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Notes/Support : Pharma
Cardiovascular
Barry berry
2025. 4. 26. 00:38
반응형
- Cardiovascular
- Summary질환 1차 약물 추가/특수 약물 비고
고혈압 ACEi, ARB, CCB, Thiazide BB (특수상황), MRA 병용 요법 시 조합 유의 심부전 ACEi/ARB, BB, MRA ARNI, Ivabradine, Digoxin HFrEF 위주, 급성시 Inotrope 허혈성 심질환 BB, CCB, Nitrate Ranolazine, Statin 증상완화 + 예후개선 병행 ACS DAPT, Heparin, Statin BB, ACEi, Fibrinolytic STEMI 시 PCI or tPA 부정맥 Class I–IV 항부정맥제 Adenosine, Digoxin 심방세동/심실빈맥 구분 이상지질혈증 Statin Ezetimibe, PCSK9, Fibrate 고위험군은 고강도 Statin 뇌졸중 Aspirin, Statin, NOAC tPA (4.5시간 이내) 심방세동 뇌졸중 예방엔 항응고제 VTE Heparin, NOAC, Warfarin tPA (massive PE) 초치료 후 유지기간 결정 고혈압성 위기 Nitroprusside, Labetalol, Nicardipine Esmolol, Clonidine Emergency vs Urgency 구분 - Hypertension
- 고혈압 (Hypertension)
- 정의: 심박출량(CO) 또는 말초혈관저항(PVR)의 증가로 인해 동맥혈압이 만성적으로 상승하는 상태.
- 원인
- 본태성(1차성): 전체의 약 90~95%, 명확한 원인 없이 발생
- 이차성(2차성): 신질환, 내분비 질환(쿠싱, 갑상선), 약물(NSAIDs, 스테로이드 등), 수면무호흡 등
- 분류 (SBP/DBP 기준)
- 정상: <120 / <80
- 고혈압 전단계: 120–139 / 80–89
- 1기 고혈압: 140–159 / 90–99
- 2기 고혈압: ≥160 / ≥100
- 진단 및 검사
- 병력청취, 이차성 고혈압 감별
- 심혈관 위험인자 확인 (흡연, 당뇨, 고지혈증, 가족력 등)
- 표적장기 손상 평가: 뇌(뇌졸중), 심장(좌심실비대), 신장(eGFR ↓, 단백뇨), 망막, 말초혈관
💊 약물 요법 요약- Thiazide 이뇨제
- 예: Hydrochlorothiazide, Chlorthalidone
- 용량: HCTZ 12.5–25mg qd
- 부작용: 저칼륨혈증, 고요산혈증, 고혈당, 지질 이상, 성기능 장애
- ACEi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 예: Enalapril, Lisinopril, Captopril
- 용량 예시:
- Enalapril: 2.5mg bid → 10–20mg bid
- Lisinopril: 2.5–5mg qd → 20–40mg qd
- 부작용: 마른기침, 고칼륨혈증, 혈관부종, 신기능 저하
- 금기: 임신, 양측 신동맥 협착
- ARB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 예: Losartan, Valsartan, Candesartan
- 용량 예시:
- Losartan: 50mg qd → 150mg qd
- Valsartan: 40mg bid → 160mg bid
- 부작용: 고칼륨혈증, 혈압저하, 신기능 저하
- 특징: ACEi 불내성 시 대체
- CCB (Calcium Channel Blockers)
- DHP: Amlodipine, Nifedipine → 말초혈관 확장 중심
- 부작용: 말초부종, 두통, 안면홍조, 반사성 빈맥
- Non-DHP: Verapamil, Diltiazem → 심박수 조절 중심
- 부작용: 서맥, 심부전 악화, 변비
- 주의: BB와 병용 시 AV block 위험 ↑
- DHP: Amlodipine, Nifedipine → 말초혈관 확장 중심
- BB (Beta Blockers)
- 예: Atenolol, Metoprolol, Carvedilol
- 용량 예시:
- Bisoprolol: 1.25mg qd → 10mg qd
- Carvedilol: 3.125mg bid → 25mg bid
- 부작용: 서맥, 피로, 우울감, 저혈당 증상 은폐
- 금기: 천식, 2·3도 방실차단
💊 병용 요법 (Combination therapy)- 권장 조합
- ACEi or ARB + CCB or Thiazide
- Thiazide + CCB
- 비권장 조합
- ACEi + ARB (신기능 저하, 부작용 ↑)
- BB + ACEi or ARB (혈압강하 효과 없음)
💡 특수상황 약물 선택- 단백뇨/CKD → ACEi or ARB
- 협심증/심근경색 후 → BB, ACEi
- 심부전 동반 시 → ACEi, ARB, BB, 알도스테론 길항제
- 임신 중 → Methyldopa, Hydralazine, Labetalol (ACEi/ARB 금기)
- ✅ 1차 치료제
- 🧠 질병 요약
- Q1. 고혈압의 주요 병태생리 기전을 세 가지 이상 설명하고, 각 기전에 대응되는 약물 계열을 연결해 보세요.
