
- 적응증: 비정형 폐렴 (Mycoplasma, Chlamydia), 상기도 감염
- 부작용: 위장장애, QT 연장
✅ 5. Fluoroquinolones- 약물: Levofloxacin, Ciprofloxacin, Moxifloxacin
- 기전: DNA gyrase 억제
- 특징:
- Cipro: Pseudomonas, 요로감염
- Levo/Moxi: 호흡기감염
- 부작용: 건파열, QT 연장, CNS 자극 (불면, 경련)
✅ 6. 기타 항균제- Tetracyclines (Doxycycline)
- 광범위, 여드름/비정형폐렴/리켓치아
- 부작용: 치아 변색, 광과민성, 성장기 소아 금기
- Clindamycin
- 혐기성 균, 구강 감염, 피부감염
- 부작용: C. difficile 유발 가능성 ↑
- Metronidazole
- 혐기성 균, 기생충, C. difficile 1차 약제 중 하나
- 부작용: 메탈릭한 맛, 알코올 금기 (Disulfiram 유사 반응)
- Sulfonamides (SMX/TMP)
- UTI, PCP 폐렴 예방/치료
- 부작용: 고칼륨혈증, 과민반응, 골수억제
- 항균제 작용기전
- ✅ 1. β-Lactam 계열
- 🧠 기본 개념
- 항균제 총론 (Antimicrobial Overview)
- Pneumonia
- 폐렴 (Pneumonia)
- CAP (지역사회획득폐렴)
- HAP (병원획득폐렴)
- VAP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 CAP 치료 요약대상 권장 치료외래, 건강한 성인 Amoxicillin, Doxycycline, Azithromycin 외래, 기저질환/항생제 사용 Augmentin + Azithromycin or Levofloxacin 입원 Ceftriaxone + Azithromycin or Levofloxacin 단독 중환자실 Ceftriaxone + Levofloxacin or Azithromycin Legionella 의심 Macrolide or Levofloxacin 포함
✅ HAP/VAP 치료 요약- Pseudomonas 위험 無 + MRSA 위험 無
- Ceftriaxone, Ertapenem, Levofloxacin 등 단일제 가능
- Pseudomonas 위험 有
- Piperacillin-tazobactam, Cefepime, Meropenem + Levofloxacin or Aminoglycoside
- MRSA 위험 有
- - Vancomycin or Linezolid 병용
- 치료 기간
- 일반적으로 7일
- 임상 호전 시 조기 중단 가능
💊 주요 항생제 정리 (폐렴 관련)- Ceftriaxone: 입원환자 1차 선택 (1–2g IV qd)
- Azithromycin: 비정형 폐렴 커버 (500mg IV/PO 1일 1회)
- Levofloxacin: 광범위 커버 가능 (750mg qd)
- Vancomycin: MRSA 커버 (15–20mg/kg IV q12h)
- Linezolid: MRSA 폐렴 대체제 (600mg IV/PO q12h)
💡 폐렴 진단 및 관리 팁- CURB-65 점수로 입원 결정 (Confusion, Urea, RR, BP, Age ≥65)
- 객담 검사: 중등도 이상 환자, 입원환자에서 시행
- 백신 접종: 폐렴구균 (PCV13, PPSV23), 독감 백신 필수
- 🧠 분류
- 폐렴 (Pneumonia)
- UTI
-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UTI)
- 분류
- 상부 요로감염: 신우신염 (Pyelonephritis)
- 하부 요로감염: 방광염 (Cystitis), 요도염
- 복잡성 UTI: 기형, 결석, 카테터, 남성 등 요인 존재 시
- 단순성 UTI: 건강한 여성의 일차 감염
- 원인균
- 대부분 E. coli (약 80%)
- 기타: Klebsiella, Proteus, Enterococcus, Pseudomonas (복잡성)
- 증상
- Cystitis: 빈뇨, 절박뇨, 배뇨통
- Pyelonephritis: 고열, 옆구리통증, 구역감, 오한
💊 항균제 치료 요약- 1차 치료
- Nitrofurantoin 100mg bid × 5일
- Fosfomycin 3g 단회 복용
- TMP/SMX 160/800mg bid × 3일 (지역 내 저항률 낮을 경우)
- 2차 옵션
- Ciprofloxacin 또는 Levofloxacin
- β-lactam (Amoxicillin-clavulanate 등): 5–7일
✅ 신우신염 (경증–중등도)- 경구 치료 (증상 경미 시)
- Ciprofloxacin 500mg bid × 7일
- Levofloxacin 750mg qd × 5일
- TMP/SMX 160/800mg bid × 14일
- 입원 필요 시 (중증, 고열, 탈수)
- Ceftriaxone, Piperacillin-tazobactam, Ertapenem
✅ 임신 중 요로감염- 1차 약제
- Amoxicillin-clavulanate