- RAAS 과활성화 → ACEi, ARB
- 교감신경 항진 → Beta-blocker
- 나트륨 저류 → Thiazide, Loop 이뇨제
- 혈관 수축 → CCB (혈관 평활근 이완)
- Q2. Amlodipine이 혈압을 낮추는 주요 약리기전은 무엇이며, DHP-CCB 특유의 부작용은 어떤 메커니즘 때문인가요?
- 기전: L-type 칼슘 채널 차단 → 혈관 평활근 이완 → 혈압↓
- 부작용: 말초 부종 → 선택적으로 동맥 확장 ⬆, 정맥 확장 X → 모세혈관압 상승
- Q3. ACEi와 ARB는 둘 다 RAAS 억제제인데, 부작용 차이가 나는 분자 기전은 무엇인가요?
- ACEi: Bradykinin 분해 억제 → 기침, 혈관부종 발생
- ARB: AT1 receptor 직접 차단 → bradykinin 축적 없음 → 기침 적음
- Q4. ACEi 약물군의 공통된 구조적 특징은 무엇이며, 이 구조가 효소 억제에 어떤 방식으로 기여하나요?
- 대부분 proline 유사 구조 및 카복실산기/티올기 보유
- Zn²⁺ 결합을 통해 ACE의 활성 부위 차단 → angiotensin I → II 전환 억제
- Q5. Thiazide 이뇨제는 구조적으로 sulfonamide 기를 포함합니다. 이 때문에 어떤 환자에게 주의해야 하나요?
- sulfa 알레르기 환자에게 주의
- 구조 내 sulfonamide → 잠재적 과민반응 가능
- 고혈압 (Hypertension)
- Heart Failure
- 심부전 (Heart Failure)
- 정의: 심장이 체내 요구를 충족할 만큼 혈액을 펌프하지 못하는 구조적·기능적 장애
- 분류
- 수축기 기능 저하 (HFrEF): 심박출률(EF) < 40%
- 이완기 기능 저하 (HFpEF): EF ≥ 50%, 충만 기능 장애
- 보상기전
- 교감신경계 & RAAS 활성화 → 일시적 CO 유지
- 장기적으로 심장 비대, 섬유화 → 심부전 악화
- 증상
- 호흡곤란, 운동불내성, 야간발작성호흡곤란, 부종, 야간뇨
- 진단
- BNP↑, 심초음파(EF), 흉부 X선(폐울혈), 심전도 등
- 기능 분류 (NYHA)
- I: 증상 없음, II: 활동 시 경미한 증상, III: 경미한 활동에도 증상, IV: 안정 시에도 증상
💊 약물 요법 요약- 이뇨제 (loop 우선)
- 예: Furosemide (20–600mg/day), Torsemide
- 부작용: 저칼륨혈증, 탈수, 저마그네슘혈증
- 참고: 증상 완화에 효과, 생존률 개선 효과는 없음
- ACEi
- 예: Enalapril, Lisinopril
- 시작/목표 용량: Enalapril 2.5mg bid → 10–20mg bid
- 효과: 사망률 및 입원율 감소
- 부작용: 고칼륨혈증, 저혈압, 기침, 혈관부종
- 금기: 임신, 혈관부종, 신장부전
- ARB (ACEi 불내성 시)
- 예: Losartan 50mg → 150mg qd
- 부작용: 고칼륨혈증, 저혈압, 신기능 저하
- BB
- 예: Bisoprolol, Carvedilol, Metoprolol succinate
- 용량:
- Bisoprolol: 시작 1.25mg qd → 목표 10mg
- Carvedilol: 시작 3.125mg bid → 목표 25–50mg bid
- 부작용: 서맥, 피로, 우울, 심부전 악화 (초기), 저혈당 인지 저하
- 특징: 안정적일 때 서서히 증량
- 알도스테론 길항제 (MRAs)
- 예: Spironolactone 12.5–25mg qd
- 대상: EF <35% + 증상 있음 + ACEi/ARB, BB 복용 중인 경우
- 부작용: 고칼륨혈증, 여성형 유방 (특히 spironolactone)
- ARNI (Angiotensin receptor-neprilysin inhibitor)
- 예: Sacubitril/valsartan (Entresto)
- 시작 용량: 50–100mg bid → 목표 200mg bid
- 특징: ACEi 중단 후 36시간 이후 시작
- 효과: 사망률 및 재입원률 유의미하게 감소
- Hydralazine + Nitrate
- 대상: ACEi/ARB 금기 시, 또는 흑인 환자에서 추가 약제
- 용량: Hydralazine 25–100mg tid, Isosorbide dinitrate 20–40mg tid
- 부작용: 두통, 어지러움, 저혈압
- Ivabradine
- 대상: EF <35%, 맥박 ≥70bpm, BB 사용 중에도 증상 지속 시
- 용량: 5–7.5mg bid
- 기전: 심박수 감소 (SA node 억제)
- 부작용: 서맥, 시야 흐림
- Digoxin
- 기전: Na/K ATPase 억제 → 수축력 ↑
- 치료농도: 0.5–1.0ng/mL
- 부작용: 서맥, 시야 이상(색변화), 위장장애, 부정맥
- 특징: 증상 개선 효과는 있으나 생존율 개선은 X
🧠 급성 심부전 (Acute Decompensated HF)- 아형 분류 (CI / PAWP 기준)
- “Warm & Wet” → 이뇨제
- “Cold & Dry” → 수축제(Dobutamine, Milrinone)
- “Cold & Wet” → 이뇨제 + 수축제
- 약물 요법
- Dobutamine: β1 작용 → 수축력↑, HR↑
- Milrinone: PDE-3 억제 → 수축력↑, 혈관확장
- Furosemide IV: 울혈 조절
- Nitroprusside, Nitroglycerin: 혈관 확장제 (후부하 감소)
- ✅ 증상 완화 목적
- 🧠 질병 요약
- 심부전 (Heart Failure)
- Ischemic Heart Disease
- 허혈성 심질환 (Ischemic Heart Disease)
- 정의: 관상동맥의 혈류 부족으로 인해 심근의 산소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태
- 원인: 죽상동맥경화, 혈관 연축, 혈전
- 종류
- 안정형 협심증: 운동 시 흉통, 휴식 시 호전
- 불안정형 협심증: 휴식 시에도 흉통, 지속적 혹은 악화
- 심근경색 (STEMI/NSTEMI): 심근 괴사 동반
- 위험인자: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흡연, 가족력, 남성, 고령, 비만, 운동부족
- 진단
- 흉통 양상 (30초~30분 내외), 니트로글리세린 반응 여부
- 심전도(ST 변화), 심근손상 표지자(troponin, CK-MB)
- 위험인자 및 동반 질환 확인
💊 약물 요법 요약 (안정형 협심증 중심)- Nitrates
- 속효성: NTG 설하정 or 스프레이 (0.3–0.6mg)
- 발현: 1–3분, 지속: 30분
- 사용법: 앉아서 복용, 최대 3회까지 반복 가능
- 지효성: Isosorbide dinitrate (20–40mg tid)
- 투여 간격: 내성 방지를 위해 하루 10–12시간 비투여 시간 확보
- 부작용: 두통, 안면홍조, 저혈압, 반사성 빈맥
- 속효성: NTG 설하정 or 스프레이 (0.3–0.6mg)
- BB (1차 예방용 약물)
- 예: Metoprolol, Atenolol, Carvedilol
- 기전: 심근 산소소모 감소 (HR, BP↓)
- 부작용: 서맥, 피로, 저혈당 증상 은폐, 기분저하
- 금기: 천식, 2·3도 AV block, 급성 심부전
- 중단 시 반동성 협심증 or 심근경색 위험 → 서서히 감량
- CCB
- Non-DHP (Verapamil, Diltiazem): 심박수↓, 전도↓