- Cephalexin
- Nitrofurantoin (2삼분기 이후 사용)
- 금기: TMP/SMX (1·3삼분기), FQ 계열 (모든 기간)
✅ 남성, 복잡성 UTI- Ciprofloxacin, Levofloxacin, TMP/SMX→ 전립선염 병발 시 4–6주 이상 필요
- → 최소 7–14일 치료
💡 관리 및 예방 전략- 수분 섭취 증가, 배뇨습관 개선
- 재발성 여성 환자:
- 성관계 후 예방적 항생제
- 장기 저용량 항생제 예방 가능 (Nitrofurantoin 등)
- 도뇨관 관련 감염: 카테터 제거 또는 교환이 우선
- 분류
- ✅ 단순 방광염 (여성, 비임신)
- 🧠 질병 요약
-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UTI)
- SSTI
- 피부 및 연조직 감염 (SSTI)
- 분류
- 비화농성: 봉와직염(Cellulitis), 단독(Erysipelas)
- 화농성: 농양, 모낭염, 종기
- 중증 감염: 괴저성 근막염(Necrotizing fasciitis)
- 주요 병원체
- Streptococcus pyogenes (Group A Strep)
- Staphylococcus aureus (특히 MRSA 포함)
- 증상
- 홍반, 열감, 통증, 부종, 발열 ± 화농
- 진단
- 주로 임상진단, 중증 시 혈액배양/영상
💊 치료 요약- 1차 약제
- Cefazolin, Nafcillin, Ceftriaxone
- 경구제: Cephalexin, Dicloxacillin
- Penicillin allergy → Clindamycin or Macrolide
- 치료기간: 5–10일 (임상 호전 기준 조절)
✅ 화농성 감염 (농양 등)- 1차 치료: 절개 배농 (I&D)
- 항생제 병용 필요 시:
- Clindamycin
- TMP/SMX
- Doxycycline
- MRSA 의심 시:
- Vancomycin (중증, 입원환자)
- Linezolid, Daptomycin (대체)
✅ 괴저성 근막염- 응급 수술적 절제 + 광범위 항생제
- 항생제 조합:
- Vancomycin + Piperacillin-tazobactam
- 또는 Carbapenem + Clindamycin
- Clindamycin: 독소 억제 효과
💡 특수상황별 치료- 동물 교상:
- Amoxicillin-clavulanate 875/125mg bid × 5–7일
- 대체: Doxycycline, Moxifloxacin
- 당뇨병성 족부감염
- 경증: Amoxicillin-clavulanate
- 중등도–중증: Piperacillin-tazobactam, Ertapenem ± Vancomycin
💡 예방 & 관리 포인트- 상처 위생 유지, 병변 드레싱
- 감염 부위 고정 및 거상
- 재발 방지 위해 피부 건조 유지, 항생제 사용 남용 주의
- 분류
- ✅ 비화농성 감염 (단독, 봉와직염)
- 🧠 질병 요약
- 피부 및 연조직 감염 (SSTI)
- Meningitis
- 수막염 (Meningitis)
- 정의: 뇌수막(거미막, 연막) 염증으로 인한 중추신경계 감염
- 분류
- 세균성: 급성, 치명률 ↑ (응급질환)
- 바이러스성: 자가회복 경향
- 진균성, 결핵성: 면역저하자 중심
- 증상
- 발열, 두통, 경부강직, 의식저하, 구토
- Kernig & Brudzinski 징후 양성
- 진단
- 뇌척수액(CSF) 분석: 세포수, 당, 단백, Gram 염색
- CT/MRI (의식저하, ICP 상승 위험 시 선행)
💊 경험적 항생제 치료대상 항생제 조합신생아 Ampicillin + Cefotaxime or Gentamicin 1개월–50세 성인 Ceftriaxone + Vancomycin 50세 이상 / 면역저하 Ceftriaxone + Vancomycin + Ampicillin (Listeria 커버) Penicillin allergy Moxifloxacin + Vancomycin ± TMP/SMX (for Listeria) 신생아 E. coli, Group B Strep, Listeria 소아/청년 S. pneumoniae, N. meningitidis 고령/면역저하 Listeria, S. pneumoniae, G(-) bacilli 외상/수술 S. aureus, CNS G(-)균
💊 보조요법- Dexamethasone 0.15mg/kg IV q6h × 4일
- 투여 시점: 첫 항생제 투여 직전 or 동시
- 효과: S. pneumoniae 수막염 청신경염 예방
- 항경련제: 발작 동반 시
- 만성 수막염(TB 등): Steroid 병용 고려
💡 예방 전략- N. meningitidis 접촉자: 예방적 항생제
- Rifampin, Ceftriaxone, Ciprofloxacin 중 택1
- 백신 접종
- Hib, PCV13/23, Meningococcal (청소년, 군인, 해외여행자 등)
- 수막염 (Meningitis)
- Summar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