- DHP (Amlodipine, Nifedipine): 혈관 확장
- 병용 시: BB + DHP CCB 조합 선호
- 부작용: 말초부종, 두통, 서맥, 변비
- Ranolazine
- 기전: 심근 내 칼슘 과부하 방지 → 산소 소모↓
- 부작용: QT 연장, 변비, 어지러움
- 주의: CYP3A4 약물과 상호작용 있음 (ketoconazole 등)
✅ 예후 개선 약물 (심근경색 예방)- Aspirin
- 용량: 75–150mg qd
- 기전: COX-1 억제 → 혈소판 응집 억제
- 부작용: 위장관 출혈, 위통
- 금기 시: Clopidogrel (75mg qd) 대체 가능
- Statins
- 기전: LDL 저하 → 죽상경화 진행 억제
- 목표: LDL <100mg/dL, 고위험군은 <70mg/dL
- 부작용: 근육통, 간수치 상승, 당뇨 위험 소폭 증가
- ACEi/ARB
- 대상: 당뇨, 고혈압, 심근경색 후 환자
- 효과: 심혈관 질환 예방, 좌심실 재형성 억제
💡 생활습관 개선 & 예방전략- 금연, 식이요법(DASH), 염분/포화지방 제한
- 규칙적 유산소 운동: 주 5일, 하루 30분 이상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적극 치료
- 독감 예방접종 권장
- ✅ 증상 완화 및 급성 흉통 대응
- 🧠 질병 요약
- 허혈성 심질환 (Ischemic Heart Disease)
- Acute Coronary Syndrome
- 급성관상동맥증후군 (Acute Coronary Syndrome, ACS)
- 정의: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 또는 혈류 감소로 심근에 허혈이 발생한 상태
- 분류
- 불안정형 협심증 (UA): 심근 괴사 마커 음성
- NSTEMI (비ST분절상승 심근경색): 마커 양성, ST 분절 상승 없음
- STEMI (ST분절상승 심근경색): 마커 양성, ST 분절 상승
- 진단 기준
- 흉통 양상: 휴식 중, 20분 이상 지속, NTG에 반응 없음
- 심전도(ST elevation, depression, T 변화)
- 심근손상표지자: Troponin↑, CK-MB↑
💊 치료 요약 (초기 치료 + 장기 관리)- Aspirin
- 로딩: 162–325mg → 유지: 75–100mg qd
- 부작용: 위장출혈, 위염
- P2Y12 억제제
- Clopidogrel
- 로딩 300–600mg → 유지 75mg qd
- 효과 느림, 저항성 이슈 가능
- Prasugrel
- 로딩 60mg → 유지 10mg qd
- 효과 강함, 출혈 위험 높음
- 금기: 뇌졸중 병력, 체중<60kg, 고령
- Ticagrelor
- 로딩 180mg → 유지 90mg bid
- 작용 빠르고 가역적, 호흡곤란 가능
- 금기: 출혈 위험 높은 환자
- Clopidogrel
✅ 2. 항응고제 (Anticoagulants)- Unfractionated Heparin (UFH)
- 정맥주입, aPTT 모니터링 필요
- 부작용: 출혈, HIT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LMWH) – Enoxaparin
- 1mg/kg SC bid
- 반감기 길고 예측 가능 → 모니터링 불필요
- 신기능 저하 시 용량 조절
- Fondaparinux
- 하루 1회 SC, STEMI에서는 단독 사용 X
- 부작용: 출혈 ↓, STEMI 시 보완 필요
✅ 3. 항허혈제- Nitroglycerin
- 정맥주입 or 설하정으로 통증 완화
- 부작용: 저혈압, 두통, 반사성 빈맥
- BB
- HR, BP 낮추어 산소 소모 감소
- 금기: 심한 서맥, 저혈압, 폐부종
- ACEi / ARB
- 좌심실기능 저하 or 당뇨환자에 권장
- 부작용: 기침(ACEi), 고칼륨혈증, 신기능 저하
✅ 4. 지질저하제- Statins (고강도)
- Atorvastatin 40–80mg, Rosuvastatin 20–40mg
- LDL <70mg/dL 목표
- 부작용: 근육통, 간효소 상승
✅ 5. 재관류 전략 (STEMI 대상)- PCI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90분 이내 실시 권장
- Fibrinolytics (STEMI에 한함)
- 예: Alteplase, Tenecteplase
- 12시간 이내 투여 효과
- 금기: 출혈 위험 높은 상태(출혈성 뇌졸중 과거력 등)
💡 장기 관리- 항혈소판제 유지 (aspirin + clopidogrel 등, 보통 12개월)
- 고혈압/당뇨/고지혈증 적극 치료
- 금연, 운동, 체중감량, 식이요법 (지방·염분↓)
- B형 독감 예방접종
- ✅ 1. 항혈소판제 (Dual Antiplatelet Therapy, DAPT)
- 🧠 질병 요약
- 급성관상동맥증후군 (Acute Coronary Syndrome, ACS)
- Arrythmia
- 부정맥 (Arrhythmia)
- 정의: 심장의 전기신호 이상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심박동(빠르거나, 느리거나, 불규칙) 상태
- 분류
- 빈맥성 부정맥: 심방세동(AF), 심실빈맥(VT), 심실세동(VF), PSVT
- 서맥성 부정맥: 동기능 이상, 방실차단
- 증상: 두근거림, 실신, 어지러움, 피로감, 흉통
- 진단: 심전도(EKG), 홀터모니터, 심초음파
💊 약물 요법 요약
💠 Class I: Na⁺ 채널 차단제 (막 안정화제)- IA (중등도 차단)
- 예: Quinidine, Procainamide, Disopyramide
- 효과: 활동전위 연장, ERP↑
- 부작용: Torsades de Pointes, 항콜린작용(변비, 구갈 등), 저혈압
- IB (약한 차단)
- 예: Lidocaine, Mexiletine
- 효과: 활동전위 짧게 함, 심실성 부정맥에 사용
- 부작용: CNS 증상 (경련, 어지러움), 구토
- IC (강한 차단)
- 예: Flecainide, Propafenone
- 효과: 심방세동 예방에 효과
- 주의: 구조적 심질환 환자 금기 (사망률 ↑)
💠 Class II: 베타 차단제 (β-Blockers)- 예: Propranolol, Metoprolol, Esmolol
- 기전: SA/AV node 자극 감소 → HR ↓
- 적응증: 심방세동, PSVT 예방
- 부작용: 서맥, AV 차단, 저혈당 인식 저하, 천식 악화
💠 Class III: K⁺ 채널 차단제- 예: Amiodarone, Sotalol, Dofetilide, Ibutilide
- 기전: 활동전위 및 ERP 연장 → 심실, 심방 재진입 회로 억제
- 부작용:
- Amiodarone: 갑상샘 기능 이상(고/저), 간독성, 폐섬유화, 시야 이상
- Sotalol: Torsades de Pointes, 서맥
- Dofetilide: QT 연장
💠 Class IV: Ca²⁺ 채널 차단제 (Non-DHP)- 예: Verapamil, Diltiazem
- 기전: AV node 전도 억제 → 심방세동, PSVT에 유용
- 부작용: 서맥, AV block, 변비, 심부전 악화
- 금기: 심한 좌심실 기능 저하 환자
💠 기타 항부정맥제- Digoxin
- 기전: 미주신경 자극 → AV node 전도 억제
- 용도: 심방세동 HR 조절 (특히 심부전 동반 시)
- 부작용: 서맥, 시야 이상, 위장장애
- Adenosine
- 기전: AV node 일시적 차단 → PSVT 급성중단
- 용량: IV 6mg bolus → 필요시 12mg 추가
- 부작용: 안면홍조, 흉통, 호흡곤란 (수초 내 사라짐)
- 반감기: <10초
- Magnesium sulfate
- 기전: Torsades de Pointes에서 안정화 작용
- 용량: 1–2g IV
- 부작용: 저혈압, 근육약화 (고용량 시)
💡 부정맥 치료 접근 요약- 심방세동: BB, CCB, Digoxin → 리듬조절 시 Amiodarone, Flecainide
- 심실성 부정맥: Amiodarone, Lidocaine (급성), ICD 고려
- PSVT: Adenosine 급성, 예방에는 BB 또는 CCB
- 서맥: 원인약물 중단, 필요 시 페이스메이커
- ✅ Vaughan Williams 분류에 따른 항부정맥제
- 🧠 질병 요약
- 부정맥 (Arrhythmia)
- Dyslipidemia
- 이상지질혈증 (Dyslipidemia)
- 정의: 혈중 지질 수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 심혈관계 위험을 증가시키는 상태
- 형태
- 고LDL 콜레스테롤혈증
- 고중성지방혈증
- 저HDL 콜레스테롤혈증
- 위험요인
- 유전, 비만, 당뇨, 흡연, 고탄수화물 섭취, 운동 부족, 특정 약물(스테로이드, 피임약 등)
- 치료 목표
- 심혈관질환 1차 또는 2차 예방
- LDL-C 수치를 위험군에 따라 목표치로 조절
💊 약물 요법 요약- 기전: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 LDL 수용체 ↑ → LDL 제거 ↑
- 대표 약물 및 용량
- Atorvastatin: 10–80mg qd
- Rosuvastatin: 5–40mg qd
- Simvastatin: 10–40mg qd
- 효과: LDL ↓, TG ↓, HDL ↑ (소폭)
- 부작용
- 근육통, 횡문근융해증 (→ CPK↑)
- 간수치 상승 (→ AST/ALT 모니터링)
- 당뇨 발생 위험 소폭 증가
- 금기: 간질환, 임신
✅ 2. Ezetimibe- 기전: 소장에서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
- 용량: 10mg qd
- 특징: Statin 병용 시 LDL 추가 강하
- 부작용: 간수치 상승, 드물게 근육통
✅ 3. PCSK9 억제제- 기전: LDL 수용체 분해 억제 → LDL 제거 촉진
- 약물: Alirocumab, Evolocumab (피하주사, 2~4주 간격)
- 효과: LDL 50–70% 이상 감소
- 적응증: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위험군에서 Statin 불충분 시
- 부작용: 주사부위 반응, 드물게 간수치 상승
✅ 4. Fibrates- 기전: LPL 활성화 → TG 분해 촉진, HDL ↑
- 약물: Fenofibrate, Gemfibrozil
- 용량: Fenofibrate 160mg qd, Gemfibrozil 600mg bid
- 적응증: TG > 500mg/dL (췌장염 위험)
- 부작용
- 근육통 (Statin 병용 시 위험↑)
- 담석증, 간기능 이상
✅ 5. Omega-3 지방산- 기전: 간 TG 합성 억제
- 용량: EPA/DHA 합제 기준 2–4g/day
- 효과: TG 감소
- 부작용: 위장장애, 어류 알레르기 주의
💡 치료 기준 요약위험군 LDL 목표치초고위험군 (CVD, 당뇨+다중위험인자) <70 mg/dL 고위험군 (죽상경화 위험↑) <100 mg/dL 중등도 위험 <130 mg/dL 저위험군 <160 mg/dL - 치료 시작: 생활요법 3개월 → 약물 병행
- 생활요법: 체중감량, 포화지방 제한, 운동, 금연
- ✅ 1. Statin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 🧠 질병 요약
- 이상지질혈증 (Dyslipidemia)
- Stroke
- 뇌졸중 (Stroke)
- 정의: 뇌혈류 장애로 인한 급성 신경학적 손상
- 분류
-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전/색전으로 인한 혈류 차단 (80–85%)
-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뇌혈관 파열로 인한 출혈
- 일과성 허혈발작 (TIA): 24시간 이내 증상 회복되는 일시적 뇌허혈
- 위험요인
- 고혈압, 심방세동, 당뇨, 고지혈증, 흡연, 비만, 일차성 심질환
- 진단
- 뇌영상: CT/MRI
- 심전도, 심초음파, 혈액검사 (lipid, glucose, coagulation)
💊 약물 요법 요약- Aspirin
- 용량: 100mg qd
- 효과: 1차/2차 예방에 사용
- 부작용: 위장장애, 출혈
- Clopidogrel
- 용량: 75mg qd
- 특징: Aspirin과 병용 or 대체
- 부작용: 출혈, 드물게 TTP (혈전성 혈소판감소자색반병)
- 병용요법 (DAPT)
- 단기 병용 권장 (초기 21–90일), 이후 단독 유지
- 예: Aspirin + Clopidogrel
✅ 2. 항응고제 (심방세동 원인 시)- Warfarin
- 용량: INR 2.0–3.0 목표
- 모니터링 필수 (INR), 식사·약물 상호작용 多
- 금기: 출혈 고위험, 임신
- NOACs (신형 경구 항응고제)
- Dabigatran, Apixaban, Rivaroxaban, Edoxaban
- 장점: INR 모니터링 불필요, 음식 영향 ↓
- 용량 예시:
- Apixaban 5mg bid
- Rivaroxaban 20mg qd
- 부작용: 출혈 (출혈 시 해독제 필요: idarucizumab 등)
✅ 3. 고혈압 조절- 1차 예방: 140/90 mmHg 미만 유지
- 2차 예방: 뇌졸중 후에도 고혈압 조절 필수
- 약물: ACEi, ARB, CCB, Thiazide 계 이뇨제 병용 권장
✅ 4. 지질강하제- Statin 고강도 요법
- Atorvastatin 40–80mg
- LDL <70 mg/dL 목표
- 허혈성 뇌졸중 예방 효과 입증됨
✅ 5. 혈전용해제 (급성기)- Alteplase (tPA)
- 허혈성 뇌졸중 증상 발현 4.5시간 이내 투여
- 용량: 0.9mg/kg (최대 90mg), 10% bolus 후 나머지 60분간 주입
- 금기: 출혈 위험, 혈압 >185/110mmHg, 항응고 상태
💡 재활과 예방 전략- 금연, 식이요법(DASH), 염분 제한
-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적극 관리
- 규칙적인 운동 (적정 체중 유지)
- 심방세동 환자 항응고제 지속
- ✅ 1. 항혈소판제
- 🧠 질병 요약
- 뇌졸중 (Stroke)
- VTE
- 정맥혈전색전증 (VTE: DVT + PE)
- 정의: 정맥 내 혈전이 형성되어 혈류를 막거나 폐동맥으로 이동해 색전을 일으키는 질환
- 형태
- DVT (심부정맥혈전증): 주로 하지에 혈전 형성
- PE (폐색전증): 혈전이 폐혈관으로 이동하여 색전 발생
- 위험요인 (Virchow's triad)
- 혈류정체 (장기입원, 비행기 여행)
- 혈관내피 손상 (수술, 외상)
- 과응고상태 (암, 임신, 항인지질증후군, 피임약)
- 증상
- DVT: 하지 통증, 부종, 발적
- PE: 호흡곤란, 흉통, 빈호흡, 실신
- 진단
- D-dimer ↑, Doppler 초음파 (DVT), CT angiography (PE)
💊 약물 요법 요약- Unfractionated Heparin (UFH)
- 초기 로딩 후 지속 주입 (IV)
- aPTT 모니터링 필요
- 부작용: 출혈, HIT
-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LMWH) – Enoxaparin
- 용량: 1mg/kg SC q12h or 1.5mg/kg SC q24h
- 장점: 예측 가능한 효과, 모니터링 불필요
- 신부전 시 용량 감량 필요
- Fondaparinux
- 용량: 체중 기준 SC qd (예: 7.5mg if 50–100kg)
- 반감기 길고 HIT 위험 ↓
- Warfarin
- INR 목표: 2.0–3.0
- 초기에는 Heparin 병용 후 단독 전환
- 상호작용 多, 비타민 K 식이 영향 받음
- NOACs (DOACs)
- Rivaroxaban: 15mg bid × 21일 → 20mg qd
- Apixaban: 10mg bid × 7일 → 5mg bid
- Edoxaban/Dabigatran: 초기 LMWH 병용 후 사용
- 장점: 고정 용량, 모니터링 불필요
- 부작용: 출혈 (치명적 시 해독제 필요)
✅ 2. 혈전용해제 (Severe PE 대상)- Alteplase (tPA)
- 용량: 100mg IV over 2시간
- 적응증: hemodynamic 불안정한 PE, massive PE
- 금기: 최근 수술, 출혈경향, 뇌출혈 병력
✅ 3. 기계적 예방요법 (입원 환자 등)- 탄력압박스타킹, 간헐적 공기압박기(IPC)
- 조기 보행 권장
💡 치료 기간 요약상황 항응고 기간첫 VTE, 일시적 위험요인 3개월 첫 VTE, 지속적 위험요인 무기한 고려 재발성 VTE 장기적 치료 권장
💡 예방 전략- 고위험군 수술 환자: LMWH, UFH 예방적 사용
- 암환자: LMWH or NOAC 우선 고려
- 장기 비행 전: 탈수 피하고, 수시로 다리 운동
- ✅ 1. 항응고제 (초기 치료 및 유지)
- 🧠 질병 요약
- 정맥혈전색전증 (VTE: DVT + PE)
- Hypertensive Crisis
- 고혈압성 위기 (Hypertensive Crisis)
- 정의: 수축기 ≥180mmHg 또는 이완기 ≥120mmHg인 고혈압 급성 상태
- 분류
- 고혈압성 응급(Hypertensive Emergency): 혈압상승 + 표적장기손상 있음 (뇌출혈, 심부전, 심근경색 등)
- 고혈압성 긴급(Hypertensive Urgency): 혈압상승은 있으나 장기손상 없음
- 진단 포인트
- 증상 확인 (흉통, 시야장애, 신경학적 이상 등)
- 표적 장기 평가 (혈청 Cr, ECG, CT 등)
💊 치료 요약- 목표: 1시간 내에 MAP 25% ↓, 이후 2–6시간 내 160/100mmHg 도달
- IV 약물 사용
- Nitroprusside: 강력한 동정맥 확장 / 부작용: 청산염 중독
- Nicardipine: CCB / 혈압 서서히 감소, 안전성 ↑
- Labetalol: α/β 차단 / 뇌졸중, 대동맥박리 시 우수
- Esmolol: 짧은 작용 / 급속 교정 시 사용
- 목표: 수 시간~수 일에 걸쳐 서서히 혈압 낮춤
- 경구 약물
- Captopril, Clonidine, Labetalol (PO)
- 입원 불필요, 외래 추적관찰
- 고혈압성 위기 (Hypertensive Crisis)
- Summary질환 1차 약물 추가/특수 약물 비고
반응형